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질환 영상 인공지능(AI) 솔루션 전문기업 뉴로핏이 `제10회 자기공명국제학술대회(International Congress on MRI : 이하 ICMRI 2022)`에서 연구 초록 공개를 통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뇌 영상 분석 기술 및 뇌질환 예측 방법에 대한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학술대회에서 뉴로핏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인지 기능 장애 예측 방법에 대한 연구 초록을 2편 발표했다. 초록 주제는 각각 `인지 기능 장애 바이오마커로 활용되는 뇌 나이 예측에 대한 새로운 방법(A Backward-Computational Method for Estimating Brain-age as a Biomarker of Cognitive Impairment)`과 `뇌 영상 분석을 통한 인공지능 기반의 3년 내 인지 기능 저하 예측 모델 개발(Prediction of Cognitive Decline within 3 year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Using Multi-modal Neuroimaging Features)`이다.
세계적인 고령화 인구 증가로 치매 및 인지 기능 장애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면서 의료진은 뇌 건강 상태를 환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다양한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 뇌 건강에 대한 용어가 환자들이 이해하기 다소 어려워 의료진은 인지 능력과 뇌 영상 데이터 분석 결과를 종합한 뇌 나이 수치를 환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의료진이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뇌 나이는 치매가 진행되기 전에 나타나는 인지 기능 장애 발생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데 뉴로핏은 뇌 나이를 기반으로 환자의 인지 기능 장애 발생 정도를 확률적 수치로 제공하는 방법을 고안해냈다.
또 MRI와 PET(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 영상을 인공지능으로 분석한 결과를 활용해 뇌 영역별 부피 정보, 백질의 변성(WMH),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 및 뇌신경 세포 대사 감소에 대한 SUVR(표준 섭취 계수율) 등을 산출하고, 향후 3년 이내에 인지 기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는 확률 예측 모델을 개발해 유의미한 연구적 성과를 달성했다.
뉴로핏은 이들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영상 분석 기술로 알츠하이머병 바이오마커인 `아밀로이드(A)-타우(T)-신경 퇴행(N)-혈관성 신경병리(V)`를 정량화해 치매의 종류와 단계를 찾는 `ATNV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뉴로핏은 이번 학술대회에서 진행된 아고라 강의를 통해 2건의 연구 발표도 진행했다. 강의 주제는 각각 `뇌 영상과 뇌 노화: AI 및 뇌 영상 분석에 대한 연구(Neuroimaging and Brain aging: AI & Neuroimaging Research)`와 `치매 연구의 예후 예측, 병기 구분, 분석에 대한 정량적 접근법(Quantitative Approach for Prognosis/Staging/Analysis in Dementia Study)`이다.
빈준길 뉴로핏 대표이사는 "뉴로핏이 연구 중인 치매 예후 예측, 병기 구분, 분석 등 다양한 연구 성과를 ICMRI를 통해 공개했고 학술대회 참석자분들이 큰 관심과 호응을 보였다"며 "우수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의료 현장에서 뇌질환 환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제품을 만들 수 있도록 연구 개발 및 기술 고도화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올해로 10회째를 맞는 `ICMRI 2022`는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 주최로 지난 4일부터 5일까지 그랜드워커힐 서울 호텔에서 열렸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