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반딧불이 딘딘과 용감한 곤충 탐험대' 2월 개봉, 티저 예고-스틸 공개 2021-01-20 18:09:00
신호를 위협적으로 받아들인 나방 부족, 외계 행성에서 나타난 붉은 로봇 군단으로부터 안전하게 숲속을 지켜낼 수 있을지 극에 대한 궁금증을 자극한다. 티저 예고편과 함께 공개된 8종 보도스틸은 개성 넘치는 곤충들의 모습과 알록달록한 색감들이 시선을 사로잡는다. 숲속에 살고 있는 다양한 친구들이 위기에 쳐 했을...
목성 크기지만 질량은 10분의 1 '솜사탕 행성' 고체 핵도 작아 2021-01-19 14:02:54
b 행성의 내부 구조를 연구해 얻은 이런 결과를 국제학술지 '천문학 저널'(Astronomical Journal) 최신호에 발표했다. WASP-107 b는 지난 2017년 항성을 태양~지구 거리의 16분의 1밖에 안 되는 짧은 거리에서 5.7일의 공전 주기로 돌고 있는 것이 발견됐다. 크기는 목성과 맞먹지만, 질량은 10분의 1에 불과해...
MCND, 미니 앨범 'MCND AGE' 개인 포토 티저 공개 2020-12-29 18:26:41
age)' 이후 약 5개월 만에 선보이는 새 앨범으로, 'earth age'가 외계 행성 '케플러-1649씨(kepler-1649c)'에서 동경하던 푸른별 지구에 온 다섯 소년들의 이야기라면, 'mcnd age'엔 지구에 도착한 mcnd가 자신들의 시대를 열어간다는 당찬 포부가 담겼다. 글로벌 팬들의 기대를 한 몸에 받고 있는...
지구서 가장 가까운 4.2광년 밖 행성계서 외계인 신호? 2020-12-21 13:40:26
행성계서 외계인 신호? 프록시마 켄타우리서 전파 포착…외계문명 흔적 가능성 낮아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태양계에서 가장 가까운 별인 약 4.2광년 밖의 '프록시마 켄타우리'에서 외계인 신호일수도 있는 전파가 포착돼 관련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 신호가 태양계 바로 옆 또 다른 외계 기술문명의...
지구 30억년 이상 생명체 환경 유지 "운이 따른 결과" 2020-12-15 14:30:10
생명체가 살기에 적합한 행성으로 남아있을 수 있었던 것은 행운이 따랐기 때문이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운이 작용했다는 것을 이해하게 됐다"면서 "예컨대 조금 더 큰 소행성이 지구에 충돌했다면, 또는 충돌 시기가 달랐다면 지구는 생명체 환경을 잃었을 수도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만일 외계 지적생명체가 지구...
별서 1천억㎞ 이상 떨어진 외계행성 궤도 "제9행성 존재 증거" 2020-12-11 14:04:31
별서 1천억㎞ 이상 떨어진 외계행성 궤도 "제9행성 존재 증거" 태양~지구 거리 730배 넘는 초장거리 타원 궤도 처음으로 확인 허블 우주망원경 14년 치 관측자료로 1만5천년 공전궤도 파악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지구에서 약 336광년 떨어진 곳의 대형 외계행성이 별에서 1천억㎞ 이상 떨어진 초장거리 타원...
가장 가까운 지구형 행성 프록시마 b 생명체 서식 가능성 작아 2020-12-09 23:01:00
중 절반가량이 지구와 비슷한 행성을 갖고있을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와있지만 이런 항성은 전체의 7%에 불과하다. 연구팀은 프록시마 켄타우리 주변 행성들이 대기가 파괴돼 강한 X선과 자외선 복사에 노출됐을 수 있지만 행성을 보호해 줄 자기장이 존재하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지크 연구원은 지금까지 약...
[사이테크 플러스] "장수풍뎅이 날개 원리규명…충돌해도 추락않는 비행로봇 개발" 2020-12-06 09:42:57
"장수풍뎅이 모방 날개를 장착하면 날갯짓 비행로봇이 장애물에 부딪혀도 비행을 지속, 임무를 완수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며 "날갯짓 비행로봇은 날개를 접을 수 있어 소형화, 경량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우주탐사선에 탑재해 외계행성 탐사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scitech@yna.co.kr (끝)...
외계와의 소통 시도했던 거대 전파망원경, 57년 만에 결국 붕괴 2020-12-02 03:44:46
학자들은 이곳에서 외계 행성을 연구하고 지구로 향하는 소행성을 추적했다. 아레시보 망원경을 이용한 쌍성 펄서(강한 자기장을 갖고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중성자별) 발견은 노벨상으로도 이어졌다. 많은 예비 천문학자, 물리학자들의 교육 장소로도 활용됐다. 아레시보 망원경은 외계와 교신하려는 인간의 노력에도 큰...
외계인 찾아다닌 미 전파망원경 57년만에 해체한 이유는 2020-11-20 12:54:30
관측하고 태양계 바깥의 행성을 찾아냈으며 지구로 다가오는 소행성을 식별했다. 특히 아레시보 망원경은 외계인 탐색의 선봉대 역할을 한 것으로 유명하다.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우주과학연구소는 이 망원경이 수집한 우주 전파신호를 분석해 외계 지적생명체를 찾는 '세티'(SETI)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