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에 첨단 IT접목"…실리콘밸리·살리나스밸리 손잡았다

입력 2013-06-30 17:00   수정 2013-07-01 03:51

실리콘밸리와 살리나스밸리. 둘 다 미국 서부 캘리포니아 지역에 있는 곳이지만 성격은 사뭇 다르다. 실리콘밸리는 정보기술(IT) 분야 벤처기업들의 요람이고, 살리나스밸리는 ‘세계의 샐러드 그릇’이란 별명을 가진 미국의 주요 채소 생산지다. 이렇듯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두 지역이 손을 잡았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30일 실리콘밸리의 벤처캐피털리스트와 기업들이 살리나스밸리에 농업 벤처 회사를 세웠다고 보도했다. 회사 이름은 ‘스타인벡 이노베이션 클러스터’. 1930년대 미국 대공황 이후 농민들의 애환을 담은 소설 ‘분노의 포도’ 작가 존 스타인벡의 이름을 땄다.

농업에 실리콘밸리의 첨단 IT를 접목하겠다는 게 이 회사의 목표다. 예를 들어 농지에 센서를 장착해 놓고 태블릿으로 수시로 습기, 영양분 등의 상태를 점검한다. 습기가 부족하면 자동으로 물을 뿌려준다. 사람이 아닌 드론(무인 로봇)이 농약을 뿌리고 채소를 수확한다. 채소는 컨베이어벨트에서 자동으로 세척되고, 포장지에 붙어 있는 센서는 야채가 고객에게 판매될 때까지 제품의 상태를 점검해 생산자의 컴퓨터로 보내준다. 이전에 미국 곡창지대인 중서부 지역에서 쌀, 밀 등 장기 저장이 가능한 농산품에 일부 자동화 프로세스가 도입된 적은 있다. 하지만 상추, 딸기 등 금방 상하는 채소, 과일의 생산 및 유통에 첨단 기술이 적용되는 건 처음이라는 게 FT의 설명이다.

과거 실리콘밸리 투자자들은 농업에 투자하기를 꺼렸다. 단기간에 고수익을 올리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들어 인구가 빠르게 늘고, 비만 등의 문제로 신선한 채소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농산물 쪽으로 쏠리고 있다.

스타인벡의 창업자 중 한 명이자 벤처캐피털인 SVG파트너스의 존 하트넷은 “실리콘밸리의 돈과 살리나스밸리의 재능이 ‘결혼’하면 새로운 농업기술이 탄생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남윤선 기자 inklings@hankyung.com




男동생, 친누나와 한 침대서 잠자리 갖더니…
불꺼진 시청사 주차장서 男女 알몸으로…후끈
女승무원 남편, 내연女와 "셋이 살자"며…경악
목욕하는 女 은밀하게 훔쳐본다…우리 집은?
'안마女' 따라 원룸 가보니, 옷 벗긴 후…충격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