휴젤 '보톡스 분쟁' 승기…북미사업 탄력 전망

메디톡스와 휴젤이 보톡스 균주 도용을 놓고 벌인 국제 분쟁에서 휴젤이 승기를 잡았습니다. 불확실성이 해소되면서 휴젤의 미국 사업에도 탄력이 붙을 전망입니다. 박승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보톨리눔 톡신, 이른바 보톡스 균주 출처를 두고 메디톡스와 휴젤이 미국에서 벌여온 소송 2년 만에 휴젤이 승기를 잡았습니다. 우리 시각으로 오늘(11일) 새벽 미국 국제무역위원회 ITC가 "휴젤의 위반 사실이 없다"는 예비 심결을 내렸습니다. 메디톡스는 휴젤이 도용한 균주를 사용한 제품을 미국에 수출한다고 주장했지만, ITC가 받아들이지 않은 겁니다. 오는 10월 최종 판결이 남았지만, 예비판결이 뒤집히는 경우가 거의 없는 만큼 사실상 최종 결론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휴젤은 "균주를 절취했다는 주장이 근거가 없다는 점이 밝혀졌다"며 환영의 입장을 내놨습니다. [휴젤 관계자 : 10월로 예정된 최종 심결까지 당사의 입장을 적극적으로 개진해 소송에 최선을 다하도록 하겠습니다. 더불어 미국시장 진출 또한 차질 없이 진행해 나갈 예정입니다.] 이번 소송은 휴젤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보툴리눔 톡신 제제 '레티보'를 허가받고 본격적으로 시장 진입을 추진하던 중 발생했습니다. 때문에 이번 결과로 그동안 차질을 빚던 휴젤의 미국시장 진출에 탄력이 붙을 전망입니다. 휴젤은 지난해 캐나다에서 보톡스(레티보)를 먼저 선보이며 북미 진출의 초석을 다진 만큼, 올해 하반기 미국 현지에 제품을 출시하는 등 미국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입니다. 증권가에선 이번 판결이 휴젤의 기업가치 재평가로 이어질 것으로 내다봅니다. 소송에 발목이 잡힌 휴젤의 주가는 올해 1분기 역대 최대 매출이라는 호재 속에서도 지지부진한 흐름을 이어왔습니다. [A증권 제약·바이오 연구원 : (북미 사업, 실적 모두) 긍정적으로 되겠죠. 마케팅 하기도 좋을 것이고. 예비 판결에서 그 정도 나온 것은 긍정적으로 봐야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런 분석 속에 오늘(11일) 휴젤의 주가는 장중 52주 신고가를 경신하기도 했습니다. 한편 메디톡스는 "즉각 재검토를 요청하겠다"며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메디톡스 관계자는 "매우 유감이지만, 예비 판결은 전체 절차 중 초기 결정에 해당할 뿐"이라며 "ITC 전체위원회에 재검토를 요청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국경제TV 박승원입니다. 편집 : 권슬기, CG : 차은지

자세히 보기

‘환율 안전판’ 경상수지 적자…“美통화정책 외부변수 촉각”

우리나라 경상수지가 1년 만에 흑자 행진을 멈췄습니다. 환율 안전판 역할을 했던 경상수지 흑자가 끊기자 최근 1,370원대에서 등락을 거듭하고 있는 원·달러 환율이 더 오를 수 있단 우려가 나옵니다. 김채영 기자입니다. 우리나라 4월 경상수지가 3억 달러 가까운 적자를 기록하며 1년 가까이 이어진 흑자 흐름이 끊어졌습니다. 상품수지는 흑자 행진을 이어갔지만, 외국인 배당금 지급으로 본원소득수지 적자가 커진 영향입니다. 일반적으로 경상수지가 흑자를 나타내면 원화 가치가 높아지면서 환율이 떨어지는 안전판 역할을 하는데 배당금 지급으로 인한 적자로 환율의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하지만 한은은 경상수지 적자는 일시적인 흐름이라고 진단하며 5월부터는 배당 영향이 사라져 경상수지가 상당 폭 흑자로 돌아설 것이라고 자신했습니다. [송재창 / 한은 금융통계부장 : 본원소득수지는 4월 결산배당 지급 영향 사라지면서 흑자 전환할 것으로 봅니다. 향후에도 수출 호조세가 지속될 것이고 양호한 경상수지 흑자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상반기 경상수지 전망치는 무난히 달성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외부적인 요인이 변수입니다. 미·중 무역 분쟁, IT 경기 확장 속도, 국제유가나 환율 변동성 등 불확실한 요인들이 경상수지 흐름을 제한할 수 있다는 판단입니다. [오현희 /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 : 최근에 IT경기가 호조를 보이면서 상품수지 흑자 측면에서는 경상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지만, 여전히 환율이 1,300원을 상회하는 수준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통관 수입이나 그런 쪽을 증가시켜서 상품수지를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보여집니다.] 여기에 미국의 통화정책 변수도 여전히 남아있습니다. [정영식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국제거시금융실장 : 앞으로 경상수지가 흑자로 계속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는 건 환율의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은 낮아 보이고요. 지금 전체적인 환율의 흐름은 결국 미국의 통화정책에 의해서 좀 좌우되는 측면이 있다.] 최근 유럽중앙은행(ECB)의 금리인하 결정으로 주요국 간 금리 차가 확대된 점과, 여전히 불투명한 미국의 금리인하 시점 등이 달러 강세를 밀어 올리며 당분간 1,360~1,370원대 사이의 고환율이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 한국경제TV 김채영입니다. 영상편집 : 김정은 CG : 신현호

자세히 보기

수주 쓸어 담는데 비관적 전망만…동부건설에 경고음

최근 동부건설이 공공 공사를 잇따라 따내면서 올해 들어서만 1조원이 넘는 수주고를 올렸습니다. 하지만 증권사와 신용평가사의 비관적인 전망 속에 주가는 계속 내리막길을 걷고 있습니다. 성낙윤 기자가 그 이유를 찾아봤습니다. 올해 들어 동부건설이 수주한 공사 금액은 1조1,200억원입니다. 이 가운데 공공 부문만 6,400억원에 달해 전체의 60%를 차지했습니다. 얼어붙은 주택 경기를 우회하는 전략을 통해 수주를 따냈지만 시장의 반응은 차갑기만 합니다. 동부건설의 주가는 지난해 7,670원으로 고점을 지난 후 4천원 대로 내려 앉았습니다. 수주 증가에도 불구하고 실적 부진이 계속 이어진 데다 재무상황까지 악화된 영향이 컸습니다. 실제로 3년전 600억원에 달했던 영업이익은 계속 줄어들다 결국 올해 1분기 적자로 전환했습니다. 부채비율이 200%를 넘어선 상황에서 올해까지 납부해야 할 토지 잔금이 1,400억원 남은 것도 부담입니다. 문제는 매출에서 원가가 차지하는 비율이 업계 최고 수준인 98.8%에 달한다는 점입니다. 쉽게 말해 100만원을 팔아도 1만원밖에 남기지 못한다는 겁니다. [건설업계 관계자: 수익성도 좋지 않고, 실적도 좋지 않고, 부채도 많고. 경영지표가 다 나쁘면 이 회사는 가지고 있는 포트폴리오들이 사실상 건전하다고 볼 수 없죠.] 신용평가사와 증권사들도 일제히 비관적 전망을 내놓고 있습니다. 실적 악화와 과중한 재무 부담 등을 이유로 신용등급은 깎였고 투자 의견도 하향 조정된 겁니다. [증권업계 관계자: 당장 적자가 나더라도 내년에 흑자가 크게 난다는 기대감이 있어야 되는데, (동부건설은) 그게 애매합니다. 공공공사가 안전판 역할은 할 수 있지만 '주가가 가냐'로 본다면 이익이 늘어야 한다고 생각을 합니다.] 결국 실적과 주가가 반등하기 위해선 자금 조달과 수익성 개선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동부건설은 "높은 원가율을 보이는 현장들이 대부분 준공을 마쳤기 때문에 앞으로 원가율이 개선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선별 수주와 수익성 개선 노력을 기반으로 실적도 좋아질 것으로 전망한다"고 덧붙였습니다. 한국경제TV 성낙윤입니다. 영상취재 김성오, 영상편집 노수경, CG 서조슈아

자세히 보기
한국경제TV 채널을 구독하고
다채로운 소식을 받아보세요.
구독 좋아요!

TV광고 이미지

주식은 와우넷

베스트 수익률

송관종대표

HLB

송관종대표
106.74 %
  • 매도일시2024-03-29
  • 매도가105,890
송관종대표

알테오젠

송관종대표
99.55 %
  • 매도일시2024-03-29
  • 매도가197,998
강준혁대표

자람테크놀로지

강준혁대표
82.98 %
  • 매도일시2024-04-08
  • 매도가66,775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