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침몰] 선장·선원 "선실이 안전하다" 10분 뒤 탈출, 해경 방조 해명은…

입력 2014-04-22 11:49  


해경 방조

세월호 침몰 당시 해양경찰이 승객을 배에 남겨두고 탈출한 선장을 방조 했다는 의문이 제기 되고 있다.

16일 세월호 침몰 당시 구조에 나선 해경이 선박 구조를 가장 잘 아는 선원들을 다른 승객을 구조하는 데 적극 활용하지 않고 육지 병원으로 이송하는 오판을 저질렀다는 비난이 커지고 있다.

22일 해양경찰청에 따르면 지난 16일 세월호 침몰 현장에 가장 먼저 도착한 경비정은 목포해경 소속 123정(100t급)이다.

해경 123정은 이날 오전 8시 58분 상황실로부터 출동 명령을 받고 당시 위치에서 30km 떨어진 사고현장에 오전 9시 30분 도착했다. 세월호는 이미 왼쪽으로 50∼60도 기울어진 상태였다.

선원들은 오전 9시 38분 세월호와 진도 연안해상교통관제센터(VTS) 간의 마지막 교신 직후 선박 조타실에서 탈출을 시작했다. 오전 9시 28분 '선실이 안전하다'고 선내 방송을 한 지 10분만의 일이다.

5층 조타실 왼쪽 옆 갑판이 물에 닿을 정도로 배가 기울었기 때문에 선원들은 물에 뛰어들지 않고도 세월호 좌현에 밀착한 123정에 옮겨 탈 수 있었다. 선원들은 조타실 바로 옆에 25인승 구명뗏목(구명벌) 14척이 있었지만 이마저도 작동시키지 않고 구조정에 몸을 실었다.

이처럼 해경 123정이 이준석(69) 선장 등 선원 10명과 일반승객 등 총 80명을 구조, 1차 구조를 마친 시각은 오전 9시 50분.

400명에 가까운 다른 승객들은 여전히 배에 갇힌 채 구조의 손길을 애타게 기다리던 때였다.

선원들이 피를 흘리거나 골절상을 입는 등 부상이 심각한 상황이었다면 긴급 이송을 하는 것이 맞지만 스스로 탈출할 수 있을 정도의 몸 상태였기 때문에 선원들을 구조에 적극 활용해야 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해경의 한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선원들을 구조할 당시에는 배가 넘어가는 긴박한 상황이어서 한 명이라도 더 구조해야겠다는 생각뿐이었다"며 "선원들을 구조에 활용할 생각은 미처 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를 접한 누리꾼들은 "해경 방조가 아니라 탈출을 도와줬네", "선장·선원·해경까지… 구해줄 수 있는 사람은 없었나", "해경 방조한 사실 그냥 넘어가지 않을 것" 등의 반응을 보였다,

한경닷컴 뉴스팀 newsinfo@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