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SDV 전환, 매출에 큰 기회" [이창열 MDS테크 대표]

엔비디아 GPU 솔루션의 국내 총판을 맡고 있는 임베디드 솔루션 기업 'MDS테크'의 이창열 대표가 한국경제TV 성공투자오후증시에 출연해 향후 사업 비전을 밝혔습니다. 생방송 성공투자오후증시는 매일 오후 2시에 방영됩니다. MDS테크 임베디드 중심 사업이 AI로 확장중입니다. 엔비디아와 협력관계에 있으시죠? MDS테크는 2014년 NVIDIA와의 파트너 체결 이후 약 10여년 간 NVIDIA GPU 기반의 AI 제품 및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고 있습니다. Embedded Platform 및 Automotive Platform의 Distributor로서, Enterprise Platform의 Preferred Partner로서 기업이 신속하게 AI 인프라를 구축하고 제품을 출시할 수 있도록 맞춤형 컨설팅부터 최신 기술 교육까지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전문성 있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엔비디아와 구체적으로 어떤 사업들을 하고 있습니까? AI 솔루션의 라이프사이클은 데이터를 수집하고 훈련시키는 Training(훈련) 파트, 훈련된 모델을 실제 서비스에 배포하는 Inferencing(추론) 파트로 나눠지며 MDS테크는 이러한 AI 솔루션 라이프사이클 전단계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AI Training 파트에 해당하는 NVIDIA Enterprise Platform의 경우 데이터센터용 GPU, 그래픽전문가용 GPU, 그리고 이를 탑재한 GPU 서버를 고객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는 주로 AI 개발용 인프라 구축에 사용되는 제품이며, 최근 전세계적으로 화두가 되고 있는 ChatGPT와 같은 AI 모델 훈련 및 개발에 반드시 필요한 제품입니다. AI Inferencing 파트에 해당하는 NVIDIA Embedded Platform이란 NVIDIA Jetson을 기반으로 한 사업으로 엣지 컴퓨팅 및 임베디드 시스템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NVIDIA Jetson은 고성능 GPU를 기반으로 이미지, 비디오처리, 딥러닝, AI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스마트시티, 스마트팩토리, 스마트팜, 등 전 산업 분야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습니다. 더불어 저희는 자율주행 차량을 위한 DRIVE 제품군과 그에 맞는 기술 지원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NVIDIA Automotive Platform을 적극적으로 운영하려고 합니다. 특히, 자율주행 차량을 개발하는 업계에서 보안이 중요시 되는 만큼 MDS테크에서는 고객 니즈에 맞는 맞춤식 컨설팅을 통해 해당 기능과 차량 내 AI 어플리케이션 구축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최근 글로벌 자동차 기업들이 소프트웨어 중심의 SDV로 전환하고 있다는데, 이 과정에서도 MDS테크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SDV란 차량 소프트웨어를 통해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고 관리할 수 있어 자동차의 주행성능, 편의기능, 안전사양, 품질 등을 지속 업데이트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당사는 현대오토에버가 개발한 현대차그룹 자체 브랜드 모빌진의 총판을 담당하며 라이선스 배포와 교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차량 SW 플랫폼 모빌진은 차량제어 기본 프로세서인 MCU와 반도체 AP에 적용되는 OS로 국내 OEM 및 부품업체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현대차그룹이 모든 차종을 SDV 체제로 전환해 오는 2025년까지 글로벌 시장에서 판매되는 모든 차종에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OTA)를 기본 적용할 예정입니다. 향후 SDV화가 진행되면 차량에 더 많은 SW가 들어가게 되며 이를 통해 당사는 매출은 물론, 사업 비중 또한 늘어나게 될 것입니다. 그 밖에도 자회사를 통해서 디지털 트윈 사업을 확대하고 계시다고요? 당사는 자회사 MDS인텔리전스를 중심으로 지능형 IoT, 보안, 5G 통신 등 다양한 사업분야의 안정성과 확장성을 고려하며 사업을 키워가고 있습니다. 특히 말씀하신 디지털 트윈은 인텔리전스의 자체 솔루션인 네오아이디엠(NeoIDM)과 스탠스의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접목하여 'RapidTWIN'(레피드트윈)으로 재탄생하였습니다. 레피드트윈은 현장을 그대로를 디지털화하여 전문 데이터를 해석하고 상황을 예측하기 쉽도록 시각화하여 현장 작업자들을 위한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게 됩니다. 레피드트윈만 있으면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되는 것은 물론이고 대규모 시설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최적의 솔루션으로 활용가능하게 됩니다. 또한 이러한 레피드트윈은 지방자치단체, 정부기관, 대기업 등 대규모 시설에 적용 가능하기에 매출에도 큰 이익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투자자들을 위해 주가 부양을 위한 계획이 있으시다면 듣고 싶습니다. 최근 AI 시장이 매우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고, MDS테크는 이에 발맞춰 엔비디아와의 협력을 강화하여 AI 중심의 맞춤형 솔루션과 컨설팅 서비스를 확대하며 데이터센터용 GPU와 DGX 시스템으로 국내 AI 생태계 구축에 앞장설 계획입니다. 현재 당사는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Arm 등 70여개의 세계적인 파트너사뿐만 아니라 신규 솔루션 발굴 및 신규 사업에서의 수익 창출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확보했는데요, 앞으로도 다양한 사업분야의 확대를 위해 자회사의 자체 솔루션 개발에 적극적으로 지원하여 사업 시너지가 발현될 수 있도록 MDS테크가 그 중심에서 뚝심있게 사업을 추진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정기적인 경영 실적 발표와 주주와의 소통을 통해 투명한 경영을 실천함으로써 AI 중심 기술을 선도하며 지속적인 혁신과 성장을 통해 주주 가치를 극대화할 것입니다.

자세히 보기

"이웃 사랑 전합니다"…동아제약 '사랑나눔 바자회' [뉴스+현장]

동아제약은 30일 서울 동대문구 용두동 본사 야외주차장에서 동아쏘시오그룹 임직원들과 동대문구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사랑나눔 바자회'를 진행했다. 사랑나눔 바자회는 동아제약이 기부 문화 확산과 지역 사회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해 지난 2009년부터 매년 진행하고 있는 자선 행사다. 동아제약은 바자회에서 자사 및 동아오츠카 제품 등을 지역 주민들에게 저렴한 가격에 판매한다. 수익금은 동대문구사회복지협의회에 기부하고 동대문구사회복지협의회는 동대문구 저소득층 및 소외계층 지원사업에 사용한다. 이번 사랑나눔 바자회는 동아쏘시오그룹 임직원 약 80명으로 구성된 자원봉사단이 동아제약 건강기능식품(오메가3, 비타민, 유산균, 콜라겐), 구강청결용품(가그린, 검가드, 칫솔, 치약), 생활용품(마스크, 밴드), 더마화장품(파티온), 동아오츠카 음료(포카리스웨트, 오로나민C), 기타물품(이브자리, 올포유, 루이까또즈, 성현인터내셔널, 동문엔터프라이즈) 등 다양한 종류의 제품을 판매한다. 백상환 동아제약 사장은 "바자회 수익금은 관내 어려운 분들께 전달이 되기 때문에 오늘 구매도 많이 하셔서 더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됐으면 하는 바램"이라며 "지역 주민과 함께하는 지역사회와 동행하는 동아제약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올해 13회차를 맞이한 사랑나눔 바자회는 지난해까지 총 8억 원의 누적 성금을 기부하며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자세히 보기

"이제는 청정암모니아"..진짜 돈될까? [엔터프라이스]

한화가 청정암모니아를 만드는 사업을 검토하기 위해 영국 최대의 종합화학기업 이네오스와 협력하기로 했다고 발표했습니다. 한화가 직접적으로 협력을 하는 곳은 명확히는 '이네오스니트릴스'라는 이네오스의 자회사입니다. 이네오스스니트릴스의 주요 제품은요. '아크릴로니트릴'이라는 소재로 합성수지의 원료입니다. 합성수지는 대표적으로 플라스틱을 만드니깐, 자동차, 건축, 전자제품 등 우리 생활 곳곳에 쓰이는 소재입니다. 어려우니까 다시한번 정리하자면 순서는 암모니아로 아크릴로니트릴을 만들고 아크릴로니트릴로 합성수지를 만들어서 우리가 생활에 많은 제품들이 만들어지는 겁니다. 그런데 지금 생산되는 암모니아는요. 질소와 수소로 만들어지는데 수소를 만드는 과정에서 탄소가 배출됩니다. 넷제로가 목표인 기업들은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청정암모니아로의 전환이 필요하겠죠. 한화가 이게 돈이 되는지 보겠다는 겁니다. 한화의 사업내용, 그리고 암모니아가 진짜 돈이 될지 살펴봅니다. 한화가 암모니아 생산을 한다고요? 지금 관련 사업이 있나요? 한화의 지난해 기준 매출은 약 7조2천억원정도 되는데요. 건설부문 비중이 제일 높고, 글로벌 부분이 20%, 모멘텀 부분이 10%인데, 청정암모니아 사업을 검토하겠다는 곳은 글로벌 부분에 해당됩니다. 글로벌 부문에서 뭘 하냐면요. 화약을 만듭니다. 원래 한화가 한국화약주식회사에서 시작됐거든요. 화약은 건설부문에서 지반 폭파할 때 쓰이고, 또 군사용 무기에도 사용됩니다. 그리고 매년 가을에 한강변에서 펼쳐지는 한화 고유의 행사 있죠. 불꽃놀이! 이것도 화약생산을 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겁니다. 화약 만드는데 질산이라고 하는 화합물이 필요한데 주 원료가 암모니아입니다. 지금은 한화가 암모니아를 생산하지 않고 사오는데, 앞으로는 이 암모니아를 탄소배출이 없는 청정 암모니아로 만드는 일을 검토하겠다 라는 겁니다. 청정 암모니아가 어디에 쓰이나요? 현재 암모니아를 사용하는 곳에 모두 사용됩니다. 청정 암모니아라는 것은 결과물은 똑같은 암모니아지만 만드는 과정에서 탄소배출을 안하면 청정 암모니아가 되는거고요. 앞서 전해드린 대료 앞으로 기업들이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해 청정 암모니아로 교체할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는게 포인트입니다. 또 얼마전 전해드렸던 수소경제에서도 수소를 운반할 때 냉각해서 액화시켜서 운반한다는 내용 전해드렸는데요. 수소를 운반할 때 암모니아 형태로 운반할 수도 있습니다. 냉각하는 것보다 암모니아는 형태로 운반하면 저렴한 비용으로 운반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암모니아를 가져다가 수소를 만드는 것도 가능합니다. 그리고 암모니아 자체를 연료로도 사용할 수 있고요. 또 늘어나는 반도체나 디스플레이 세정에 암모니아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 분야로도 확장될 수 있다는 전망도 있습니다. 오늘의 주제 한줄로? 현재 이 사업은 검토중이고, 할지 말지는 모릅니다. 만약에 시행된다면 최종 투자결정도 2년뒤, 상업운영 시작은 2030년이라고 합니다. 아마도 이번 자료는 세계적인 화학기업 이오네스와 협력을 하고 있다는 것을 홍보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요. 실제로 이오네스는 한화그룹 전체 보다 매출면에서 4배이상 큰 회사입니다. 오늘의 주제는 "암....모냐?"로 마무리하겠습니다.

자세히 보기
한국경제TV 채널을 구독하고
다채로운 소식을 받아보세요.
구독 좋아요!

TV광고 이미지

주식은 와우넷

베스트 수익률

송관종대표

HLB

송관종대표
106.74 %
  • 매도일시2024-03-29
  • 매도가105,890
송관종대표

알테오젠

송관종대표
99.55 %
  • 매도일시2024-03-29
  • 매도가197,998
강준혁대표

자람테크놀로지

강준혁대표
82.98 %
  • 매도일시2024-04-08
  • 매도가66,775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