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철도노조 파업 돌입(종합)

입력 2013-12-09 11:48  

파업 첫날 전국 역 큰 혼잡 없어

전국철도노조가 9일 오전 9시부터 파업에 들어갔다.

철도노조의 이번 파업은 2009년 11월 26일부터 12월 3일까지 8일간 진행한 파업이후 4년 만이다.

노조는 코레일(한국철도공사)의 수서 발 KTX 운영회사 설립 이사회 개최 중단등을 요구하며 파업에 돌입했다.

김명환 철도노조 위원장은 파업에 앞서 이날 오전 8시 민주노총에서 총파업 돌입 관련 입장을 밝혔다.

김 위원장은 "이번 파업은 국민의 철도를 지키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며 "열차가 멈춰 불편하더라도 국민 대다수가 반대하는 철도민영화를 막아내고자 하는철도 노동자들의 상황을 이해해 달라"고 호소했다.

노조는 파업이 시작된 오전 9시 전국 131개 지부별로 총파업 출정식을 진행했으며 오후 2시에는 서울, 부산. 대전, 전주, 영주역 등 전국 5개 지방본부별 총파업출정식도 할 예정이다.

노조는 열차운행에 필요한 필수 유지인력 8천500여명을 현장에 남겨 뒀다고 밝혔다.

코레일과 노조는 8일 오후부터 막판 교섭을 진행했지만, 모두발언 언론 공개 여부를 놓고 마찰을 빚었고, 밤새 실무교섭을 벌였지만 결국 견해차를 좁히지 못했다.

코레일은 파업에 따른 전 직원 비상근무체제에 들어갔다.

필수유지 인력과 내·외부 가용 인력이 모두 동원됐다. 필수요원 8천418명, 대체인력 6천35명 등 모두 1만4천453명이 투입됐다.

코레일은 대체인력으로 공사 내부직원 4천749명과 군, 협력업체 등 외부 인력 1천286명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코레일은 KTX, 수도권 전동열차, 통근 열차는 평상시와 같이 100% 정상 운행하고 새마을·무궁화호는 평시 대비 60% 수준을 유지한다는 계획이다. 화물열차는 평소에 비해 36% 감축 운행에 들어갔다.

파업 첫날인 9일 전국의 역은 큰 혼잡 없이 평온한 분위기를 보였다.

그러나 파업이 장기화하면 열차 운행 및 물류 운송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게다가 서울 지하철노조도 이달 18일 오전 9시부터 파업에 들어갈 예정이어서철도파업이 장기화할 경우 수송 대란이 우려된다.

지하철 1∼4호선 운영 주체인 서울메트로에는 두 개의 노조가 있으며 제1노조가서울 지하철노조다.

노조파업에도 수도권의 경우 경부선과 경인선, 분당선 등 수도권 전철 10개 노선 2천493편(서울메트로 384회 포함)이 100% 정상 운행 중이며 배차 간격도 평소대로 유지되고 있다.

이날 새마을·무궁화호는 101개 열차가 운행중지됐고 화물은 289회에서 104회로감축 운행한다.

화물열차 운행이 평시 대비 36%로 줄어 물류 차질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수도권 물류기지인 경기도 의왕내륙컨테이너기지(의왕ICD)의 경우 파업 첫날인이날 의왕ICD 내 오봉역에서 화물열차로 실어나르는 월요일 하루평균 반출입량(800∼1천TEU)의 절반 수준인 400∼500TEU 가량의 화물수송에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노조의 파업을 불법으로 규정한 정부와 코레일은 이날 오전 파업에 참여한 전국노조 집행부 소속 100여명을 각 지역 담당 경찰서에 고발 조치했다.

아울러 파업 동참 노조원들에게 1차 업무 복귀명령을 내리고 지침에 불응하는직원들이 파악되는 대로 직위 해제 등의 강력한 조처를 할 방침이다.

최연혜 코레일 사장은 이날 오전 9시 코레일 서울사옥 대강당에서 대국민 호소문을 통해 "철도노조가 파업에 돌입했지만 필수인력 유지 및 대체인력을 활용한 비상수송체제로 전환해 국민의 불편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논란이 된 수서 발 KTX 법인에 대해 그는 "법인이 코레일 계열사로 확정됐고 지분의 민간참여 가능성을 완전히 차단했다"며 "코레일 이사회 연기나 정부정책 변경을 요구하는 것은 노조의 활동범위도 아니고 협상의 대상도 아니다"라고 말했다.

ju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