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률이 늘어날수록 사망률은 오히려 떨어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16일 이철희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와 김태훈 서울대 경제학부 대학원생(박사과정)의 논문에서 1991~2009년 한국의 실업률과 사망률은 반비례관계입니다.
실업률이 2%에서 3%로 올라갈 때 사망률은 2.8% 감소하는 것입니다. 실업률이 4%에서 5%로 상승했을 때도 사망률이 1.8%나 줄었습니다.
미국이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역시 실업률과 사망률이 음의 관계였으나 0.4~0.5%로 우리보다 훨씬 작았습니다.
우리나라는 선진국보다 사회적 지출이 낮고 복지제도가 제대로 되어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특히 실업률이 낮을 때 중년 남성의 사망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았습니다.
고강도 업무 스트레스와 불규칙한 식생활, 음주 탓에 순환기질환과 소화기 질환으로 중년 사망률이 높아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한편 미국과 달리 고용이 늘면 자살도 증가했습니다.
이 교수 등은 "경제난 때문에 자살하는 사람이 적잖을지 모르지만, 대다수는 비경제적인 요인 때문에 자살을 선택했을 가능성이 있다"며
"실업률 감소가 대다수 국민의 물질적인 생활수준의 개선으로 이어지지 못했을 수도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16일 이철희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와 김태훈 서울대 경제학부 대학원생(박사과정)의 논문에서 1991~2009년 한국의 실업률과 사망률은 반비례관계입니다.
실업률이 2%에서 3%로 올라갈 때 사망률은 2.8% 감소하는 것입니다. 실업률이 4%에서 5%로 상승했을 때도 사망률이 1.8%나 줄었습니다.
미국이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역시 실업률과 사망률이 음의 관계였으나 0.4~0.5%로 우리보다 훨씬 작았습니다.
우리나라는 선진국보다 사회적 지출이 낮고 복지제도가 제대로 되어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특히 실업률이 낮을 때 중년 남성의 사망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았습니다.
고강도 업무 스트레스와 불규칙한 식생활, 음주 탓에 순환기질환과 소화기 질환으로 중년 사망률이 높아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한편 미국과 달리 고용이 늘면 자살도 증가했습니다.
이 교수 등은 "경제난 때문에 자살하는 사람이 적잖을지 모르지만, 대다수는 비경제적인 요인 때문에 자살을 선택했을 가능성이 있다"며
"실업률 감소가 대다수 국민의 물질적인 생활수준의 개선으로 이어지지 못했을 수도 있다"고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