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라이칭더 "현상유지·주권" 언급에 "독립 추진…죽음의 길"(종합)

입력 2024-05-20 17:45  

中, 라이칭더 "현상유지·주권" 언급에 "독립 추진…죽음의 길"(종합)
대만 신임 총통 '수위 조절'에도 고강도 비난…"통일 실현하는 날 반드시 올 것"



(베이징=연합뉴스) 정성조 특파원 = 라이칭더 대만 신임 총통이 20일 취임 연설에서 '독립'에 대한 직접 언급 없이 양안(兩岸·중국과 대만) 관계 '현상유지' 입장을 밝혔으나, 중국은 대만의 주권 주장이 곧 '독립' 주장이라며 대만을 반드시 통일할 것이라고 공세를 폈다.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대만의 새로운 지도자 라이칭더가 첫 연설에서 중국과 대만은 서로 예속되지 않고, 대만은 자기 주권을 갖는다고 강조했는데 어떻게 보는가"라는 질문에 "대만 독립은 죽음의 길"이라며 "어떤 간판, 어떤 기치를 걸든 대만 독립 분열을 추진하는 것은 모두 실패하게 돼 있다"고 말했다.
라이 총통은 이날 취임 연설에서 따로 '독립'이라는 단어를 거론하지 않은 채 "양안 미래가 세계 형세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민주화된 대만을 계승한 우리는 평화의 조타수가 될 것"이라며 "새 정부는 '네 가지 견지'를 계승하면서 비굴하지도 거만하지도 않고(不卑不亢), 현상을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네 가지 견지'란 전임 차이잉원 정부가 2021년 발표한 양안 관계 원칙으로 ▲ 자유·민주 헌정 체제를 영원히 견지 ▲ 중화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의 상호 불예속 견지 ▲ 주권 침범·병탄 불허 견지 ▲ '중화민국 대만'의 앞날 견지와 전체 대만 인민의 의지 준수를 그 내용으로 한다. 중국은 이 원칙이 '하나의 중국' 원칙에 반하는 '양국론'(兩國論)이자 대만 독립을 추동하는 것이라며 비난해왔다.
라이 총통은 이날 "우리 모두 알고 있듯 주권이 있어야 비로소 국가"라면서 "중화민국 헌법에 따라 중화민국 주권은 국민 전체에 속하고, 중화민국 국적자는 중화민국 국민이며, 여기에서 알 수 있듯 중화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은 서로 예속되지 않는다"고 했다.
중국 외교부의 입장은 라이 총통이 '독립'이라는 말을 명시적으로 쓰지 않았을 뿐 전임 차이잉원 총통처럼 '독립'을 주장한 것과 다름없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왕 대변인은 "대만 섬의 정국이 어떻게 변화하든 양안이 하나의 중국에 속한다는 역사·법리적 사실, 국제 사회, 하나의 중국을 견지하는 기본 구조, 중국이 결국엔 그리고 반드시 통일될 것이라는 역사적 대세는 바꿀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일부 국가 개별 정객이 대만 문제를 멋대로 다루거나 쇼를 벌이는 것은 중국 내정을 엄중히 간섭한 것"이라며 "중국은 강하게 규탄하고, 모든 필요한 조치를 취해 국가 주권과 영토 완전성을 단호히 수호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중국이 완전한 통일을 실현하는 날이 결국 올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국의 대만 담당 기구인 국무원 대만사무판공실도 이날 라이 총통이 '독립' 주장을 폈다고 규정했다.
천빈화 대만사무판공실 대변인은 "오늘 대만 지역 지도자의 연설에선 완고하게 '대만 독립' 입장이 견지됐고, 분열이라는 오류를 제멋대로 퍼뜨렸으며, 양안의 대립·대결을 선동하면서 '외세에 기댄 독립 도모'와 '무력으로 독립 도모'를 망상했다"며 "대만 지역 지도자는 '대만 독립 일꾼'의 본성을 충분히 드러냈다"고 말했다.
천 대변인은 "대만에서 누가 집권하든 양안이 하나의 중국에 속한다는 사실과 양안 관계의 기본 구조·발전 방향은 바꿀 수 없고, 조국이 결국 통일된다는 역사적인 대세는 막을 수 없다"며 "우리는 양안 관계의 평화적 발전을 위해 노력하면서 흔들림 없이 조국 통일 대업을 추진할 것"이라고 했다.
xi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