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침몰]인천∼중국 여객선 평균 선령 21년…노후화 심각

입력 2014-04-29 16:06  

인천∼중국 국제여객선 10척의 평균 선령이 21년으로 노후화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인천지방해양항만청에 따르면 인천∼스다오 항로 화동명주호는 1988년 6월, 인천∼다롄 항로 대인호는 1988년 7월 건조돼 선령이 26년에 이른다.

톈진 항로 천인호(24년), 웨이하이 항로 뉴골든브릿지2호(24년), 단둥 항로 동방명주호(19년), 진황다오 항로 신욱금향호(19년), 롄윈강 항로 자옥란호(19년)도 선령이 20년 안팎에 이르고 있다.

옌타이 항로 향설란호(18년), 잉커우 항로 자정향호(18년), 칭다오 항로 뉴골든브릿지5호(17년)도 2∼3년 뒤에는 선령이 20년을 넘게 된다.

국내 여객선의 선령 제한이 30년인 것과 달리 한중 국제여객선은 선령 제한이 없다.

한중해운회담에서 중국이 한·중 여객선의 선령 제한을 28년으로 주장한 반면 한국은 30년을 주장하다가 현재까지 결론이 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국제여객선사가 안전성 우려에도 노후 선박을 교체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비용 때문이다.

현재 인천항을 오가는 국제여객선은 최소 1만2365t급으로 침몰 여객선 세월호 6825t급보다 규모가 2배에 가까우며 건조 비용만 1000억원에 이른다.

이 때문에 국제여객선사의 지분을 5대 5로 나눠 갖고 있는 한국과 중국법인 어느 쪽도 쉽게 선박을 교체할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제여객선업계는 국제여객선에 대한 안전검사인 '항만국통제(PSC)'가 한중 공동으로 엄격하게 시행되고 있어 안전운항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옌타이 항로 향설란호가 2012년 1월 승객·승무원 450명을 태우고 출항했다가 옹진군 울도 인근 해역에서 기관실 감속기 마모로 18시간을 표류하다 예인되는 등 국제여객선 사고가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

인천항만청의 한 관계자는 "국제여객선 선령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조속히 수립돼야 할 것으로 본다"며 "세월호 사건을 계기로 국제여객선에 대한 안전점검도 대폭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