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문자 길이 논란 불똥 튄 이통업계…"지금도 157자 가능"

입력 2023-06-13 05:45  

재난문자 길이 논란 불똥 튄 이통업계…"지금도 157자 가능"
업계 관계자 "기술 구현 완비됐고 행안부 결정만 남아"



(서울=연합뉴스) 임은진 오규진 기자 = 서울시와 행정안전부가 최근 북한 발사체 경계경보 문자 메시지 오발령 논란에 공방을 벌이면서 불똥이 애먼 통신업계로도 튀고 있다.
일각에서는 짧은 문자 길이 탓에 정보를 충분하게 제공하지 못한 것 아니냐는 의견을 내기도 했지만, 업계에선 기술이 아닌 정책 문제라고 반박한다.
13일 정보통신기술(ICT) 업계에 따르면 현재 긴급재난문자는 '문자 메시지 송출 서비스'(CBS·Cell Broadcasting Service)를 통해 발생지역에 있는 휴대전화 이용자에게 전송된다.
같은 기지국 안에 있는 단말기에 같은 내용을 일괄적으로 보내는 방식이다.
CBS 방식을 통한 현행 재난문자 길이는 180바이트(한글 90자)로, 2017년에 개정된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표준인 'TTAK.KO-06.0263_R3'을 따르고 있다.
당시 국민안전처였던 행안부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나 멀티 메시지 서비스(MMS) 방식과 달리 재난문자를 위한 별도의 규격을 정했다. 한글 90자를 넘기면 문자가 두 개로 나눠지거나, MMS로 전환되지 않고 90자만 전송하고 뒷부분은 잘린다.
그 뒤 글자 수 확대 요구가 있어 2021년 열린 행안부 주관 민관 협의체에서 재난문자 길이를 157자까지 늘리기로 했다. 관련 표준도 2019년 6월 'TTAK.KO-06.0263_R4'에 이어, 지난해 'TTAK.KO-06.0263_R5'로 개정됐다.
통신업계는 여기에 발맞춰 5세대 이동통신(5G)은 물론, 롱텀에볼루션(LTE) 단말기도 157자까지 재난문자를 보낼 수 있도록 기술을 개발했다.
90자에서 157자로 확대해 더 많은 정보를 담기 위한 준비는 마련된 셈이다.
문제는 행안부가 정책적 결정을 유보하고 있다는 점이라고 한다.
행안부는 구형 단말기가 확대된 재난문자를 수신하지 못할 가능성을 우려해 시행 시점을 신중히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재난문자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전문가 자문 등을 거칠 예정이다.
하지만 이와 관련해 업계에 협조를 요청한 적은 아직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에선 LTE나 3세대 이동통신(3G)을 사용하는 구형 단말기의 경우 재난안전정보 포털 앱 '안전디딤돌' 설치 등을 통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말한다.
한 업계 관계자는 "LTE 장비도 국내 독자적인 표준을 만들면 150자 넘는 문자 발송도 가능하다"며 "현재 기술로는 글자 수 확대뿐 아니라 사실 사진과 영상 발송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동통신사는 설비만 빌려줄 뿐 재난문자에 어떤 내용이 들어가고 어떻게 써야 하는지는 행안부의 지침 문제"라고 지적했다.
다른 관계자도 "통신사들은 이미 157자 확대를 위한 기술 구현을 완비했지만, 행안부가 주저주저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acdc@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