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HBM4 경쟁 시작…삼성 "기대해달라"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불과 3달 만에 신규 AI칩 출시 계획을 밝혔습니다. 루빈이라는 이름의 새로운 GPU에는 6세대 HBM인 HBM4가 탑재될 예정입니다. HBM 시장에서 먼저 승기를 잡은 SK하이닉스와 추월하려는 삼성전자의 주도권 경쟁도 더 치열해질 전망입니다. 산업부 정재홍 기자 나왔습니다. 정 기자, 어제 저녁 젠슨 황 CEO가 대만에서 새로운 AI 반도체 로드맵을 공개했다고요. 네. 젠슨 황 CEO가 컴퓨텍스 2024 참가를 위해 며칠 전부터 대만을 찾았습니다. 컴퓨텍스는 1981년부터 대만에서 시작된 IT 박람회인데요. 주로 PC 관련 내용을 다뤘는데, PC 칩 공급사들이 대부분 AI칩 기업으로 거듭나면서 올해는 특히 AI 반도체 전시회로 변모했습니다. 엔비디아, AMD, 퀄컴, 인텔 등 전세계 AI 반도체 CEO가 총출동하는데, 현지시간으로 어제 저녁 젠슨 황 CEO가 가장 먼저 기조연설을 진행하고 신규 AI GPU '루빈' 양산 로드맵을 공개했습니다. 블랙웰이었나요. 불과 3달 전에 새로운 GPU를 공개했던 것 같은데 또 신규 칩을 선보인 거군요. 지난 3월 자체 개발자 행사인 GTC 2024에서 블랙웰을 공개한지 3개월 만입니다. 이번에 공개한 AI 반도체 이름은 '루빈'입니다. 재밌는 건 이 제품이 차차세대 제품이라는 점입니다. 3달 전 공개한 차세대 제품 블랙웰도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생산이 이뤄집니다. 블랙웰도 이전 제품은 호퍼 보다 5배 빠른 연산속도로 괴물 GPU로 불렸었는데, 신제품 출시 주기가 더 빨라지고 있는 겁니다. AMD나 인텔 등에 의한 AI 가속기 시장 추격이 거센 만큼 격차를 좁히지 않겠다는 의지가 있고요. 무엇보다 시장이 이제 개화했기에 앞으로의 AI 반도체 수요가 무궁무진할 거란 전제가 깔려있습니다. 미국과 대만의 AI 잔치로 보여서 우리 기업들이 주축이 되지 못 한 게 다소 아쉬운데요. 그래도 엔비디아에 HBM을 공급하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겐 더 큰 시장이 열린다고 볼 수 있겠네요. 네. 엔비디아의 로드맵 안에 HBM 제품 적용 시점도 같이 볼 수 있어서 더 주목됐습니다. 올해 출시되는 블랙웰에는 HBM3E가 내년 출시되는 블랙웰 울트라에는 HBM3E 12단 제품이 공급됩니다. 무엇보다 2026년 출시되는 루빈에는 6세대 HBM인 HBM4가 적용됩니다. 삼성전자는 이르면 이달 안에 HBM3E 12단 제품을, SK하이닉스는 3분기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또 두 기업 모두 내년을 목표로 HBM4 개발도 준비 중입니다. 지금은 SK하이닉스가 엔비디아 HBM 공급을 주도하고 있지만 차세대 제품에서는 공급 우위가 달라질 수 있기에 삼성에게는 반드시 잡아야 할 기회라는 평가입니다. 삼성전자가 아직 엔비디아로부터 HBM3E 공급 승인을 받지 못 했잖아요. 지금 상태라면 상반기 내 공급도 미지수인데요. 이제는 AI 반도체 주도권 경쟁에서 힘을 발휘해야 할 시점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최근 반도체 수장 교체까지 단행한 삼성전자의 의지는 강력합니다. 지난 금요일 열린 삼성 호암상 시상식에 참석한 이정배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장 사장은 올해 하반기 HBM 공급 관련 질문에 "기대해달라"고 짧게 답했습니다.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엔비디아 최종 승인을 위해 HBM3와 HBM3E 제품 전력 효율 개선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HBM4를 탑재하고 3나노 공정으로 제작되는 엔비디아 루빈은 전작보다 더 높은 성능을 구현하면서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합니다. 삼성이 HBM 후발주자로 높은 기술 진입장벽을 넘고 차세대 제품에서 주도권을 가져올 수 있을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네. 잘 들었습니다.

자세히 보기

"대웅제약 보톡스, 美서 가장 빠른 성장세"...3공장 증설도

주름을 없애는 시술 등에 흔히 쓰이는 보톡스(보툴리눔 톡신). 시장 규모가 급격히 커지면서, 국내 기업들의 글로벌 성장세도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대웅제약의 경우 협력사를 통해 미국에 진출했는데, 4년 만에 매출이 3배 이상 늘었습니다. 김수진 기자가 전합니다. 경기도 화성 향남에 위치한 대웅제약의 보툴리눔 톡신 공장. 주사제 생산과 관련해 FDA 기준을 충족한 곳입니다. 이를 통해 대웅제약은 아시아 회사 중 최초로 '주보'란 이름(국내명 나보타)으로 2019년 미국 보툴리눔 톡신 시장에 진출했습니다. 미국에서의 허가와 유통을 맡은 곳은 나스닥 상장사이자, 메디칼 에스테틱 회사인 '에볼루스'. 주보 진출 5주년을 맞이해 한국을 찾은 데이비드 모아타제디 에볼루스 대표는 최근 미국에서 해당 톡신이 가장 빠르게 성장해, 시장 점유율 3위를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데이비드 모아타제디 / 에볼루스 CEO : 현재 주보는 (보툴리눔 톡신)미국 시장에서 점유율 12%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올해 예상 매출액은 2억 5,500만 달러에서 2억 6,500만 달러입니다. 미국 시장에서 시술자들은 고품질 제품을 굉장히 중요하게 여기는데요. 주보는 높은 기준을 가지고 있고요….] 대웅제약은 독자적인 공정(톡신 균주에서 안정적인 복합체만 수집하는 방식)을 사용하며, 일반적인 톡신 제제에서의 건조 방식인 동결건조가 아닌 감압건조 방식을 사용해 안전성을 높였습니다. [윤준수 / 대웅제약 나보타사업본부장 : 대웅만의 특허 기술을 적용해 일관된 우수한 품질로 고순도의 보톨리눔 톡신을 생산하고 있으며…미국, 유럽, 캐나다, 브라질 등 전 세계 규제 기관으로부터 GMP 인증을 받았습니다.] 지난해 미국에서의 주보 매출은 2,800억원 수준. 출시 1년차인 2020년에 비해 3배 이상 늘었습니다. 에볼루스는 '고품질 톡신'을 바탕으로 미국을 포함해 지난해 진출한 유럽에서도 성장세를 이어가겠다는 목표입니다. [데이비드 모아타제디 / 에볼루스 CEO : 2028년까지 7억 달러 매출을 올린다고 예측하며, 이는 주보와 누시바(유럽 발매명)의 매출까지 합친 금액입니다.] 한편, 대웅제약은 수요 증가에 맞춰 톡신 생산 공장을 증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기존 1·2공장 생산능력의 2배 이상(연 1,300만 바이알)을 갖춘 제 3공장은 올해 완공될 예정입니다. 한국경제TV 김수진입니다. 영상취재:이성근, 편집:노수경, CG: 차은지

자세히 보기

이혼 판결에 최태원 "진실 바로 잡겠다"...SK 우선주 연일 '급등' [권영훈의 증시뉴스 PICK]

시장과 종목에 영향을 미치는 뉴스들을 전합니다. ◆ 이혼 판결에 최태원 "진실 바로 잡겠다"...SK 우선주 연일 '급등' 첫번째 뉴스픽입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오늘(3일) SK수펙스추구협의회에 참석해 최근 이혼소송 항소심 판결 관련 "개인적인 일로 심려를 끼쳐 죄송하다"며 "SK와 구성원 모두의 명예를 위해서라도 반드시 진실을 바로잡겠다"고 밝혔습니다. 법원은 지난달 30일 이혼소송 항소심에서 "최태원 회장이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에게 위자료 20억원, 재산분할로 1조3,808억원을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이번 판결로 SK 주가는 3거래일째 상승세를, SK우선주는 급등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SK 경영권 분쟁이 발생할 가능성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최 회장이 천문학적인 재산분할금을 마련하기 위해 SK 주가 부양에 나설 것이란 관측에 따른 겁니다. ◆ 尹 "동해에 140억배럴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관련주 '상한가' 두번째 뉴스픽입니다. 석유·가스 관련주들이 오늘(3일) 급등했습니다. 한국석유와 흥구석유, 중앙에너비스 등 석유 관련주와 한국가스공사와 대성에너지 등 가스 관련주가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이날 윤석열 대통령은 취임 첫 국정브리핑을 열고 "경북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서 140억배럴에 달하는 석유와 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물리탐사 결과가 나왔다"며 "유수 연구기관과 전문가들의 검증도 거쳤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관련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매장 가치가 현시점에서 삼성전자 시총의 5배 수준"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대웅제약, 美 보톡스 매출 급증...공장증설 계획 세번째 뉴스픽입니다. 대웅제약이 미국 보톡스 시장에 진출한 지 4년만에 매출이 3배 이상 늘었다고 합니다. 보도에 김수진 기잡니다. 이날 대웅제약 주가는 강보합세입니다. 지금까지 증시뉴스 픽이었습니다.

자세히 보기
한국경제TV 채널을 구독하고
다채로운 소식을 받아보세요.
구독 좋아요!

TV광고 이미지

주식은 와우넷

베스트 수익률

송관종대표

HLB

송관종대표
106.74 %
  • 매도일시2024-03-29
  • 매도가105,890
송관종대표

알테오젠

송관종대표
99.55 %
  • 매도일시2024-03-29
  • 매도가197,998
강준혁대표

자람테크놀로지

강준혁대표
82.98 %
  • 매도일시2024-04-08
  • 매도가66,775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