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근태 민주통합당 상임고문이 오늘(30일) 새벽 5시 31분 폐혈증으로 별세 했다.
민주통합당은 김근태 상임고문의 조문은 오전 10시부터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서 이뤄진다고 밝혔다.
김 상임고문은 향년 64세로 이세상과 작별을 고했다.
김근태 상임고문은 민주화운동과 정치개혁에 앞장서며 재야운동에 큰 획을 그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는 1965년 대학 입학 후부터 반독재 민주화운동에 투신했다. 1967년 서울대 상대 학생회장 때 총ㆍ대선 부정선거 항의집회를 하다 제적당해 군대에 강제징집됐다.
그는 1970년 복학했지만 이듬해 `서울대생 내란음모사건`에 연루돼 지명수배됐다. 이 때부터 1979년 10ㆍ26 사태 때까지 도피생활을 하면서 `공소의 김근태`라는 별명까지 붙었다.
김 고문은 1983년 첫 공개적 민주화운동 조직인 민주화운동청년연합(민청련)을 결성해 1985년 투옥될 때까지 두 차례 의장을 맡았다.
그는 이 때 남영동 대공분실로 끌려가 보름 가까이 "스스로 죽고 싶었다"고 말할 정도로 여덟차례 전기고문과 두 차례 물고문을 받았다. 이 고문 후유증이 파킨슨병으로 이어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는 지난 1987년 고문 경험을 바탕으로 `남영동 대공분실`이라는 책으로 냈고 미국 로버트케네디 인권상을 부인 인재근씨와 공동 수상했다.
1994년 그는 제도권정치로 들어왔다.
민주자유당에 반대하는 모든 세력을 결집하는 민주연합정당을 만들기 위해 출범한 통일시대민주주의국민회의의 공동대표를 그가 맡았다.
또 1995년 새정치국민회의 부총재로 김대중 전 대통령과 손잡고 본격적인 정당생활을 시작했다. 1995년 10월 에드워드 케네디가 당시 김영삼 대통령을 만나 김 고문의 사면복권을 요청해 김 전 대통령이 이를 수용했다는 것은 유명한 일화다.
1996년 15대 총선에서 서울 도봉갑에 출마해 2004년 17대 총선까지 내리 3선 배지를 달았다. 그의 지역구는 내년 총선때 이백만 전 청와대 홍보수석이 출사표를 던진 곳이기도 하다.
2002년 민주당 대선후보 경선 때는 불법 정치자금에 대한 양심고백을 하며 중도에 경선 중단을 선언했다.
하지만 2002년 대선에서 노무현 후보가 당선되고 2004년 총선 때 열린우리당이 과반의석을 확보한 이후 정동영 의원과 함께 열린우리당의 양대 계파 수장으로 자리매김했다.
2004년 보건복지부 장관을, 2006년 5ㆍ31 지방선거 참패 이후에는 "스스로 독배를 들겠다"며 당의장을 맡아 당을 진두지휘했다.
2007년 열린우리당 후신인 대통합민주신당의 대선 경선 때 그는 범여권 대통합과 오픈 프라이머리(국민경선) 실현이라는 대의를 위해 대선 불출마를 선언했으며 지난 2008년 18대 총선에 나섰지만 낙선한 바 있다.
그는 지난해부터 원외에서 민주진보 대연합을 위한 활동을 벌여왔다. 진보정당과 시민사회 등 모든 세력이 참여하는 `반(反)보수 대연합`을 이뤄야 한다는 목적이었다. 하지만 김 고문은 지난달말 건강이 악화로 끝내 이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채 눈을 감고 말았다.
민주통합당은 김근태 상임고문의 조문은 오전 10시부터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서 이뤄진다고 밝혔다.
김 상임고문은 향년 64세로 이세상과 작별을 고했다.
김근태 상임고문은 민주화운동과 정치개혁에 앞장서며 재야운동에 큰 획을 그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는 1965년 대학 입학 후부터 반독재 민주화운동에 투신했다. 1967년 서울대 상대 학생회장 때 총ㆍ대선 부정선거 항의집회를 하다 제적당해 군대에 강제징집됐다.
그는 1970년 복학했지만 이듬해 `서울대생 내란음모사건`에 연루돼 지명수배됐다. 이 때부터 1979년 10ㆍ26 사태 때까지 도피생활을 하면서 `공소의 김근태`라는 별명까지 붙었다.
김 고문은 1983년 첫 공개적 민주화운동 조직인 민주화운동청년연합(민청련)을 결성해 1985년 투옥될 때까지 두 차례 의장을 맡았다.
그는 이 때 남영동 대공분실로 끌려가 보름 가까이 "스스로 죽고 싶었다"고 말할 정도로 여덟차례 전기고문과 두 차례 물고문을 받았다. 이 고문 후유증이 파킨슨병으로 이어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는 지난 1987년 고문 경험을 바탕으로 `남영동 대공분실`이라는 책으로 냈고 미국 로버트케네디 인권상을 부인 인재근씨와 공동 수상했다.
1994년 그는 제도권정치로 들어왔다.
민주자유당에 반대하는 모든 세력을 결집하는 민주연합정당을 만들기 위해 출범한 통일시대민주주의국민회의의 공동대표를 그가 맡았다.
또 1995년 새정치국민회의 부총재로 김대중 전 대통령과 손잡고 본격적인 정당생활을 시작했다. 1995년 10월 에드워드 케네디가 당시 김영삼 대통령을 만나 김 고문의 사면복권을 요청해 김 전 대통령이 이를 수용했다는 것은 유명한 일화다.
1996년 15대 총선에서 서울 도봉갑에 출마해 2004년 17대 총선까지 내리 3선 배지를 달았다. 그의 지역구는 내년 총선때 이백만 전 청와대 홍보수석이 출사표를 던진 곳이기도 하다.
2002년 민주당 대선후보 경선 때는 불법 정치자금에 대한 양심고백을 하며 중도에 경선 중단을 선언했다.
하지만 2002년 대선에서 노무현 후보가 당선되고 2004년 총선 때 열린우리당이 과반의석을 확보한 이후 정동영 의원과 함께 열린우리당의 양대 계파 수장으로 자리매김했다.
2004년 보건복지부 장관을, 2006년 5ㆍ31 지방선거 참패 이후에는 "스스로 독배를 들겠다"며 당의장을 맡아 당을 진두지휘했다.
2007년 열린우리당 후신인 대통합민주신당의 대선 경선 때 그는 범여권 대통합과 오픈 프라이머리(국민경선) 실현이라는 대의를 위해 대선 불출마를 선언했으며 지난 2008년 18대 총선에 나섰지만 낙선한 바 있다.
그는 지난해부터 원외에서 민주진보 대연합을 위한 활동을 벌여왔다. 진보정당과 시민사회 등 모든 세력이 참여하는 `반(反)보수 대연합`을 이뤄야 한다는 목적이었다. 하지만 김 고문은 지난달말 건강이 악화로 끝내 이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채 눈을 감고 말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