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과 날줄] 가을엔 편지를 하겠어요

입력 2013-11-08 21:32  

"이메일·문자메시지엔 담을 수 없는
푸근한 마음·감동 가득한 손편지
이 가을 가기 전 한 통 써 보내기를"

이승하 < 시인·중앙대 교수 shpoem@naver.com >



고은의 시 가운데 노래로 만들어진 것이 많은데 그중에 김민기가 곡을 붙이고 최양숙이 부른 ‘가을엔 편지를 하겠어요’란 곡이 있다. ‘가을엔 편지를 하겠어요. 누구라도 그대가 되어 받아 주세요. 낙엽이 쌓이는 날, 외로운 여자가 아름다워요.’ 이렇게 시작되는 곡은 ‘낙엽이 사라진 날, 모르는 여자가 아름다워요’로 끝난다. 가사도 곡조도 참 좋은 곡이다. 그런데 이메일과 스마트폰 문자메시지로 의사소통을 하는 오늘날, 편지를 쓰는 이는 거의 없다. 연애편지? 글쎄, 편지로 사랑하는 마음을 전하는 연인이 과연 있을까?

함민복은 ‘자본주의의 사연’이라는 시에서 현대는 편지라는 것의 기능이 사라진 시대임을 강조했다. ‘성동구 금호 4가 282번지/ 네 가구가 사는 우편함’이 제1연이고 제2연은 ‘서울특별시의료보험조합/ 한국전기통신공사전화국장/ 신세계통신판매프라자장우빌딩/ 비씨카드주식회사/ 전화요금납부통지서/ 자동차세영수증/ 통합공과금…’ 하면서 계속 이어진다. 그리고 ‘이 시대에 왜 사연은 없고/ 납부통지서만 날아오는가// 아니다 이것이야말로/ 자본주의의 절실한 사연 아닌가’ 하고 끝맺는다. 편지함에 수북이 쌓여 있는 편지봉투를 보니 다 이렇게 돈을 내라, 무얼 사라고 하는 것들이고 사연 담긴 편지는 한 통도 없어서 자본주의의 사연은 이런 것이려니, 통탄하는 마음으로 이 시를 썼을 것이다.

편지를 도무지 안 쓰는 시대여서 편지 쓰기 숙제를 학생들에게 내주었다. 내가 어렸을 때 위문편지를 숙제로 써냈듯이. 다음 주까지 가족 중 한 사람에게 꼭 편지를 써서 봉하지 말고 제출하라고 했더니 다들 난감하다는 표정을 지었다.

숙제라고 하니 대다수 학생이 성의껏 써왔다. 자기 집 주소의 우편번호를 모르는 학생이 있었다. 우표 살 곳이 없더라고 우표를 안 붙인 학생, 규격봉투가 아닌데도 300원짜리 우표를 붙여서 갖고 온 학생도 있었다. 대학생이지만 지금까지 한 번도 편지를 누구에게 써본 적이 없는 학생이 태반이었다. 우체국에 가서 일괄 부치면서 든 돈 몇천원이 아까웠을 리 없다. 한 여학생의 편지 일부를 소개해도 될지 모르겠다.

‘To 할머니♥ 안녕하세요. 저 민혜예요. 할머니한테 편지는 처음 쓰는 거 같다 그치? 추석에 할머니 뵙고 왔잖아요. 할머니 아픈 모습만 보니깐 너무 속상하더라. 항상 밝고 큰 목소리로 ‘민혜야~’라고 불러주던 할머니였는데 작아진 할머니의 목소리가 세월을 알려주는 것 같았어. (중략) 할머니~ 할머니랑 나랑 목욕탕 같이 가던 시절 기억나? 엄마랑은 잘 안 가도 할머니랑 갈 때가 좋았는데. 그때처럼 할머니가 건강했으면 좋겠다. 이젠 누군가에게 업혀야만 어딜 갈 수 있는 할머니의 모습. 당신의 아픈 다리, 더 이상 움직일 수 없는 다리를 보며 놀라던 할머니의 눈물. 잊을 수가 없네요. 왜 밥도 잘 안 챙겨먹고 그래… 괜히 속상해지네. (하략)’

할머니 곁에서 속닥속닥 말하듯이 정답게 쓴 편지였다. 손녀의 할머니 사랑과 할머니의 손녀 사랑이 진하게 느껴져 따뜻한 감동을 전해주는 것이었다. 6·25전쟁의 와중에 장사를 하며 9남매를 키운 한 어머니의 눈물겨운 생애가 그려져 있어서 감동은 배가됐다. 몸이 불편하신 그 할머니는 손녀가 보내준 이 편지를 오래 간직하며 감격해하리라.

친필로 쓴 편지는 이렇게 이메일이나 문자메시지가 할 수 없는 기능을 한다. 사람을 감동시키고 고마워하게 한다. 쓸데없는 정보와 악성댓글이 넘쳐나는 이 시대, 고비사막만큼이나 삭막한 이 시대에 사랑하는 사람에게 편지를 한 통 썼으면 좋겠다. 이 가을이 가기 전에 당신의 마음을 편지로 전하시기를. 가을엔 편지를 하겠어요~ 노래도 흥얼거리며.

이승하 < 시인·중앙대 교수 shpoem@naver.com</a> >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