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IB수수료 과당경쟁의 후유증

입력 2013-03-03 17:04   수정 2013-03-03 22:03

정영효 증권부 기자 hugh@hankyung.com


“100명이 넘는 직원을 데리고도 3명에 불과한 필리핀 법인보다 돈을 못 버니 본사에선 한국 법인을 필리핀 법인보다 홀대합니다.”

한 외국계 증권사 한국 대표는 얼마전 사석에서 이렇게 하소연했다. 엄살처럼 들려 “설마, 100명이 3명을 이기지 못하느냐”고 되물었다. 그는 작년 실적을 비교하며 “틀림없는 사실”이라고 몇 번이나 강조했다. 그가 말하는 사연은 이랬다.

필리핀 정부의 채권 발행을 증권사가 주관하면 수수료로 발행금액의 6~7%를 받는다. 한국은 다르다. 각종 주관 수수료가 필리핀보다 형편없이 낮다. 예금보험공사가 현재 추진하는 한화생명 블록딜(시간외 대량매매)의 경우 주관 수수료는 0.01%로 알려져 있다. 단순하게 비교하더라도 600~700배 차이다. 그러니 한국 법인 직원 33명이 달라 붙어도 필리핀 법인 직원 1명을 당해낼 수가 없다는 게 이 증권사 대표의 설명이었다.

그는 한술 더 떴다. “필리핀 시장의 수수료가 국제 금융시장에서 유별나게 높은 것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미국 나스닥시장에서 기업공개(IPO)를 주관하는 증권사가 받는 수수료도 5~6% 수준이라고 했다. “100년 넘게 깨지지 않는 일종의 불문율”이라는 설명도 덧붙였다. 떠오르는 자본시장인 중국에서는 ‘증권사들이 부르는 게 값’이란 농담이 돌 정도라는 말도 빼놓지 않았다.

그렇다면 한국의 주관 수수료는 왜 이렇게 싸졌을까. 외국 증권사 대표는 한국 기업의 인색함과 증권사들의 과당경쟁을 원인으로 꼽았다. 기업들로선 증권사가 많다 보니 입맛에 맞는 증권사를 얼마든지 골라잡을 수 있다. 당연히 수수료를 싸게 제시하는 증권사를 선호한다.

그러다 보니 외국계 증권사에 국내 시장은 별로 재미없는 시장이다. 영국계 RBS와 바클레이즈의 투자은행(IB)부문이 한국에서 철수키로 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기자에게 속내를 털어놓은 외국계 증권사 대표는 “이런 식이라면 앞으로도 상당수 외국 증권사가 한국을 빠져나갈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문제는 한국 토종 IB의 경쟁력”이라며 “아직 국제시장에서 미미한 존재인 한국 IB가 해외 자본을 국내에 끌어들여온 외국계 증권사의 역할을 제대로 해낼지 의문”이라고 덧붙였다. 지나친 수수료 덤핑경쟁이 한국 IB의 경쟁력을 갉아먹고 있다는 얘기로 들렸다.

정영효 증권부 기자 hugh@hankyung.com


▶ 女교수, 딸에게 '콘돔' 주면서 하는 말이

▶ '아빠 어디가' 출연 한 번에 2억5천만원 횡재

▶ 女비서 "사장님 몸종 노릇에…" 눈물 고백

▶ 정가은, 출장마사지男 집으로 불러서는…파문

▶ 女고생 학교 앞 모텔에 들어가 하는 말이…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