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에너지 비중이 늘면 전력망 자체 투자 늘어야"
오는 2030년 전기요금이 지금보다 24% 오르고, 전환부문(전력부문)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는 달성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글로벌 에너지 컨설팅기업 우드맥킨지는 15일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재생에너지 확대로 인해 2030년 한국 소비자가 내는 전기료가 2020년 대비 24% 상승할 것"이라고 밝혔다.
우드맥킨지는 상대적으로 발전 비용이 비싼 재생에너지의 비중 확대로 인해 전력비가 늘고, 재생에너지의 불안정성 문제 해결을 위한 송배전망 투자가 확대되면서 전기요금이 인상될 것으로 내다봤다.
24% 인상은 정부가 내놓은 전망치와 크게 차이가 난다.
정부는 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공청회에서 2030년까지 전기요금 인상 폭을 2017년 대비 10.9%로 예상한 바 있다. 단, 여러 불확실성이 있어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다는 단서를 달았다.
우드맥킨지는 이런 차이에 대해 발전 비용에 대한 예측은 한국 정부와 비슷하지만, 송배전 비용 등을 다르게 계산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전력 및 재생에너지 부문 아태지역 책임자인 알렉스 휘트워스는 "재생에너지 비중이 늘어나면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 전력망 자체에 대한 투자가 늘어야 한다"며 "일부 유럽 국가는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30%가 되면서 전기료가 두 배까지 오르기도 했다"고 말했다.
우드맥킨지는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34%로 확대하겠다는 정부 목표를 초과 달성할 것으로 내다봤다.
휘트워스는 "한국의 재생에너지 발전에 대한 투자가 지난해 58억달러에서 2030년까지 연간 89억달러로 증가하면서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2030년 38%로 높아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하지만 정부가 설정한 2030년 전력부문 온실가스 감축 목표는 달성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휘트워스는 "원전 비중을 낮추는 동시에 석탄·가스 발전 등 화석연료 사용을 충분히 줄이지 못하면서 전력 부문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2030년까지 2억5천100만t으로 작년보다 7%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2030년 전력부문 온실가스 배출 목표를 1억9천300만t으로 설정한 바 있다.
휘트워스는 "목표를 달성하려면 원전 비중을 줄인 부분을 석탄, 가스가 아닌 재생에너지로 더 많이 대체하는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다만 정부의 2050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는 희망이 있다고 진단했다.
아태지역 시장 및 이행 전략 부문 책임자인 프라카쉬 샤르마는 "저탄소 수소,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 소형 원자력, 배터리 기술 등을 활용하면 2050년 탄소중립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2050년까지 화석연료 비중을 50% 아래로 낮추고 수송 부문을 100% 전기차로 전환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또한 수소 수요를 2050년까지 1천200만t으로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김현경 기자
khkkim@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