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용암의 강' 흐르는 슈퍼지구로 암석형 행성 대기 분석 길 연다 2021-03-05 13:08:16
26광년 밖 적색왜성 도는 '글리제 486 b' 안성맞춤 모델 생명체 살 수 없지만 분광 분석에 적합…"수십년간 꿈꿔오던 행성"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지구에서 약 26광년 떨어진, 천문 단위로는 비교적 가까운 곳에서 적색 왜성을 도는 '슈퍼지구'가 새로 발견돼 우주 생명체 탐사의 기본 조건인...
지구에서 3천광년 이내 별 둘 쌍성계 130만개 찾아내 2021-02-23 15:41:26
3천광년 이내 별 둘 쌍성계 130만개 찾아내 가이아 위성이 공개한 18억개 항성 카탈로그서 확인 대부분 1천 AU 이내 짝별...일부 3.26광년 떨어져 존재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태양계의 별은 하나지만, 지구 근처에 두 개의 별이 짝을 이뤄 공통의 무게 중심을 일정한 주기로 공전하는 쌍성계가 130만 개에 달하는...
국내외 연구진 "인류 최초 발견 블랙홀, 가설보다 더 멀리 있다" 2021-02-19 08:31:10
광년보다 먼 약 7200광년 떨어져 다는 것을 알아냈다. 아울러 블랙홀의 질량은 태양 질량의 21배로 기존에 알려진 질량보다 약 50% 무겁다는 점도 발견했다. 연구팀은 백조자리 X-1 블랙홀에서 나오는 전파 신호를 관측하는 한편 삼각 시차 측정법을 이용해 지구로부터의 거리를 정밀하게 측정했다. 백조자리 X-1 블랙홀은...
지구 최근접 항성계서 외계행성 '후보' 직접 관측으로 찾아내 2021-02-10 19:00:00
구경 8m 초거대망원경(VLT)으로 지구에서 4.4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3중성계인 '알파 켄타우리'를 관측했다. 이 항성계는 크기와 형성 시기가 태양과 비슷한 알파 켄타우리 A, B가 서로를 돌고, '프록시마 켄타우리'로 더 많이 알려진 적색 왜성인 알파 켄타우리 C가 바깥쪽에서 두 별을 도는 형태로...
희귀 중성자별 '마그네타' 중에서도 '이상한' 별 첫 관측 2021-02-03 15:07:15
중에서도 '이상한' 별 첫 관측 1만5천광년 밖서 펄사같은 전파 방출…전파방출 다른 마그네타와 차이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초신성 폭발 뒤 초고밀도의 핵만 남은 중성자별 중에서도 자기장이 다른 중성자별보다 1천 배 이상 더 강한 별을 '마그네타'(magnetar)라고 한다. 자기장의 세기가 약...
"행성들의 군무"…다섯 개 행성 박자 맞춰 도는 TOI-178 행성계 2021-01-26 16:28:17
광년 떨어진 조각가 자리의 항성 TOI-178 주변에서 다섯 개의 행성이 일정한 박자에 맞춰 공전 중인 것이 확인됐다. 지금까지 확인된 행성은 모두 여섯 개지만 가장 안쪽에 있는 것만 빼고 다섯 개 행성이 18:9:6:4:3의 공전 비율을 유지하고 있다. 두 번째 행성이 항성을 18바퀴 돌 때 세 번째는 9바퀴, 네 번째는 6바퀴,...
쌍성계 3개 묶여 서로 별빛 가리는 '희귀' 6중성계 관측 2021-01-25 16:23:23
1천900광년 떨어진 에리다누스자리에서 6개의 별(항성)이 하나로 묶여 서로 빛을 가리는 희귀 6중성계가 발견돼 학계에 보고됐다. 'TIC 168789840'으로 명명된 이 항성계는 두 개의 별로 된 쌍성계 3개로 구성돼 있다. 6중성계 자체가 드문데다 각 쌍성계가 서로 다른 중심을 돌면서 중력으로 묶여 단일 항성처럼...
목성 크기지만 질량은 10분의 1 '솜사탕 행성' 고체 핵도 작아 2021-01-19 14:02:54
광년 떨어진 처녀자리의 외계행성 'WASP-107 b'는 크기는 목성에 달하는 대형 가스행성이지만 질량은 목성의 10분의 1밖에 안 되는 초저밀도 행성이다. 이런 행성은 몸집과 비교해 아주 가볍다고 해 '솜사탕' 행성으로도 불리는데, WASP-107 b를 통해 대형 가스 행성을 만드는데 필요한 행성 내부의 핵이...
별 만드는 가스 잃으며 '죽음' 향하는 90억광년 밖 은하 관측 2021-01-12 15:47:15
향하는 90억광년 밖 은하 관측 은하간 합병 가스방출 촉발…수천만년 내 별 생성 연료 고갈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은하는 별을 만들지 못하면 죽기 시작한다. 이런 과정이 어떻게 시작되는지 불분명했는데, 지구에서 약 90억 광년 떨어진 초기 우주에서 별을 생성하는 연료인 차가운 가스를 급격히 잃으며...
지구서 가장 가까운 4.2광년 밖 행성계서 외계인 신호? 2020-12-21 13:40:26
4.2광년 밖 행성계서 외계인 신호? 프록시마 켄타우리서 전파 포착…외계문명 흔적 가능성 낮아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태양계에서 가장 가까운 별인 약 4.2광년 밖의 '프록시마 켄타우리'에서 외계인 신호일수도 있는 전파가 포착돼 관련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 신호가 태양계 바로 옆 또 다른 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