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노동시장의 다양한 이야기를 전문기자와 나눠보는 취업매거진 시간입니다.
오늘은 전재홍기자와 이야기나눠봅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국회에서 열린 의미있는 행사를 다녀오셨다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복지국가로 향한 우리나라 고유의 모델은 무엇인가에 대한 이야기를 나눈 곳을 다녀왔는데요.
이군현 한나라당 원내 수석부대표 주최로 열린 이번 행사는 ''한국형 복지모델 구축을 위한 정책토론''이라는 주제로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개최됐습니다.
토론회에는 이상득 전 국회의장을 비롯해 한나라당 의원들이 대거 참석했으며 고려대 경제학과 이만우 교수의 사회로 노홍인 보건복지부 복지정책과장, 이 영 한양대 경제금융학 교수등이 토론자로 나섰는데요.
어떤 행사인지 이 행사를 주관한 박영옥 한나라당 중앙위 재정금융분과 위원장의 이야기 들어보시겠습니다.
<앵커>
복지를 최우선으로 하기 위해서는 우선 국가 경제의 성장이 뒷받침 되어야할 것같은데요?
<기자>
그렇습니다. 성장없는 분배도 있을 수 없고 그렇다고 분배에만 너무 치중한다면 부의 하향평준화를 가져올 수도 있습니다.
때문에 이 자리에 축사로 나선 이상득 의원은 이러한 부분을 지적했는데요.
한나라당 이상득 의원은 이 자리에서 복지 문제와 관련, "우리 능력과 환경에 맞춰서 가야지, 우리 능력을 벗어나 복지를 하면 반드시 사고가 나고, 국가도 부도가 날 것"이라며 `한국형 복지모델''을 강조했습니다.
그는 "우리가 흔히 얘기하는 남미 아르헨티나는 1950년대 5대 강국이자 부국이었지만 복지 때문에 망했다"면서 "우리는 흔히 `남미 포퓰리즘''을 말하는데 우리도 그 유혹에 빠질 가능성에 대해 겸허히 반성하고 자제해야 할 시기"라고 말하면서 이 의원 자신이 아프리카와 남미 등지에서 자원외교 활동을 벌여온 점을 거론하며 "우리가 잘 산다는 평을 받고 있는데 우리가 이렇게 생각한다면 대단히 위험한 일"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우리의 1인당 국민총소득이 2만달러지만, 일본은 4만달러"라며 "잘 산다고 뭐든지 쉽게 살려고 한다면 우리가 어떻게 4만달러를 달성할 수 있겠느냐"고 거듭 강조하기도 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앵커>근로자들의 복지뿐 아니라 온 국민이 어떻게하면 잘 살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 요즘입니다. 안그래도 북한이 급변상황이 도래할 가능성이 있다는 둥 백두산이 분화한다는둥 불안한 소식이 많은데요. 이런 가운데 대한민국 국민으로 잘 사는 것이 무엇인지 다시한번 생각하게됩니다.
오늘말씀 감사합니다.
취업매거진의 전재홍기자였습니다.
오늘은 전재홍기자와 이야기나눠봅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국회에서 열린 의미있는 행사를 다녀오셨다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복지국가로 향한 우리나라 고유의 모델은 무엇인가에 대한 이야기를 나눈 곳을 다녀왔는데요.
이군현 한나라당 원내 수석부대표 주최로 열린 이번 행사는 ''한국형 복지모델 구축을 위한 정책토론''이라는 주제로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개최됐습니다.
토론회에는 이상득 전 국회의장을 비롯해 한나라당 의원들이 대거 참석했으며 고려대 경제학과 이만우 교수의 사회로 노홍인 보건복지부 복지정책과장, 이 영 한양대 경제금융학 교수등이 토론자로 나섰는데요.
어떤 행사인지 이 행사를 주관한 박영옥 한나라당 중앙위 재정금융분과 위원장의 이야기 들어보시겠습니다.
<앵커>
복지를 최우선으로 하기 위해서는 우선 국가 경제의 성장이 뒷받침 되어야할 것같은데요?
<기자>
그렇습니다. 성장없는 분배도 있을 수 없고 그렇다고 분배에만 너무 치중한다면 부의 하향평준화를 가져올 수도 있습니다.
때문에 이 자리에 축사로 나선 이상득 의원은 이러한 부분을 지적했는데요.
한나라당 이상득 의원은 이 자리에서 복지 문제와 관련, "우리 능력과 환경에 맞춰서 가야지, 우리 능력을 벗어나 복지를 하면 반드시 사고가 나고, 국가도 부도가 날 것"이라며 `한국형 복지모델''을 강조했습니다.
그는 "우리가 흔히 얘기하는 남미 아르헨티나는 1950년대 5대 강국이자 부국이었지만 복지 때문에 망했다"면서 "우리는 흔히 `남미 포퓰리즘''을 말하는데 우리도 그 유혹에 빠질 가능성에 대해 겸허히 반성하고 자제해야 할 시기"라고 말하면서 이 의원 자신이 아프리카와 남미 등지에서 자원외교 활동을 벌여온 점을 거론하며 "우리가 잘 산다는 평을 받고 있는데 우리가 이렇게 생각한다면 대단히 위험한 일"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우리의 1인당 국민총소득이 2만달러지만, 일본은 4만달러"라며 "잘 산다고 뭐든지 쉽게 살려고 한다면 우리가 어떻게 4만달러를 달성할 수 있겠느냐"고 거듭 강조하기도 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앵커>근로자들의 복지뿐 아니라 온 국민이 어떻게하면 잘 살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 요즘입니다. 안그래도 북한이 급변상황이 도래할 가능성이 있다는 둥 백두산이 분화한다는둥 불안한 소식이 많은데요. 이런 가운데 대한민국 국민으로 잘 사는 것이 무엇인지 다시한번 생각하게됩니다.
오늘말씀 감사합니다.
취업매거진의 전재홍기자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