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화장품 수출 40.3% 상승…"대한민국 화장품 새 역사 쓴다"

입력 2015-05-07 11:22  



[최지흥 기자]
대한민국 화장품이 새 역사를 쓰고 있다.

국내 화장품 생산실적이 최근 5년 동안 평균 10%의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수출도 같은 기간 평균 30% 급증하는 등 국내 화장품 산업이 세계적인 불경기 속에서도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것.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발표한 2014년 국내 화장품 생산실적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화장품 업계는 8조9,704억원의 생산실적으로 기록하며 `13년(7조9,720억원)에 비해 12.5% 증가했고, 최근 5년간 평균 성장률도 10.5%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화장품 수출도 급증하여 지난해 수출은 18억7만달러로 `13년(12억8,341만달러)에 비해 40.3%나 급증했으며 최근 5년 평균도 34% 성장했다.

지난해 국내 화장품 생산실적의 주요 특징은 생산실적 지속 증가, 수출 성장세로 무역흑자 지속, 중국과 홍콩에 수출 급증 속에서 미국, 프랑스 등으로부터 수입 증가, 기능성 화장품 생산 비중 증가 등이다.

올해 9조, 내년에는 10조도 가능할 전망


중국 특수로 대한민국 화장품 시장이 큰 주목을 받고 있는 가운데, 올해 국내 화장품 생산실적은 10조원을 돌파할 전망이다.

식약처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화장품의 생산실적은 8조9,704억원으로 최근 5년 평균 10% 이상 성장하여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는 지난해 생산실적을 `10년(6조146억원)과 비교해 보면 약 50% 정도 늘어난 수치다.


특히 이번 조사 결과는 2012년 화장품법전부개정에 따라 제조업이 아닌 직접 제품을 판매하는 제조판매업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라는 점에서 국내 화장품 업계의 위상을 증명하고 있다.

또한 최근 중국 수출이 크게 늘어나고, 중국 관광객들의 화장품 구매 증가, 그리고 한중FTA와 한베 FTA 타결 등으로 수출 증가는 올해 더욱 거세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생산실적도 올해 10조원 고지를 넘을 전망이다.

대한민국 화장품 수출 일등 공신 안착


대한민국 화장품은 내수 부진 속에서 수출 증가로 새로운 전환기를 맞고 있다.

식약처 발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화장품 수출은 18억7만달러로 최근 5년 평균 성장률은 34.3%로 고속 성장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의 경우는 2013년 12억8만 달러(20.3%) 대비 40.3%가 증가 하면서 큰 폭의 성장세를 보였다.

반면 수입 증가율은 수출에 비해 낮았으며 지난해의 경우 수입은 10억4,756만달러로 `13년에 비해 7.8% 증가하는데 그쳤다.



화장품 무역수지는 수출 증가에 힘입어 흑자로 돌아선 `12년 이후 계속 흑자를 유지하고 있으며, 지난해의 경우 무역수지는 `12년(8,926만달러 흑자)에 비해 8배 이상 증가한 7억5,250만달러 흑자로 조사됐다.



화장품 수출 증가는 우리나라 화장품산업의 발전과 함께 품질향상, 한류 열풍의 영향으로 중국, 홍콩, 대만, 태국 등 아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수요가 늘어난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 홍콩 등 아시아 시장 주력


대한민국 화장품 시장은 한류 열풍과 함께 중국, 홍콩, 일본 등 아시아 시장에서 큰 성과를 올린 것으로 분석됐다.

식약처 발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서 제조한 화장품이 가장 많이 수출된 국가는 중국(5억3,360만달러)이었으며, 그 뒤로 홍콩(4억5,253만달러), 일본(1억8,766만달러), 미국(1억2,442만달러), 대만(1억689만달러), 태국(7,781만달러) 등이었다.



특히, 중국에 대한 화장품 수출 성장률은 86.7%로 가장 높았으며, 홍콩도 69.7%나 증가하여 이 두 나라의 수출실적 점유율은 54.8%를 차지했다.



하지만 여전히 수출과 수입이 쏠림 현상을 보여 이에 대한 새로운 시장 개척 노력도 필요할 전망이다.



2014년 수출 상위 10개국에 대한 수출실적은 16억4,020만달러로 전체 수출실적(18억7만달러)의 91.1%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되었으며, 지난해 화장품 수입은 10억4,757만달러였으며, 수입 상위 10개국으로부터 9억8,132만달러가 수입되어 전체의 93.7%를 차지했다.



주요 수입국으로는 미국이 3억2,280만달러로 가장 많았고, 프랑스(2억9,810만달러), 일본(1억2,105만달러), 이탈리아(5,270만달러), 영국(4,946만달러) 등의 순이었다. 이중 상위 3개국의 수입실적은 전체의 70.8%를 차지했다.

올해도 기능성 화장품 생산 비중 증가


올해도 기능성 화장품 생산 비중이 증가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식약처 발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기능성화장품의 생산실적은 2조9,744억원으로 전체 생산실적의 33.2%로 조사되어 생산실적과 점유율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기능성화장품 중에서는 2개 이상의 기능을 갖는 복합기능성 화장품의 생산실적이 1조6,438억원(기능성화장품 중 55.3%)으로 가장 높았고, 그 뒤로 단일 기능성화장품으로는 주름개선(7,518억원), 자외선차단(3,408억원), 미백 기능(2,379억원)의 순이었다.



각각의 기능성 제품을 사용하는 대신에 복합된 기능을 한 번에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바쁜 현대인에게 더 각광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화장품 유형별로는 기초 화장용 제품이 5조929억원(56.8%)로 가장 많이 생산되었으며, 색조화장용(1조4,264억원(15.9%)), 두발용(1조3,047억원(14.5%)), 인체세정용(6,447억원(7.2%)) 등이 그 뒤를 따랐다.



기초 화장용 제품 중에서는 로션·크림제의 생산실적이 1조9,520억원(21.8%), 에센스·오일이 1조465억원(11.7%), 수렴·유연·영양 화장수가 7,230억원(8.1%)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상위 10개사 전체 생산금액 중 74.34% 차지


대한민국 화장품의 폭발적인 성장으로 앞으로의 성과에 대한 기대감이 더 높아지고 있지만 일부 상위사들이 여전히 높은 점유율을 기록해 업계의 부익부빈익빈 현상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식약처 발표 자료에 따르면 상위 10개사가 지난해 국내 화장품 전체 생산금액 중 74.34%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모레퍼시픽LG생활건강의 비중은 전체 62.24%였으며, 여기에 LG생활건강의 계열사인 더페이스샵(1.75%)과 아모레퍼시픽의 계열사인 이니스프리(1.45%), 에뛰드(1.30%)를 더하면 비중은 66.74%에 달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아모레퍼시픽`이 3조5,166억원을 생산하여 국내 생산실적의 39.2%를 차지해 1위를 기록했고 그 뒤로 `엘지생활건강`이 2조670억원(23.0%), `더페이스샵` 1,573억원(1.75%), `애터미` 1,551억원(1.73%), `에이블씨엔씨`가 1,486억원(1.66%) 등의 순이었다.

눈길을 끄는 부분은 더페이스샵과 미샤와 어퓨를 운영하는 에이블씨엔씨, 이니스프리, 네이처리퍼블릭, 에뛰드 등 상위사 10개 중 절반이 화장품 브랜드숍이라는 것과 다단계 업체인 애터미가 순위에 오른 것 등이다.


이번 발표와 관련 식약처는 "국내 화장품 수출을 포함한 생산실적이 급증하는 것은 국산 화장품의 안전성과 품질의 우수성을 국내·외에서 인정받고 있는 것으로 향후에도, 화장품 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제도의 국제 조화 및 합리화 등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국산 화장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중국, 홍콩, 동남아 시장 뿐 아니라 유럽, 중남미 등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글로벌 시장에 부합하는 우수한 브랜드와 다양한 품목 개발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해 아모레퍼시픽의 `설화수 자음생크림(60mL)`이 794억원으로 제품 가운데 가장 높은 생산실적으로 자랑했으며, 그 뒤를 `설화수 자음유액(125ml)`(761억원), `설화수 자음수(125mL)`(754억원), `헤라 UV 미스트 쿠션 C21호(30g)`(741억원), 설화수 윤조 에센스(90mL)`(613억원) 등 아모레퍼시픽 제품들이 상위 10개 중 8개를 차지했다.

반면 지난해 중국에서 인기를 얻은 LG생활건강의 `더 히스토리 오프 후 비접 자생에센스`(45mL)가 8위를, 네이처리퍼블릭의 `수딩앤 모이스처 알로에 베라 92% 수딩젤`(300mL)이 10위를 기록해 눈길을 끌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