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수시 지원자 14%, 수능 최저기준 미달로 '탈락'

입력 2014-10-06 14:23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낮춰 고교교육 정상화에 기여한다는 명분으로 재정 지원을 받은 대학들이

수시전형 지원자 10명 가운데 4명을 수능 성적 미달로 탈락시킨 것으로 드러난 가운데

서울대 경우도 수시 지원자의 약 14%가 수능 최저학력기준의 높은 문턱을 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유기홍 의원은 교육부에서 받은 `2014년 수시모집전형 수능 최저학력기준 미달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른바 `고교교육 정상화 기여대학` 49개교의 지원자 58만9,129명 중 10명중 4명꼴인 39.3%에 달하는 23만1,704명이

수능 최저학력기준 미달로 탈락했다고 6일 밝혔다.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없는 4개교와 자료를 내지 않은 12개교는 분석 대상에서 제외됐다.

교육부는 지난해 6월 `고교교육 정상화 기여대학` 65개교를 선정해 재정지원을 한 바 있다.

당시 교육부는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낮고 사회적 취약계층을 위한 전형을 운영하는 대학에 높은 평가를 줬다고 밝혔으나

이런 설명이 무색하게 같은 해 해당 대학 수시에 지원한 수험생 상당수가 수능 성적을 충족하지 못해 떨어진 것이다.

특히 고교교육 정상화 기여대학으로 20억원을 지원받은 서울대는 각 학교 최우수 학생들이 몰렸음에도

지원자 3,385명 중 477명(14.1%)이 수능 최저학력기준에 미달,탈락의 고배를 마셨다.

수능 최저학력기준 미달자 비율이 10% 미만인 곳은 조선대, 계명대, 서울교대, 부산교대, 숙명여대 등 5개교에 불과했다.

일부 대학은 2015학년도 입시에서 오히려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강화하는 등 역행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서울대는 수시 지역균형선발전형의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4개 영역 중 2개 영역 이상 2등급 이내`에서

4개 영역 중 3개 영역 이상 2등급 이내`로 바꿨고 진주교대는 아예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신설하기까지 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