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남녀 임금격차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됐다.
30일 OECD에 따르면 2010년 기준으로 한국의 남녀 임금격차는 39%를 차지해 통계가 있는 28일 회원국 중 1위로 꼽혔다. 남녀 평균임금을 기준으로 한 이번 통계는 여성이 남성보다 39% 정도 임금을 덜 받는다는 것을 말한다.
한국의 남녀 임금격차는 OECD 28개국 평균(15%)의 2.6배로, 2위 일본(29%)과도 무려 10%p 차이가 난다. 한국과 일본 다음으로는 독일, 이스라엘(이상 21%), 미국, 캐나다, 핀란드, 스위스, 오스트리아(이상 19%), 영국, 체코(이상 18%) 등의 순으로 임금격차가 나타났다.
한국 남녀 임금격차는 10년 전인 2000년에도 40%로 OECD회원국 가운데 1위를 차지했다. 10년간 격차는 1%p 줄어드는 데 그쳤다. 이 기간 이웃 일본이 34%에서 29%로 낮아졌으며 이스라엘(28%에서 21%), 미국(23%에서 19%), 캐나다(24%에서 19%) 등의 나라도 각각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다.
한국 여성의 임금이 남성보다 현저히 낮은 원인으로는 출산·육아 부담에 따른 경력단절이 꼽힌다. 육아 후 다시 취업을 해도 지위가 낮고 고용 안정성은 떨어지기 때문이다. 한 직장에 오랫동안 근무하더라도 단순 사무직이나 비정규직이 많은 것도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여성 취업자 가운데 자영업자 등을 제외한 순수 임금근로자는 73.6%였는데 이 가운데 상용직이 37.0%, 임시직이 28.7%, 일용직이 7.9%로 조사됐다.
30일 OECD에 따르면 2010년 기준으로 한국의 남녀 임금격차는 39%를 차지해 통계가 있는 28일 회원국 중 1위로 꼽혔다. 남녀 평균임금을 기준으로 한 이번 통계는 여성이 남성보다 39% 정도 임금을 덜 받는다는 것을 말한다.
한국의 남녀 임금격차는 OECD 28개국 평균(15%)의 2.6배로, 2위 일본(29%)과도 무려 10%p 차이가 난다. 한국과 일본 다음으로는 독일, 이스라엘(이상 21%), 미국, 캐나다, 핀란드, 스위스, 오스트리아(이상 19%), 영국, 체코(이상 18%) 등의 순으로 임금격차가 나타났다.
한국 남녀 임금격차는 10년 전인 2000년에도 40%로 OECD회원국 가운데 1위를 차지했다. 10년간 격차는 1%p 줄어드는 데 그쳤다. 이 기간 이웃 일본이 34%에서 29%로 낮아졌으며 이스라엘(28%에서 21%), 미국(23%에서 19%), 캐나다(24%에서 19%) 등의 나라도 각각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다.
한국 여성의 임금이 남성보다 현저히 낮은 원인으로는 출산·육아 부담에 따른 경력단절이 꼽힌다. 육아 후 다시 취업을 해도 지위가 낮고 고용 안정성은 떨어지기 때문이다. 한 직장에 오랫동안 근무하더라도 단순 사무직이나 비정규직이 많은 것도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여성 취업자 가운데 자영업자 등을 제외한 순수 임금근로자는 73.6%였는데 이 가운데 상용직이 37.0%, 임시직이 28.7%, 일용직이 7.9%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