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글로벌 금융시장이 미 국채 금리에 좌우되는 천수답 장세가 지속되고 있는데요. 美 10년물 금리가 5를 재돌파하지 않았습니까?
- 美 10년물 국채 금리, ‘魔의 선’ 5 재돌파
- 국채 자경단 출현과 공매도 청산, 동시 거론
- 국채 금리 향방과 채권 투자 관련해 ‘중요한 의미’
- 국채 자경단, 1984년 야데니가 ‘첫 거론’
- 국채 금리 상승 겨냥, 국채 무자비하게 청산
- 채권 공매도 청산, 애크먼이 오랜만에 언급
- 공매도 청산, 국채 가격 하락세 ‘저점’ 전략
- 연준과 파월, 어느 쪽에 손을 들어줄 것인가?
Q. 미 국채 자경단과 공매도 청산 세력이 동시에 출현했다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는지 말씀해 주시지요.
- 美 국채 금리 5 돌파, 역사적으로 본 그 다음 단계는?
- 10년물 손익분기점, 장기 기대인플레의 2배
- 현재 장기 기대인플레 2.45…4.7∼5.1
- 10년물 금리 5.5 돌파 확률, 1도 안돼
- 美 10년물 국채 금리 5…‘정점에 왔다’ 인식
- 10년물 금리 전망, 그 어느 때보다 엇갈려
- 글로벌 IB “금리 하락” vs 美 학계 “7 급등”
- 역사적인 분석은 참고지표, 현재 상황은 달라
Q. 팽팽히 맞서고 있는 자경단과 공매도 청산 세력 간 대립 속에
11월 FOMC가 일주일 앞으로 다가오지 않았습니까?
- 11월 FOMC, 2024 회계연도 ‘첫 번째 회의’
- 45일 동안 임시예산안 처리…정상대로 진행
- 차기 하원의장 선출 난항…셧다운 우려 남아
- 파월의 수수께끼, 어떤 입장 보일 것인가?
- Powell's conundrum
- 기준금리 이상으로 시장금리 급등 현상
- 그린스펀 수수께끼 현상 이후 금융위기 발생
- 파월, 국채 금리 안정 방안 내놓을 수 있을까?
- 국채 금리 안정 방안 없으면, 공매도 청산 ‘성공’
Q. 국채 금리가 이상 급등함에 따라 파월과 연준에 대한 비판이 갈수록 고조되고 있지 않습니까?
- 美 국채 금리 5.1 근접, 제2 금융위기 우려↑
- 채권 투자 대학살, 손실액 ‘snowball effect’
- 원리금 상환 부담, 신용불랑자와 파산자 급증
- 연준의 대응 방식에 강한 비판 ‘갈수록 고조’
- 공급 측 인플레, 금리 인상으로 잡을 수 있나?
- 파월과 연준의 실수, 왜 국민들에게 전가하나?
- 연준과 파월, 국채 금리 안정화 방안 ‘깊은 고민’
Q. 파월 의장 입장에서도 당혹스러울 수밖에 없는데요. 지난주 파월 발언을 보면“이상 급등하는 국채 금리가 안정되기 위해서는 성장률이 낮아져야 한다”고 언급하지 않았습니까?
- 파월 “성장률이 잠재수준으로 하회해야 물가 안정”
- 작년 3분기 이후 2대 성장세, ‘no landing’
- 10월 26일 발표 예정, 3분기 성장률 속보치 5 넘나?
- 연준이 추정하는 美 경제 잠재성장률 1.7
- 오쿤의 법칙, 성장률이 잠재치 상회시 ‘인플레갭’
- 작년 3분기 이후 인플레갭, 3분기 3p 이상 확대
- 바이든과 美 국민, 1.7 하회하는 성장률 용인하지 못해
Q. “국채 금리가 급등하는 것을 안정시키는 방안으로 노동시장도 느슨해져야 한다”고 봤는데요. 파월의 이런 시각은 눈에 곱지 않을 거 같은데요?
- 파월, 노동시장에 대한 3가지 잣대에 비판 고조
- 실업률 예측 실패, 완전고용 2∼3년 후도 불가능
- 경기침체 우려, 견실한 노동시장 이유로 반박
- 국채 금리 급등, 노동시장이 느슨해 져야 안정
- 노동시장, 코로나 사태 이후 구조적 대변화
- 물가와 실업률 간 '필립스 역관계’…왜곡 심화
- 베버리지 곡선, 구인율과 실업률 역관계 변화
- 실업률 높아지더라도, 국채 금리 안정 보장 불가
Q. 파월이 생각하는 국채 금리 안정화 방안은 많은 문제점이 있는 거 같은데요. 오히려 국채 금리를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발상의 대전환’이 필요하다고 보는 시각이 많지 않습니까?
- 인플레 성격, 종전과 다른 다중 복합 공선형
- 총수요요인 vs. 총공급요인 ‘vicious cycle’
- 요인 분석, 오히려 공급 측 요인이 더 크게 작용
- 저물가 시대를 연 디지털 요인도 악마로 변신
- 1990년대 후반 이후 디지털, ‘아마존 효과’ 발생
- 코로나 이후 디지털 독과점 시대, 역아마존 효과
- 연준, 뒤늦게 1980년대 방식인 볼커 모멘텀으로 대처
- 인플레 잡는 데에 한계 노출, 발상의 대전환 필요
Q. 가장 큰 발상의 대전환이라 한다면 연준과 파월이 인플레를 잡기보다는 일정 수준은 용인해야하는 것 아닙니까?
- 연준, 인플레 잡기보다 일정수준 용인 필요
- 물가상승률 2와 실업률 3.5 목표선 고집
- 물가 용인, 2013년부터 물가목표선 상향 논의
- 바이든 정부 출범 이후, 인플레 타깃팅 재논의
- 전미경제학회·밀컨 콘퍼런스·잭슨홀 미팅 ‘단골 메뉴’
- 크루그먼 교수 등은 현행 2→4 ‘상향 조정’
- YCC, 일정수준 이상 인플레 용인해야 도입 가능
- 연준, 경기부양 등 다른 거시경제 목표 고려해야
지금까지 도움 말씀에 한국경제신문, 한상춘 논설위원이었습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