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경쟁 vs 효율성 놓고 미래부 고심…제3대안도 부상

○주파수 경매 논의 스타트

○공정 경쟁 vs 주파수 효율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KT에 인접 대역을 할당하는 것은 엄청난 특혜라고 목소리를 높인다. KT는 2000억~3000억원의 투자비로 즉시 광대역 서비스가 가능한 반면 다른 사업자는 10배가 넘는 2조~3조원을 들여 2년 넘게 망을 깔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상헌 SK텔레콤 상무는 “전국망을 촘촘하게 깔아놓은 KT의 주파수를 늘려주고, 다른 사업자는 처음부터 새로 망을 깔라는 것은 심각한 불공정 경쟁을 낳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강학주 LG유플러스 상무는 “사업 마케팅 측면까지 감안하면 KT가 아무 노력 없이 얻게 되는 비정상적 초과 수익이 7조3000억원에 달할 것”이라며 “이는 통신사 경쟁 상황을 10년 이상 후퇴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희수 KT 상무는 “해외 사례를 보면 인접 대역을 포함한 광대역화가 기본 원칙”이라며 “가용 주파수를 인위적으로 할당조차 하지 않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김 상무는 “KT가 광대역화를 한다고 해도 별도 비용과 시간이 필요하다”며 “주파수결합기술(CA) 등 대안 기술을 고려하면 속도 차이도 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고민에 빠진 미래부
미래부는 ‘공정 경쟁’과 ‘주파수 효율’ 사이에서 고심하고 있다. 최문기 미래부 장관은 지난 28일 KBS ‘일요진단’에 출연해 “공정성과 부가가치 창출이라는 두 가지 기준 아래 주파수 배분 방안을 마련 중”이라고 말했다. 업계에선 기존 방안을 보완한 대안이 제시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2블록을 뺀 나머지 3개 블록을 3사에 할당하고, LTE 광대역화가 비슷한 수준에 도달한 시점에 KT 인접 대역을 할당하는 안 등이 거론된다. KT가 인접 대역을 가져갈 경우 서비스 시기 등 할당 조건을 까다롭게 하는 방안도 있지만 경쟁사 반발은 여전하다. 미래부 관계자는 “경매 상품은 같더라도 파는 방식에는 변화가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양준영/전설리 기자 tetrius@hankyung.com
▶ LG, 플라스틱 OLED 스마트폰 4분기 출시
▶ '옵티머스 F5' 유럽·중남미 공략
▶ SKT도 "통신사 관계없이 음성 무제한"
▶ 삼성 갤럭시S4, 미국 출시 24일→29일로 5일 늦춰
▶ 옵티머스G 출고가 69만9600원으로 인하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