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 별세한 가운데 향후 삼성그룹주의 향방에 대한 국내 자산운용사 주요책임자(CIO)들의 평가가 엇갈리고 있다. 삼성그룹의 지배구조 개편 가능성에 삼성생명과 삼성물산, 삼성전자가 수혜를 볼 것이란 진단이 있는 반면, 어느 한 곳도 유리하진 않을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2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대다수 국내 CIO들은 이 회장 별세에 따른 수혜주로 지분 매각과 지배구조 개편 이슈가 존재하는 삼성물산과 삼성생명, 삼성전자를 꼽았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이 회장이 보유한 상장주식은 지난 23일 종가 기준으로 총 18조2,251억원 수준이다. 이 회장은 삼성전자 2억4,927만3,200주(지분율 4.18%), 삼성전자 우선주 61만9,900주(0.08%), 삼성SDS 9,701주(0.01%), 삼성물산 542만5,733주(2.86%), 삼성생명 4,151만9,180주(20.76%) 등을 보유하고 있다. 다만 실제 상속시 부여되는 평가액은 사망 전후 2개월, 총 4개월의 종가 평균을 기준으로 산출되기 때문에 향후 2개월의 주가 변화에 따라 달라질 예정이다.
현재 이재용 부회장과 장녀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차녀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은 이 회장의 보유 지분을 상속하기 위해 약 10조원의 상속세를 내야할 것으로 보인다. 현행 상속세법령에 따라 평가액 30억원이 넘는 주식은 최고세율 50%가 적용되고, 증여자가 최대주주나 특수관계인일 경우 평가에 대한 20% 할증이 적용된다.
이 부회장 등 이 회장의 직계가족들이 10조원에 달하는 상속세를 내기 위해선 지분 매각 없이는 힘들 것이라는 게 국내 CIO들의 지배적인 시각이다. 상속세 마련을 위해 이 회장의 상속 자산 중 핵심 계열사인 삼성전자와 지배구조 상 최상위 계열사인 삼성물산의 매각 대신 삼성생명의 지분 매각 가능성이 높다는 진단이다.
한 국내 자산운용사 CIO는 "이 회장 별세로 수혜를 볼 삼성그룹주는 삼성전자와 삼성물산, 삼성생명"이라며 "이 가운데 핵심 계열사인 삼성전자와 지배구조 상 최상위 계열사인 삼성물산의 매각 가능성이 낮고, 삼성생명은 매각 후 배당 확대를 통해 증여세를 감당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허남권 신영자산운용 대표는 "향후 삼성그룹의 지배 회사가 누가 될 것이냐가 관건"이라며 "삼성그룹이 지주회사 체제로 간다면 삼성물산의 지분가치를 높일 수 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반면 일각에선 이 회장의 별세가 삼성그룹주의 주가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이미 이 회장이 6년간 와병중인 상황이었던데다, 현재 이재용 부회장이 경영권 승계 관련 재판을 받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여기에 일부 정치권의 부정적인 시각에 당장 지배구조 개편에 나서긴 무리라는 설명이다. 실제 `삼성 저격수`로 불리는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이 회장의 별세 소식에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빈다"면서도 "삼성과 우리 경제의 새 출발, 새 질서가 시작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또 다른 국내 자산운용사 CIO는 "이 회장이 수년간 활동을 못한 만큼, 지분 이슈보단 공식적인 세대교체로 받아들이는 게 맞는 것 같다"며 "시장은 지배구조 개편과 관련된 수혜주에 관심을 가지겠지만, 내재가치와 펀더멘털은 중립적"이라고 판단했다.
한 국내 자산운용사 CIO도 "지금 이 부회장의 재판이 끝난 게 아닌 가운데 이 부회장에게 유리하게 지배구조가 개편될 경우 최종 판결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박용진 의원이 한 마디 한 만큼, 한쪽에 유리하게 지배구조가 개편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주가는 지배구조 개편 예상 시나리오로 움직일 수 있겠지만, 대부분 생각대로 안 됐다”며 “오히려 시장에서 예상하는 시나리오가 아닌 현재 상태 그대로 갈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