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이 신입사원 채용 시 `직무적성`을 가장 많이 보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수도권 400개 기업(대기업 107개, 중소기업 293개)을 대상으로 `기업 채용 및 역량평가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기업들은 신규채용 시 가장 중시하는 역량으로 `직무적성(39.1%)`을 처음 꼽았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인성`(33.5%), `자격증`(8.6%), `전공지식`(7.2%) 순이었습니다.
기업규모별로는 종업원수 300명 이상(제조업 기준)의 대기업이 `직무적성`(39.0%), `인성`(34.8%), `전공지식`(8.1%) 순으로 응답했으며, 중소기업의 경우 `직무적성`(39.1%), `인성`(33.1%), `자격증`(10.5%) 순으로 답했습니다.
하지만 직무적성 검사 시행률을 살펴보면 대기업은 51.4%인 반면, 중소기업은 11.9%로 대중소기업 간 격차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편, 서류전형에서 기업들이 가장 중점적으로 보는 항목은 `자기소개서`(37.3%), `자격증`(19.9%), `전공성적`(17.1%), `외국어능력`(8.2%), `출신학교`(4.1%) 순이었습니다.
강호민 대한상의 공공사업본부장은 "학력·스펙이 아닌 능력·역량 중심의 채용관행을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인적성검사, 역량면접, 역량평가 등의 다양하고 체계적인 채용방법이 먼저 정착돼야 한다”며 “특히 인식부족, 비용·전문인력 등의 문제로 엄두를 못내는 중소기업을 위해서도 정부의 다양한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수도권 400개 기업(대기업 107개, 중소기업 293개)을 대상으로 `기업 채용 및 역량평가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기업들은 신규채용 시 가장 중시하는 역량으로 `직무적성(39.1%)`을 처음 꼽았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인성`(33.5%), `자격증`(8.6%), `전공지식`(7.2%) 순이었습니다.
기업규모별로는 종업원수 300명 이상(제조업 기준)의 대기업이 `직무적성`(39.0%), `인성`(34.8%), `전공지식`(8.1%) 순으로 응답했으며, 중소기업의 경우 `직무적성`(39.1%), `인성`(33.1%), `자격증`(10.5%) 순으로 답했습니다.
하지만 직무적성 검사 시행률을 살펴보면 대기업은 51.4%인 반면, 중소기업은 11.9%로 대중소기업 간 격차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편, 서류전형에서 기업들이 가장 중점적으로 보는 항목은 `자기소개서`(37.3%), `자격증`(19.9%), `전공성적`(17.1%), `외국어능력`(8.2%), `출신학교`(4.1%) 순이었습니다.
강호민 대한상의 공공사업본부장은 "학력·스펙이 아닌 능력·역량 중심의 채용관행을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인적성검사, 역량면접, 역량평가 등의 다양하고 체계적인 채용방법이 먼저 정착돼야 한다”며 “특히 인식부족, 비용·전문인력 등의 문제로 엄두를 못내는 중소기업을 위해서도 정부의 다양한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