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델라 타계 "인류의 큰 별 지다" 현지 추모행렬 이어져

입력 2013-12-06 10:33  

남아프리카공화국이 5일(현지시간) 민주화의 상징인 넬슨 만델라 전 대통령 타계에 함께 울고 있다.

AP 통신은 만델라가 한때 거주한 소웨토 지역에서 주민들이 거리로 나와 노래와 춤으로 그의 죽음을 추도했다고 전했다. 요하네스버그 신흥 도심 샌톤에 있는 '넬슨 만델라 광장'에도 흑인, 백인, 인도계 등 많은 이들이 만델라 동상 밑에 서서 고인의 넋을 기렸다.

생전에 만델라와 각별한 인연을 맺은 남아공의 주요 인사와 단체들은 비통한 심정을 밝혔다.

아파르트헤이트(흑인분리정책) 기간 마지막 백인 대통령이자 1993년 만델라와 노벨 평화상을 공동 수상한 F.W. 데 클레르크 전 대통령은 CNN방송 인터뷰에서 "그는 위대한 통합자"라며 "그의 가장 큰 유산은 화해를 강조한 것"이라고 말했다.

1984년 노벨 평화상을 받은 데스먼드 투투 주교는 "마디바(만델라의 경칭)는 우리에게 함께 살고 서로 신뢰하는 방법을 가르쳐 주었다"며 그의 타계를 애도했다. 제이콥 주마 현 대통령은 "우리 국민은 아버지를 잃었다"며 "이런 날이 올 줄은 알았지만 깊은 상실감은 사라지지 않는다"고 했다.

만델라가 이끌었던 현 집권당 아프리카민족회의(ANC)는 "남아공과 세계가 '거인'을 잃었다"며 "그의 삶은 우리에게 가난과 배고픔을 끝내고 발전으로 나아갈 용기를 주었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넬슨 만델라 재단, 넬슨 만델라 어린이 재단, 만델라 로즈 재단 등 만델라와 관련 있는 재단도 "어떤 말로도 (그의 타계로) 남아공과 세계가 받은 거대한 상실감을 적절하게 나타낼 수 없다"며 슬퍼했다.

인터넷 공간도 추모의 글로 가득했다. 남아공 영문 일간지 '더스타'와 주간지 메일앤드가디언 등의 인터넷 부고기사에는 몇 시간 만에 수백건의 댓글이 달렸다.

"거인의 타계를 애도한다", "만델라의 명복을 빈다", "그가 그리울 것" 등의 내용이 대부분이었다. "주마 대통령이 만델라의 죽음을 정치적으로 이용해서는 안 된다"는 등의 글도 올라왔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