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 기준시가 오피스텔 '강남 청담퍼스트타워'…㎡당 559만원

입력 2015-12-29 12:01  

상업용 건물로는 분당 호반메트로큐브 1위…㎡당 1천919만원국세청 새 기준시가 고시…오피스텔 3년 만에 최고 상승률

수도권을 비롯한 전국 주요 도시의 오피스텔 기준시가가 3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2013년 이후 하락세를 보이던 상가건물 기준시가도 반등했다.

국세청은 29일 수도권과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 등 5개 광역시의 상업용건물과 오피스텔의 새로운 기준시가(2016년 1월1일 기준)를 고시했다.

오피스텔은 전년 대비 평균 1.56%, 상업용 건물은 평균 0.83% 상승했다.

오피스텔 기준시가는 2013년 비교적 큰 폭인 3.17% 오른 뒤 2014년(0.91%)과 2015년(0.62%) 두 해 연속으로 0%대 상승률에 그쳤다.

2009년부터 내리막길을 걷던 상업용건물 기준시가는 2012년 반짝 올랐다가 2013년 이후 마이너스 상승률을 기록하고서 3년 만에 반등했다.

오피스텔 기준시가가 오른 것은 전세가격 폭등으로 대체 수요가 발생한 영향이컸다.

저금리 여파로 수익성 부동산 임대 수요가 생기면서 상가건물 기준시가도 올랐다.

이번에 조정된 기준시가는 내년 1월 1일부터 적용된다.

기준시가는 취득 당시의 실거래가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 양도소득세를 산정할때나 상속 또는 증여할 때 세금을 부과하는 잣대로 활용된다.

이번 기준시가 고시대상은 오피스텔이 46만1천337호로 전년보다 9.7% 늘었고,상업용 건물은 49만8천320호로 1.5% 증가했다.

가장 비싼 오피스텔은 서울 강남의 청담퍼스트타워로 ㎡당 558만5천원이다. 평당(3.3㎡)으로 환산하면 약 1천843만원이다.

청담퍼스트타워는 이번에 처음으로 기준시가가 매겨졌다.

이어 서울 서초의 강남아르젠(이하 ㎡당 526만6천원), 서울 강남 청담의 피엔폴루스(508만6천원), 서울 강남 신사의 현대썬앤빌(466만4천원) 순으로 높았다.

상위권에 새로 진입한 경기 성남 분당의 디테라스(459만7천원)는 서울 강남 청담의 네이처 포엠과 함께 공동 5위에 올랐다.

지역별로는 대구가 3.39%로 상승폭이 가장 크고 그다음이 광주(3.23%)였다.

대전(0.91%)과 울산(0.77%)은 8개 시도 가운데 최하위인 7∼8위를 차지했다.

서울은 1.53%로 8개 시도 평균과 비슷한 수준으로 4위에 올랐다.

상업용 건물 중에는 경기 성남 분당의 호반메트로큐브가 ㎡당 1천919만3천원으로 지난해에 이어 최고 기준시가 건물 1위에 올랐다.

2위는 서울 중구 신당의 청평화시장 건물(1천564만7천원), 3위는 서울 종로 동대문종합상가 디동(1천496만7천원), 4위는 서울 중구 신당의 신평화패션타운(1천395만5천원), 5위는 서울 강남구 개포동 개포1차 주구쎈터A동(1천373만9천원)이 차지했다.

대구가 8개 지역 중에 상업용 건물 기준시가 상승률이 5.97%로 가장 높았다.

그 뒤를 부산(2.18%)이 따랐다.

서울(-0.57%)은 상승률에서 최하위로 밀렸다. 서울 외에는 울산(-0.39%)이 전년대비 기준시가가 떨어졌다.

porqu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