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인 막히니 "증권사인데요"…리딩방 사기에 증권가 곤욕

입력 2024-05-21 06:30  

유명인 막히니 "증권사인데요"…리딩방 사기에 증권가 곤욕
주요 업체명 도용 최근 활개…법인 사칭만으론 처벌 어려워
"광고글 지워도 좀비처럼 부활"…사후약방문 접근 탈피 필요



(서울=연합뉴스) 김태균 기자 = 최근 주요 증권사를 사칭하는 투자리딩방(투자추천 대화방) 사기가 크게 늘어나 증권가가 홍역을 앓고 있다.
연예인 등 유명인을 내세우는 사기 수법이 널리 알려져 대중의 경각심이 커지자 수법을 바꾼 것이다. 법인 사칭 행위만으로는 수사가 어렵다는 맹점을 악용한 것으로 보인다.
2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이번 달 들어 삼성증권, 하나증권, 토스증권 등 유명 증권사를 사칭한 리딩방 광고가 인터넷 상에 대거 돌아 해당 증권사에서 급히 당국 신고와 이용자 공지 등의 조처를 했다.
사기범들은 페이스북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나 온라인 광고 등에서 증권사 이름을 버젓이 내걸거나 사명을 교묘히 바꾼 계정을 내세워, 임직원 행세를 하며 피해자를 리딩방에 초대한다.
증권사는 사명 도용 사례를 파악하면 SNS 등에 연락해 광고글 차단에 나서지만 중과부적이다. 국내법 상 개인이나 법인을 사칭하는 행위 자체만으로는 처벌이 어렵기 때문이다.
이런 광고가 금융 사기나 업무 방해 등 실제 다른 범죄의 위험을 안고 있음을 세세히 증명해야 해, 삭제까지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것이 업계의 한탄이다.
증권업계의 한 관계자는 "설령 지워도 이런 광고글은 금세 좀비처럼 새 계정으로 살아난다. 불가피하게 피해자를 최소화하고자 이용자 당부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전했다.
리딩방 사기는 투자 대중화 바람을 타고 전국 각지로 번지고 있다. 작년 9월부터 올 3월까지 국내 누적 피해액은 약 2천970억원에 달한다.
연예인과 금융전문가 등 유명인을 사칭하는 수법이 기승을 부리자, 지난 3월 방송인 송은이와 주진형 전 한화투자증권 대표 등이 사태 해결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기도 했다.
경찰 관계자는 "유명인 사칭 수법이 많이 알려져 잘 안 통하니 '풍선 효과'로 증권사를 내세우는 기법이 다시 많아지는 것으로 보인다"며 "사기범은 끊임없이 사기 시나리오를 업데이트하기 때문에 또 사칭 대상이 어떻게 바뀔지 예측하기가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업계 일각에서는 매번 누가 돈을 잃어야 수사하는 '사후약방문' 대응으로 리딩방 문제를 풀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리딩방 광고를 적발해 경고문을 붙이거나 사기 의심 계좌를 동결하는 등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이런 예방적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법안('사기방지기본법')이 국회에서 이미 발의됐지만, 21대 국회의 문턱을 넘지 못했다.
다급해진 증권사는 당장 필요한 자구책 마련을 고심하고 있다. 토스증권은 사칭 범죄를 방지하고자 외부 보안 업체를 따로 고용해 모니터링 작업을 펼 계획이라고 전했다.
ta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