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쌍성계 3개 묶여 서로 별빛 가리는 '희귀' 6중성계 관측 2021-01-25 16:23:23
사냥꾼'으로도 불리는 테스는 행성이 별 앞을 지날 때 별빛이 일시적으로 줄어드는 것을 포착해 직접 관측이 어려운 외계행성의 존재를 파악한다. 이는 원래 별이 다른 별 앞을 지날 때 별빛의 변화를 관측해 별의 크기와 질량, 온도 등을 파악하던 것을 응용한 것이다. 연구팀은 이런 점을 활용해 테스 관측 자료에서...
지구, 생명체 원소 질소 "처음부터 상당부분 갖고 출발" 2021-01-22 15:38:05
행성 원반이 처음 몇백만 년 간 두 개 저장소로 분리돼 안쪽에서는 질소-14, 바깥쪽에서는 질소-15 비중이 높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논문 제1저자인 박사과정 대학원생 다만비어 그레왈은 "우리 연구 결과는 현재 통용되는 이론을 완전히 바꿔 놓았다"면서 "휘발성 원소는 처음부터 안쪽 원반의 먼지에 존재했으며,...
‘명확히 월드와이드’ 핑크퐁, 美 넷플릭스 ‘오늘의 Top 10’ 5위 등극 2021-01-22 13:51:04
날아온 운석에 부딪혀, 조각난 우주선의 별조각을 찾으려 다양한 행성을 여행하는 내용이다. 앞서 지난 12월, 스마트스터디는 tv 애니메이션 ‘베이비샤크 빅 쇼(baby shark’s big show!)’ 크리스마스 스페셜 영상을 북미 시장에 선보이며 지식재산권(ip) 파워를 입증한 바 있다. ‘베이비샤크 빅 쇼’는 세계...
[책마을] '뇌' 맘대로 움직이는 놀라운 기술의 세상 2021-01-21 17:54:28
행성 판도라에서는 누구보다 뛰어난 신체능력을 지닌 전사로 활약한다. 제임스 캐머런 감독의 공상과학(SF)영화 ‘아바타’에서 보여준 미래다. 신체의 한계를 넘어 뇌가 의도한 대로 움직일 수 있는 기술은 지금 가장 뜨겁고 치열하게 발전하고 있는 분야 중 하나다. 신간 ‘뉴로제너레이션’은 아직 미개척 분야가 많은...
자전축 27도 기울어진 '삐딱한' 토성은 타이탄 등 위성 이동 탓 2021-01-21 15:46:19
= 태양계의 여섯 번째 행성인 토성은 자전축이 공전 궤도면에서 약 27도 기울어져 있다. 이는 토성을 둘러싸고 있는 고리 때문에 더욱 두드러져 보인다. 토성의 이런 삐딱한 자전축이 토성을 돌고 있는 타이탄을 비롯한 위성(달)들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위성들이 토성에서 점점 더 멀어져 가면서 자전축도 더...
'반딧불이 딘딘과 용감한 곤충 탐험대' 2월 개봉, 티저 예고-스틸 공개 2021-01-20 18:09:00
행성에서 나타난 붉은 로봇 군단으로부터 안전하게 숲속을 지켜낼 수 있을지 극에 대한 궁금증을 자극한다. 티저 예고편과 함께 공개된 8종 보도스틸은 개성 넘치는 곤충들의 모습과 알록달록한 색감들이 시선을 사로잡는다. 숲속에 살고 있는 다양한 친구들이 위기에 쳐 했을 때 구조 신호를 보내는 신호등은 위치까지...
목성 크기지만 질량은 10분의 1 '솜사탕 행성' 고체 핵도 작아 2021-01-19 14:02:54
채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나 대형 가스 행성이 이전 기준보다 훨씬 더 작은 핵을 통해서도 쉽게 형성될 수 있다는 점이 드러났다. 캐나다 몬트리올대학(UdeM)에 따르면 이 대학 천체물리학 교수 비요른 베네케 박사가 이끄는 국제연구팀은 WASP-107 b 행성의 내부 구조를 연구해 얻은 이런 결과를 국제학술지 '천문학...
화성 생명흔적 찾나…한달뒤 착륙 로버 퍼서비어런스 임무 2021-01-16 11:27:32
분석할 수 있는 '픽슬'(PIXL·X선 리토체미스트리 행성 장비) 등이 핵심적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함께 축구장 거리 밖에서 암석 조직을 파악할 수 있는 '마스트캠-Z'(줌) 카메라와 7m 거리에서 레이저를 발사해 기화하는 암석의 화학 성분을 포착할 수 있는 '슈퍼캠'도 고대 생명체 흔적을...
'붉은행성 지질학자' 인사이트호 지열측정 포기 선언 2021-01-15 16:17:30
기자 = '붉은행성' 화성의 지질학자로 파견된 '인사이트'(InSight)호가 주요 임무 중 하나인 행성 내부 온도 측정을 포기했다. 지열 측정을 위해서는 '두더지'(mole)라는 원통형 장비가 5m까지 파고들어야 하는데 2019년 2월 28일 첫 시도 이후 2년 가까운 노력에도 50㎝도 채 들어가지 못했다....
[인터뷰] MCND "'우당탕' 즐길 무대, 최대한의 멋 보여드릴게요" 2021-01-08 09:00:03
정리하는 마침표 같은 앨범이다. 앞서 지구와 가장 유사한 행성으로 알려진 Kepler-1649c에 살던 다섯 소년이 동경하던 푸른별에 도착해 펼쳐지는 이야기를 그렸다면, 이번 앨범은 지구에 도착한 다섯 소년이 열어갈 새 시대의 서막을 뜻한다. 타이틀곡 '우당탕(Crush)'은 메인 기타 루프가 돋보이는 파워풀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