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일주일 평균 49시간55분 일한다···근무 시간 가장 긴 직무는?

입력 2018-10-17 10:23  




[캠퍼스 잡앤조이=김정민 인턴기자] 직장인들이 일주일에 평균 49시간 55분을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별 근무시간은 생산·현장직이 51시간 49분으로 가장 높게 나타난 가운데 연구개발, 전문·특수직도 주간 근무시간이 50시간을 넘고 있었다.

17일 잡코리아와 알바몬이 함께 주 5일제 근무 중인 직장인 1,723명을 대상으로 ‘주간 근무시간’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직장인들이 일주일에 근무하는 시간은 평균 49시간 55분으로 집계됐다. 

직무별 근무시간을 살펴 보면 '생산·현장직'이 51시간 49분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연구개발’(50시간 24분), ‘전문·특수직’(50시간 22분) 순이었다. 주당 근무시간이 가장 낮은 직군은 ‘TM고객상담’으로 43시간 59분이었으며, ‘기획·인사총무’(46시간 13분), ‘IT·시스템·개발’(47시간 22분) 등이 뒤를 이었다.

기업 유형별로는 중소기업의 주당 근무시간이 평균 49시간 58분으로 가장 길었으며, ‘중견기업’(48시간 21분), ‘공기업’(46시간 34분), ‘대기업’(46시간 22분) 순이었다.

휴일근로를 포함한 야근 등 연장근무 여부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지를 물은 결과, 53.9%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할 수 있다’고 답했다. 이와 같은 응답은 대기업에서 65.4%로 가장 높았으며, 중소기업은 50.4%로 가장 낮았다. 반면 46.1%는 ‘나의 의사나 판단과 관계없이 분위기 또는 방침상 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고 답했다.

출퇴근 시간을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는 79.7%가 ‘정해진 출퇴근 시간이 있어 반드시 그 시간을 지켜야 한다’고 답했다. ‘특정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조절하는 등 유연한 출퇴근 시간’은 20.3%에 그쳤으며, 이 가운데 공기업이 28.9%로 가장 높았다.

원하는 시점에 자유롭게 자신의 휴가를 쓸 수 있는지를 물은 결과, 중소기업 직장인의 59.6%가 ‘많은 제약이 있어서 사실상 자유롭게 쓰지 못한다’고 답했으며, 이는 전체 평균 53.3%보다 약 6.0%, 대기업 평균 37.7%보다 약 22.0%나 높은 수치로 나타났다.

직장 내에서 충분한 역량을 발휘하여 만족할만한 성과를 내는지를 묻는 질문에도 출퇴근이 유연한 그룹의 직장인이 ‘만족할만한 성과를 내고 있다’(63.3%)고 답했다. 반면 출퇴근 시간이 고정됐다는 직장인들의 경우 만족할만한 성과를 낸다는 응답이 33.8%로 절반 수준에 그쳤다.

kelly7795@hankyung.com

< 저작권자(c) 캠퍼스 잡앤조이, 당사의 허락 없이 본 글과 사진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