샐러리맨 541만명 연간 8만원꼴 세금 덜 낸다

입력 2015-04-07 09:00  

정부 연말정산 보완책 마련…작년 소득분부터 소급적용내달 환급 시작될 듯…근로소득세액공제 확대6세 이하 둘째부터 15만원 공제 추가

정부의 연말정산 보완대책에 따라 근로소득자 541만 명이 총 4천227억원의 세금 부담을 덜게 됐다.

근로자 한 명당 연간 8만원꼴이다.

기획재정부는 7일 집권 여당인 새누리당과의 협의를 거쳐 이런 내용을 골자로한 '연말정산 보완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2013년 세법 개정으로 5천500만원 이하 근로자의 세 부담이 늘어난부분을 해소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특히 지난 1월 당정이 협의한 연말정산 보완대책 방향에 포함되지 않았던 근로소득세액공제도 5천500만원 이하 근로자의 세 부담 증가를 해소하기 위해 확대됐다.

현재 산출세액 중 기준액 50만원 이하에는 55%, 50만원 초과분에 대해서는 30%가 부과되는데, 보완대책에서는 기준액이 130만원으로 올라갔다. 한도액도 66만원에서 74만원으로 인상됐다.

사실상 5천500만원 이하 근로자의 면세점이 올라간 것이다. 346만명이 2천632억원의 세부담 경감 효과를 누릴 것으로 분석됐다.

자녀세액공제의 경우 현행 첫째·둘째 아이까지 1인당 15만원, 셋째 아이 20만원의 세액공제 체계에서 셋째 아이부터 1인당 30만원으로 올렸다. 10만원이 늘어난셈이다.

6세 이하의 자녀를 둔 경우 둘째부터는 1명당 15만원을 추가로 세액공제한다.

세법 개정으로 없어진 출산·입양공제의 경우 자녀 1명당 30만원의 세액공제가신설됐다. 자녀세액공제 확대와 출산·입양 세액공제 신설에 따라 56명이 957억원의세부담을 경감받을 것으로 추산됐다.

연금저축 세액공제율도 5천500만원 이하 연봉자에 한해 12%에서 15%로 인상돼 63만명이 408억원의 세부담을 덜게 됐다.

독신자들이 주로 받는 표준세액공제금액은 12만원에서 13만원으로 올랐다. 229만명에게 217억원의 혜택이 예상된다.

정부는 이런 조치로 5천500만원 이하 근로자의 세 부담 증가를 거의 해소했다고밝혔다.

5천500만원 이하 근로자 1천361만명 가운데 세법 개정으로 세 부담이 늘어난 205만명(15%) 중 98.5%인 202만명의 세 부담 증가분이 전액(1천639억원) 해소됐다.

나머지 1.5%도 세 부담 증가분의 90%가 해소됐다고 기재부는 설명했다.

이들을 포함해 5천500만원 이하 근로자 가운데 세 부담이 줄어든 근로자는 513만명(94.8%)으로 총 금액은 3천678억원에 달한다.

여기에 5천500만원 이상이지만 다자녀 및 출산 세액공제 확대를 적용받는 근로자를 합치면 이번 보완대책으로 총 541만명이 연간 4천227억원의 세 부담을 덜게 됐다.

이 금액에는 장애인보장성보험 확대로 인한 경감 효과(12억원)도 포함됐다.

보완대책에 따라 5천500만원 이하의 실효세율이 1.29%에서 1.16%로 감소하는 등전체적인 실효세율은 4.82%에서 4.74%로 0.8%포인트 줄었다.

세법 개정에 따른 세수 증대 효과도 1조1천461억원에서 7천246억원으로 줄었다.

기재부 문창용 세제실장은 "5천500만원 이하에 세 부담 경감이 집중됐기 때문에 소득재분배 효과가 강화됐다"고 설명했다.

기재부는 보완대책에서 근로자가 직접 간이세액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지난해 연말정산 분석 결과 세법 개정에 따른 효과에 대해선 당초 추계와 유사했다고 밝혔다.

정부와 여당은 연말정산 보완대책을 담은 소득세법 개정안을 4월 임시국회에 의원입법 형식으로 제출할 계획이다.

개정안이 순조롭게 통과될 경우 5월 중 작년도 소득분에 대한 재정산이 실시돼환급이 시작될 전망이다.

lkbin@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