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은행업계가 연일 실적 새 역사를 써내려가고 있는 가운데 4대 시중은행들이 지난 3년 동안 임원들에게 지급한 성과급이 무려 1천억 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종민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0년부터 올해 5월까지 국민과 신한, 하나, 우리은행 등 4대 시중은행들이 임원들에게 지급한 성과급은 모두 1,083억 원으로 집계됐다.
은행별로 성과급 규모가 가장 큰 곳는 우리은행으로, 347억4천만 원이 지급됐으며 국민, 신한은행이 각각 299억 원과 254억 원, 하나은행이 183억 원으로 그 뒤를 이었다.
특히 국민은행의 경우 임원 한 명이 2020년에만 4대 은행 통틀어 최대인 12억 원 규모의 성과급을 받기도 했다.
같은 해 우리은행에서 가장 많은 성과급을 받은 임원은 6억1천만 원을 수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나은행과 신한은행은 각각 5억 원, 3억1,100만 원이 최대 규모였다.
또 지난 3년 동안 성과급을 받은 임원은 모두 1,047명으로, 우리은행이 455명으로 가장 많았고 신한, 국민은행이 각각 238명과 218명, 하나은행이 136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지난 2020년 5월 역대 최저인 연 0.5%까지 떨어졌던 한국은행 기준금리는 이듬해 8월부터 반등하기 시작, 지난달 연 2.25%까지 올랐다.
그런데 이 기간 동안 국내 은행들은 대출 상품에는 기준금리 인상을 적극 반영한 반면 예적금 금리 인상에는 비교적 소극적으로 대응하면서 이른바 `이자 장사`로 막대한 이익을 남겼다는 지적들이 쏟아져 나왔다.
더구나 최근 급격한 금리 인상으로 서민들의 대출상환 부담이 나날이 커져가고 있지만 은행들은 `성과급 잔치`를 벌이고 있다는 비판을 면치 못하고 있다.
김 의원은 "서민들은 대출금리 상승으로 이자 상환도 어려운 상황에서 시중은행들이 성과급 잔치를 했다는 사실에 유감"이라며 "연간 10억 원이 넘는 성과급이 국민적 눈높이에 맞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서 예대 금리차 해소를 위해 금융당국이 적극 나서는 한편 국회에서도 관련 법률과 제도 개선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