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187명 만장일치' 한국 법이 美의회 청문회에 오르기까지 [송영찬의 디플로마티크] 2021-04-17 11:00:04
평화를 위해 백해무익한 대북 전단 살포는 금지돼야 한다”며 “원 구성이 완료되면 대북전단 살포금지 입법을 완료하겠다”고 합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아들인 김홍걸 민주당 의원(현재 무소속)은 자신의 1호 법안으로 대북전단금지법을 발의하고 한 방송에 출연해 “대북전단을 살포한 탈북자 단체들의 순수성을...
[사설] "한국 민주주의 부식됐다" 국제사회서 이런 말까지 들어야 하나 2021-04-16 17:51:06
한국의 대북전단금지법 관련 청문회를 열었다. 크리스 스미스 하원의원은 “문재인 정부는 북한 주민이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유일한 길인 전단 살포를 범죄화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대북전단금지법이 전단을 막는 걸 넘어 미수에 그쳐도 최대 징역 3년형까지 선고할 수 있게 한 점에 대해 정면으로 문제 제기를 한...
美 대북전단법 청문회 "문재인 정부 인권 초점 맞추는데 실패"[주용석의 워싱턴인사이드] 2021-04-16 11:04:33
권한다고 했다. 전수미 화해평화연구소장도 ‘독재자의 비참한 최후’ 같은 내용이 담긴 대북전단을 들어보이며 "이것이 북한 인권을 개선할 것으로 보는지 묻고 싶다"고 했다. 또 "전단 때문에 북한에 있는 가족이 위험에 처했다는 탈북자를 종종 본다"며 "고도의 군사적 긴장 지역에서 그 것(전단 살포)은 훨씬 큰...
"대북전단 범죄화는 文 권한 남용"…美, 한국 인권정책 때렸다 2021-04-16 08:57:29
“대북전단 살포를 범죄화하는 것은 문 대통령의 권한 남용”이라며 “인권을 우선시하지 않는 조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 사례로 지난해 6월 통일부의 북한 인권단체 강제 사무조사를 들었다. 스미스 의원은 “북한이 지난해 6월 남북 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했는데 독재자 김정은의 동생인 김여정이 대북전단을 문제...
대북전단금지법 미 의회 청문회…"도 넘어서" vs "맥락 살펴야"(종합) 2021-04-16 07:29:39
전단 살포)은 훨씬 큰 충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그는 "북한 주민은 이미 외부 세계에 대한 다양한 정보에 접근하고 있다"며 이는 전단 살포가 북한 내부의 인권을 개선하려는 효과적인 수단으로써 타격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뜻한다는 취지로 언급했다. 특히 이런 대화에 북한 주민들의 목소리가...
"법개정 희망" "사법부서 재검토"…미국서 도마 오른 대북전단법 2021-04-16 05:57:27
인권위의 대북전단법 청문회에서 "나는 개인적으로 한국 국회가 그 법의 수정을 결정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맥거번 의원의 발언이 한국의 민주주의 수준 자체를 부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반대로 그는 프리덤하우스가 발표한 한국의 자유수준이 미국과 동일하고 미국의 민주주의 역시 완전하지 않다고 인정했다. 또 대북...
대북전단금지법 미 의회 청문회…"도 넘어서" vs "맥락 살펴야" 2021-04-16 05:39:11
전단 살포)은 훨씬 큰 충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그는 "북한 주민은 이미 외부 세계에 대한 다양한 정보에 접근하고 있다"며 이는 전단 살포가 북한 내부의 인권을 개선하려는 효과적인 수단으로써 타격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뜻한다는 취지로 언급했다. 특히 이런 대화에 북한 주민들의 목소리가...
"대북전단법은 BTS금지법…韓 민주주의 부식"… 美의회서 난타 2021-04-16 00:27:57
비판이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대북전단금지법은 지난해 12월 국회에서 통과한 직후부터 국제사회에서 비판을 받았다. 대북 확성기 방송이나 전단 살포 행위만으로도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형’을 받을 수 있어서다. 표현의 자유를 심각하게 침해한다는 것이다. 국제 인권 단체인 HRW는...
美의회 15일 대북전단법 청문회…'문재인 정부 인권' 조준 2021-04-09 17:37:59
이외 사안도 다루겠다는 의미다. 대북전단금지법은 지난해 12월 국회에서 통과한 직후부터 국제사회에서 비판을 받았다. 대북 확성기 방송이나 전단 살포 행위만으로도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형’을 받을 수 있어서다. 표현의 자유를 심각하게 침해한다는 것이다. 국제 인권 단체인 HRW는...
미 의회서 15일 대북전단금지법 다루는 화상 청문회 열린다(종합2보) 2021-04-09 12:02:48
하원의원은 2월 11일 성명을 내고 대북전단금지법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면서 청문회 추진을 예고한 바 있다. 대북전단금지법은 남북관계 발전에 관한 법률을 개정한 것으로 군사분계선 일대에서의 대북확성기 방송과 전단 등 살포에 대해 최대 3년 이하의 징역이나 3천만원 이하 벌금으로 처벌할 수 있도록 했다. 지난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