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사주 소각해라"...SK에 주가부양 압박한 거버넌스포럼 [권영훈의 증시뉴스 PICK]

시장과 종목에 영향을 미치는 뉴스들을 전합니다. ◆ "자사주 소각해라"...SK에 주가부양 압박한 거버넌스포럼 첫번째 뉴스픽입니다.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은 오늘(4일) SK에 공개서한을 보내 "밸류업에 진심이면 25% 자사주 전량 소각을 권한다"고 밝혔습니다. 포럼은 "과거 3년간 SK 주가는 45% 폭락, 연 18% 하락했다"며 "약 2% 배당 수익률을 감안해도 SK 주주는 2021년 5월 이후 매년 16% 투자 손실을 입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주가하락 원인으로 '자사주'를 꼽았으며 "SK 자사주 보유 지분율은 시가총액 3조원 이상 대형 상장사 중 제일 높다"고 설명했습니다. 최근 최태원 회장과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과의 이혼 소송 항소심 판결 이후 SK 주가는 경영권 분쟁 가능성으로 줄곧 올랐지만 오늘은 5% 넘게 빠졌습니다. ◆ 셀트리온 '강세'..."천식 복제약 3상 유효성 확인" 두번째 뉴스픽입니다. 셀트리온은 오늘(4일) 최근 '2024 유럽 알레르기 임상 면역학회(EAACI)'에서 천식·두드러기 등에 쓰는 바이오시밀러 '옴리클로' 글로벌 임상 3상 후속 데이터를 공개했다고 밝혔습니다. 셀트리온은 만성 두드러기 환자 409명을 대상으로 임상 3상 24주 분석 결과 오리지널약 투여 그룹과 복제약 투여 그룹간 유효성과 유사성을 확인했다고 설명했씁니다. 이같은 소식에 셀트리온 주가가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증시뉴스 픽이었습니다.

자세히 보기

임차인이 FBI?…해외 부동산 '직접' 투자한다 [백브리핑]

다음 이슈로 넘어가겠습니다. 리츠 이야기를 가져오셨습니다, 사실 해외 부동산 우려다 뭐다 하면서 리츠 시장이 크게 죽었었고 금리 인하 기대감이 후퇴하면서 아직까지도 살아나지 못하는 모습입니다. 이러한 악조건 속에서 새로운 형태의 리츠 상품이 6월 상장을 앞두고 있다고요? 국내 최초 글로벌 부동산 펀드 리츠인 '신한글로벌액티브리츠'가 오는 28일 상장을 앞두고 기관 수요예측에 들어갔습니다. 지금까지 기관투자자만 가능했던 미국 개방형 부동산 펀드에 개인도 투자가 가능해진 건데요. 섹터별 비율을 살펴보면 정부 인프라가 51%로 가장 높고 오피스 비중은 8.4%로 비교적 낮습니다. 앞서 말씀해 주신 것처럼 시장에서 나오는 해외 오피스에 대한 우려를 인지하고 있는 만큼 오피스 비중을 낮게 설정했다는 게 신한리츠운용 측의 설명입니다. 오피스 비중을 낮게 설정하기는 했지만 리츠 시장이 지금 대세라고 보기는 다소 어려운 건 사실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를 상쇄할 만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겁니까? 일단, 해당 리츠는 초기 2년간 공모가 대비 배당률 8.5%를 지급하기로 결정했습니다. 2년 후에도 비슷한 수준의 배당을 약속했는데요. 환매가 가능하고 자유롭게 리밸런싱도 할 수 있는 만큼 특별 배당 역시 정례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현재 NAV(순자산가치)보다 약 15% 할인된 가격에 공모가 밴드를 확정한 만큼 단기적인 주가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는데요. 여기에 더해 본격적인 금리 인하가 이뤄지면 중·장기 자본차익 역시 노려볼 수 있다는 게 신한리츠운용 측의 설명입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투자자분들이 지금 가장 우려하는 건 이익보다는 안정성이겠죠. 해당 리츠는 FBI나 미국 총무성같이 미국 주정부 기관이 장기 임차하는 건물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는 8%의 오피스 건물 역시 최상급 오피스로 주요 임차인이 마이크로소프트, 소니 등인 만큼 비교적 높은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일단, 회사 측 설명은 그러한데 증권가의 반응이 어떤지가 좀 궁금할 것 같습니다. 증권가에서는 해당 상품에 대해 어떻게 바라보고 있던가요? 증권가에서는 미국 부동산 시장의 리스크는 여전하다고 설명합니다. 하지만 해당 펀드가 임대차는 물론 재무적인 측면에서 이슈가 발생한 적이 없는 우량 자산으로 구성됐다는 점에 주목하라고 밝혔는데요. 60% 정도인 국내 투자 리츠의 LTV(주택담보대출비율)와 다르게 이번 글로벌 리츠의 가중 평균 LTV는 30%로 비교적 안전하다고 봤습니다. 또, 금리 인하 시점이 가까워지는 시기에 공모를 추진한다는 점에서 해외자산을 담은 기존 리츠들과 차별화되는 부분이라고 설명했는데요. 다만, 금리 인하의 장기 지연 혹은 미 부동산 시장에 극단적 이벤트가 발생하게 되면 나타날 펀드 NAV의 하락 가능성은 유의하라고 조언했습니다. 그렇군요. 추가적으로 해당 리츠와 관련한 우려 사항에 대해 회사 측 입장은 어떤 게 있습니까? 일단 시장에서 나오는 금리 인하 기대감 후퇴에 대해서 회사 측은 "금리 인하가 본격화되면 훨씬 더 높은 수준으로 가치가 상승하겠지만 지금 수준으로도 충분히 자산 가치의 지속적 상승은 가능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임대료는 공사비랑 똑같은 폭으로 하락하기가 힘든 만큼 꾸준한 배당을 지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결국 속도가 다소 느릴 뿐 금리 인하가 빠른 시일 내에 이뤄지지 않아도 NAV의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는 설명인데요. 추가적으로 해당 리츠는 임차인의 스펙에 맞게끔 만들어진 맞춤형 건물들에 다수 투자하고 있어 더욱 안정적이라는 입장을 내놓았습니다. 예를 들어 경찰서를 생각해 보면 되는데요. 경찰서가 만약 다른 건물로 장소를 옮긴다고 가정할 때 유치장이 있는 또 다른 건물을 찾는 것도, 옮기는 것도 쉽지 않습니다. 추가적인 보안 장비도 필요하고요. 이렇듯 해당 리츠는 임차 계약을 장기간으로 이어 나갈 수밖에 없는 건물 위주로 보유하고 있어 투자 매력도를 높였다고 설명했습니다.

자세히 보기
한국경제TV 채널을 구독하고
다채로운 소식을 받아보세요.
구독 좋아요!

TV광고 이미지

주식은 와우넷

베스트 수익률

송관종대표

HLB

송관종대표
106.74 %
  • 매도일시2024-03-29
  • 매도가105,890
송관종대표

알테오젠

송관종대표
99.55 %
  • 매도일시2024-03-29
  • 매도가197,998
강준혁대표

자람테크놀로지

강준혁대표
82.98 %
  • 매도일시2024-04-08
  • 매도가66,775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