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 중국의 과잉 생산 및 무역 정책에 경고장 [굿모닝 글로벌 이슈]

미국 경제의 최신 지표들이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미시간대학교가 발표한 소비자 심리지수는 6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며, 경제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켰습니다. 5월 확정치가 69.1로 집계되며 전월 대비 급락했습니다. 이는 인플레이션 상승에 대한 우려가 주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또한, 골드만삭스는 연방준비제도(Fed)의 첫 금리 인하 시점을 7월에서 9월로 연기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인플레이션과 노동시장의 둔화가 금리 인하의 조건이라는 점을 강조한 것입니다. 한편, 지난주 발표된 경제지표 중 내구제 수주는 예상을 뒤엎고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미국 상무부에 따르면, 4월 내구제 수주는 전월 대비 0.7% 상승했습니다. 이는 월가의 예상치인 0.5% 감소를 상회하는 결과로, 미국 경제의 견고함을 시사하는 중요한 지표로 해석됩니다. 그러나 증가분의 대부분이 방산 부문에서 발생했으며, 이를 제외한 제조업 부문은 큰 변동이 없었다는 분석도 나왔습니다. 국제적으로는 G7 재무장관들이 중국의 과잉 생산과 무역 정책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공동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이는 글로벌 시장에서의 공정한 경쟁을 보장하고, 세계무역기구(WTO) 원칙에 따라 행동할 것을 촉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은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 면제 조치를 종료하고 일부 품목에 대해 관세를 다시 부과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중국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기술 분야에서는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인공지능 스타트업 XAI가 대규모 슈퍼컴퓨터 투자에 나서기로 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이는 AI 챗봇 그록의 차세대 버전을 구동하기 위한 계획의 일환으로, 2025년 가을까지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오라클과의 협력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으며, 이는 기술 개발을 위한 AI 스타트업과의 협업 및 투자가 활발해지고 있는 추세를 반영합니다. 종합적으로 볼 때, 최근 발표된 경제지표와 국제적인 움직임은 미국 경제의 미래에 대한 다양한 시그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소비자 심리의 하락과 내구제 수주의 상승, 그리고 G7의 중국에 대한 경고는 향후 경제 정책과 시장의 방향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조윤지 외신캐스터

자세히 보기

유럽연합, 핵심원자재법(CRMA) 발효 [최보화의 원자재 인사이드]

Q. 원자재 인사이드 시간입니다. 오늘의 주제는 유럽연합의 핵심원자재법, CRMA입니다. 요즘 원자재 시장에서는 ‘탈중국’이 가장 큰 키워드 같습니다. 유럽, 미국, 남미까지 중국산 원자재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각국의 행보들을 쭉 정리해 보면 좋을 것 같은데요, 일단 유럽 쪽부터 살펴볼까요? = 네, 말씀하셨던 것처럼 유럽연합의 핵심원자재법 CRMA가 현지시간 23일, 그러니까 우리 시간으로는 약 사흘 전쯤 발효됐습니다. CRMA라고 하면 상당히 낯선 분들이 많이 계실 텐데요,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 아시죠? 구체적인 부분에서는 당연히 차이가 있겠지만, 크게 본다면 CRMA는 ‘유럽판 IRA’라고 생각하시면 이해하시기 쉬울 겁니다. Q. 유럽판 IRA, 알겠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들을 다루고 있죠? = CRMA는 2030년까지 제3국산 전략적 원자재 의존도를 역내 전체 소비량의 약 65% 미만으로 낮춘다는 목표를 잡고, 이를 위해 역내 제조역량 강화, 또 공급망 다변화를 추구하겠다는 규정을 담고 있습니다. 공정별로는 역내 채굴 비중은 10%, 가공과 처리는 40%, 재활용은 15%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요, 또 허가에 기본적으로 몇 년이 걸렸던 EU 중심의 역내외 채굴 관련 신규 사업은 27개월 이내로, 가공과 재활용 사업은 15개월 이내로 단축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탄소중립 관련 사업에 필수적인 관리 대상 핵심 원자재는 총 34가지를 지정했고요, 이 가운데 리튬이나 마그네슘, 희토류를 포함한 17가지는 ‘전략 원자재’로 분류해, 공급망 위험 평가를 일정 주기마다 실시하도록 했습니다. Q. 그러니까 이게 중국산 원자재에서 자유로워지자는 의도인 거죠? = 아예 그렇다고 명시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표면적으로는 ‘제3국’, 그러니까 EU에 해당하는 국가들 외의 나라들에서 해당 규정 수치 이상의 원자재를 조달하는 게 안 된다는 건데요, 주요 외신들이나 전문가들은 사실상은 중국을 겨냥한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EU 집행위원회는 보도자료를 통해, 이제 유럽은 국내 제조 역량을 늘리고 핵심 원자재 공급망의 지속 가능성과 순환을 강화하기 위한 틀을 갖추게 됐다고 강조했는데요, 이 CRMA를 통해 EU는 국내 공급망을 강화하고 단일 공급국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게 될 것이라고 했습니다. Q. 알겠습니다. 그런데 아까 이 CRMA가 ‘유럽판 IRA’라고 하셨는데, 차이점이 있다고 하지 않았습니까? 차이점은 뭐죠? = 네, 미국 IRA와 비교하면 CRMA는 외국산 제품에 대한 명시적인 차별 조항을 담고 있지는 않습니다. 달성하려는 목표치를 제시한다는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는 평가들이 더 많은데요, 다만, 원자재 생산 과정에서 환경이나 노동 규제 등을 반드시 지키도록 하고 있어, 이를 명분으로 EU 역외 기업들을 차별할 가능성도 충분히 있기는 하고요, 이 CRMA가 본격적으로 발효되고 함께 구체적인 이행계획이 수립되면, 기업들의 행정적인 부담이 늘어나거나 규제 성격을 가진 제한 조처가 뒤따를 가능성도 있다는 점에서는 자연스럽게 어느 정도의 압박이 될 수 있겠습니다. 실제로 CRMA의 발효에 맞춰 마로시 셰프초비치 EU 수석 부집행위원장을 주재로 하는 ‘유럽 핵심원자재 이사회’라는 고위급 협의체도 결성됐고요, 첫 회의도 개최됐다고 합니다. Q. 그렇군요. CRMA에 대한 업계의 반응들은 어떻습니까? = 사실 크게 효과가 있을 지는 잘 모르겠다는 입장들이 아직까지는 더 많습니다. 조금 전 말씀드렸던 것처럼 강제성이 있는 조항들이 들어있지 않다, 이 부분 때문에 회의적인 시각들이 많이 존재를 하고요, EU가 CRMA를 제정한 이상적인 의도대로 흘러가려면 막대한 자금과 시간이 필요한데, 실질적으로 그걸 다 만족시키기가 어렵죠? 가령 리튬을 예로 좀 들어보자면, 광산이 발견된 이후 채굴에 들어가기까지 평균적으로 17년이 넘게 걸립니다. AMG 리튬은, 새로 공장을 지어 수산화리튬을 생산하려면 적으면 5억 내지 많으면 10억 달러가 필요하다고 했는데요, 한화로는 대략 7,000억 원에서 1조 4,000억 원 정도입니다. 독일 현지매체인 도이체벨레에 따르면, 프랑스나 이탈리아, 독일은 광물 채굴량에 대한 민간 자원 프로젝트를 지원하기 위해 공동으로 초기 자금 25억 유로를 모금할 계획이라고 하는데, 이것도 어떻게 될 지는 확신하기에는 아직 이릅니다. 결국 시간도 시간이고, 돈도 돈인만큼, EU가 원하는 대로 그림이 그려질 지는 조금 더 두고 봐야겠습니다. Q. 알겠습니다. 중국을 제지하는 건 비단 유럽 뿐만이 아니죠? 미국도 최근 대중 품목에 대한 관세를 인상하지 않았습니까? = 네, 저희가 방송에서 지난주에 여러 차례 다뤄 드렸는데요, 미국 무역대표부 USTR이 중국산 전기차, 반도체, 배터리, 태양광 패널, 또 의료품 약 180억 달러에 대한 관세를 대폭 인상했죠? 8월 1일부터 발효될 예정인데요, 품목별로 한 번 더 정리해 보자면, 전기차에 대한 관세가 현행 25%에서 100%로, 리튬이온 전기차 배터리와 배터리 부품은 7.5%에서 25%로, 반도체와 태양광 전지도 50%까지 상향됩니다. 앞서 중국산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관세도 25%로 올렸죠. 중국도 미국에 대한 강력한 반박에 나섰습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대형엔진 수입차’ 관세 인상을 검토 중이라고 즉각 발표했는데요, 거의 미국과 유럽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해당이 되겠죠? 미중 무역 전쟁이 본격화된다는 우려들이 적지 않은 상황입니다. Q. 어제 재닛 옐런 미국 재무 장관도 관련 발언을 남겼다고요? = 네, 재닛 옐런 미국 재무 장관이 이탈리아 북부 스트레사에서 열린 G7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 회의 전에 열린 기자회견을 통해, 중국의 값싼 수출품들이 제조업체들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며, G7 국가들이 연합해 중국의 저가 상품에 대응하는 강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래야 중국이 한 국가만이 이런 생각을 하는 게 아니라 많은 나라들이 중국의 전략에 대해 ‘반대의 장벽’에 직면하게 됐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라고 표현했습니다. Q. 그렇군요. 유럽, 미국, 이렇게 거의 순차적으로 중국에 압력을 넣고 있는데 다른 국가들 중에는 유사한 움직임을 보이는 나라들이 있습니까? = 중남미 국가들도 중국산 철강 제품에 대한 관세를 올리거나, 올릴 예정입니다. 남미가 그동안 쌓아온 중국과의 우호적인 관계를 무너뜨리기 시작했다는 점이 유의미하다는 평가들이 나오고 있는데요, 칠레, 브라질, 멕시코 등이 그 예입니다. Q. 남미 국가들의 중국산 원자재 의존도는 어느정도 됩니까? = 중국은 이미 남미에서 최대 원자재 구매국이자 주요 투자국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특히 미국과 유럽의 강력한 관세에 직면한 중국에게 남미는 정말 좋은 신규 판매처였죠. 남미지역 철강협회인 알라세로에 따르면, 중국은 연간 약 1,000만 톤, 금액으로는 85억 달러 상당의 철강을 남미로 수출하고 있는데요, 이는 2000년 8만 5,000톤에 불과했던 것에 비해 말 그대로 급증한 수치입니다. 하지만 보호무역주의 흐름과 중국산 수입품 급증으로, 중남미 철강 생산업체들이 폐업하거나 140만 개의 일자리가 위협받는 상황에 이르자, 남미와 중국과의 관계에는 물음표가 찍히기 시작했습니다. Q. 알겠습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어떻게 됩니까? = 네, 일단 칠레가 중국산 철강 제품에 대해 최대 33.5%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고요, 브라질 역시 곧 수입 합금의 약탈적인 가격 책정을 막기 위해 관세율 할당제를 도입할 예정입니다. 공식 발표에는 중국을 직접 언급한 건 아니지만, 지난해 중국의 브라질 철강 수출량이 290만 톤으로 62% 급증한 게 이 조치의 배경으로 주목이 되니, 암묵적으로는 중국을 가리킵니다. 브라질 철강산업 기관인 아코 브라질은, 브라질에 규칙이 있다는 걸 전 세계에 알리는 신호가 도리 것이라며, 브라질은 무법천지가 아니다라고 전했습니다. 콜롬비아의 철강업체, 파스 델 리오도 최근, 중국산 철강이 50% 할인된 가격으로 들어오자, 정부에 수입 관세를 인상하고 자국 업체들이 먼저 이익을 추구할 수 있도록 지원을 요청한 상태입니다. Q. 알겠습니다. 유럽과 함께 미국, 또 남미 국가들이 점진적으로 중국산 원자재에 대한 자립도를 높이고자 정말 많은 노력들을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다시 본래 주제인 유럽의 CRMA로 돌아가 마무리해 본다면, 우리나라의 기업들도 이에 대한 대처 방안을 좀, 어떻게 마련하고 있습니까? = 네, 아까 말씀드렸듯이 직접적인 피해를 어떻게, 얼만큼 주게 될 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하겠지만 리스크가 되는 건 분명히 맞을 것 같습니다. 국내 전기차용 배터리나 부품 제조업체들도 이 리스크를 선제적으로 줄이며 대비해야 한다는 분위기인데요, 원자재 공급망 다변화나 영구자석, 또는 제품에 사용된 원자재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기 위한 장기적인 계획이 반드시 마련돼야 한다는 거시적인 차원의 제언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최보화 외신캐스터

자세히 보기

세계 최대 부동산 펀드 “더 내줄 돈이 없다”! 韓 해외 투자자 “결국 내 돈 못 받나?” [한상춘의 지금세계는]

지난 주말 엔비디아보다 미 투자자들 사이에 술렁이게 한 사건이 발생했죠. 바로 세계 최대 부동산 펀드인 SREIT가 고객에게 내줄 돈이 없다며 환매 제한을 했는데요. 상황이 이렇다보니 벌써부터 제2 리먼 사태 발생 우려와 함께 국내에서 해외 부동산에 투자했던 사람들은 “내 돈을 받을 수 있을까”하는 궁금증이 커지고 있을텐데요. 그래서 오늘은 이 문제를 알아보는 시간 마련했습니다. 도움 말씀에 한국경제신문, 한상춘 논설위원 나와 계십니다. Q. 지난 주말 엔비디아 가격 상승세가 진정되면서 제 자리를 찾고 있습니다만 미국을 술렁이게 하는 또 하나의 사태가 발생했죠? - 엔비디아 가격 상승세, 제자리 찾는 분위기 - 2대 상승세로 둔화…“제2 엔비디아 찾아라” - "제2 엔비디아는 없다…엔비디아 계속 사둬라" - 세계 최대 부동산 펀드 “고객에 내줄 돈 없다” - 현금 고갈설 나돌았던 SREIT, 환매 제한 결정 - 부동산 펀드 100억 달러…원화로 13조 7천억원 - ‘상업용 부동산’ 회복 불능…제2 리먼 사태 우려 Q. 투자자 입장에서는 내 돈을 마음대로 받을 수 없다고 하면 그만큼 불안한 상황일텐데요? - SREIT, 스타우드 캐피탈 그룹 부동산 펀드 - 그룹 전체 기준, 상업용 투자 손실 1300조원 달해 - 작년부터 펀드런 시달려…환매 제한 조치로 버텨 - SREIT, 환매 제한 조치 안했다면 벌써 ‘마진콜’ - 투자자 월별 자산 회수, 작년부터 2로 제한 - 그럼에도 작년에만 30억 달러 환매…현금 고갈 - 1분기에만 13억 달러 환매 요청…0.33로 제한 - SREIT “조만간 금리 내리니, 기다려달라” 요청 Q. 과거 리먼 사태 전개 과정을 보면 ‘최악의 상황’에 도달한 것이 아닌가 하는데요. 왜 이렇게 된 것입니까? - 창립자 배리 스턴리히트, 레버리지 투자로 돈 벌어 - 레버리지, 부동산 ‘배리 스턴리히트’ vs 주식 ‘빌 황’ - 빌 황의 아케고스 캐피탈, 13조원 손실나며 파산 - 부동산 레버리지 투자, 금리 인상에 가장 취약 - 연준의 금리 인상 이후, 리스케줄링 비용 3배 상승 - ‘monthly cost-benefit vicious cycle’ 진입 - 고객의 환매 요구, 리스케줄링으로 대처 불가능 Q. 더 우려되는 것은 상업용 부동산 투자 손실이 지금부터 시작이라고 하는데요. 왜 이런 시각이 대두되는 겁니까? - IMF “올해 세계 상업용 부동산 시장, 최악의 해” - 세계 상업용 부동산 가격, 최고점 대비 21 폭락 - 美 상업용 부동산 가격 -25…갈수록 낙폭 확대 - 美 상업용 부동산 투자 만기…올해부터 집중 상환 - 2026년까지 2조 달러, 그중에 올해 9290억 달러 만기 - loss cut 시장 경쟁…상업 부동산 가격 간 악순환 - 금리 인하 지연, 마진콜→디레버리지→UDL 국면 Q. 방금 전에 말씀하신 UDL 국면이란 구체적으로 무엇을 말하는 것인지 말씀해 주시지요. - UDL, 스테인 반 니우에뷔르흐 교수 ‘첫 언급’ - Urban doom loop, 도시 죽음의 고리 - UDL, 대도시에서 ‘3단계 악순환 고리’로 진전 - UDL, 대도시에서 ‘3단계 악순환 고리’ 진전 - 1차 악순환, 고금리·원격근무→상업용 건물 하락 - 2차 악순환, 세수부족→세금인상과 SOC 등 부족 - 3차 악순환, 도시 이탈→시카고 공포→죽은 도시 - 리퀴드폴리탄(Liquid+politan), 공동화 심화 Q. 세계 최대 부동산 펀드가 펀드런에 시달림에 따라 가장 우려되는 것은 제2 리먼 사태가 발생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이지 않습니까? - 리먼 사태, 패니매·프레디맥과 공적주택기금 - 버냉키, 헬리콥터 벤 방식의 유동성 공급으로 극복 - IB의 레버리지 투자, 도드 프랭크법으로 제한 - 작년 3월 SVB 뱅크런, 이례적으로 조기 파산 - 유동성 위기가 시스템 위기로 전염…조기 차단 - 구제금융보다 예금자 보호, 신뢰 회복에 최우선 - SREIT 파산시, ‘자기 책임 원칙’으로 맡길 듯 Q. 이번에 SREIT 사태를 계기로 재닛 옐런 장관이 트럼프 정부 때 잠정 폐기됐던 도드 프랭크법을 부활할 뜻을 강하게 내비치지 않았습니까? - 아케고스와 SREIT 사태, 트럼프와 공화당 책임 - 도드 프랭크법, 오바마 지우기 일환 ‘폐기 처리’ - 바이든, 잇따른 레버리지 투자 실패로 부활 방침 - 오바마-바이든, 위기 재발 방지 ‘도드-프랭크법’ - prop trading 규제, 각종 펀드 증거금 대폭 확대 - ‘볼커 룰’ 강화, 레버리지 비율 5배 이내로 축소 - 공시의무 강화, 고객에게는 ‘모든 것 공개’ 원칙 - 괘씸죄에 걸린 빌 황, 의외로 높은 형량 받을 듯 Q. 한국의 증권사들이 투자한 해외부동산 투자도 갈수록 상황이 악화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이번에 문제가 된 SREIT와 많은 점이 유사해 더 우려되고 있지 않습니까? - 韓 증권사의 해외 부동산 투자, 스타우드와 겹쳐 - 브라질·홍콩·프랑스·미국 투자분 손실 발생 - 중후순위로 투자 원금 손실↑…평균 50 넘어 - 韓 증권사의 해외 부동산 투자, 스타우드와 겹쳐 - 2분기부터 만기상환 집중 "조금만 기다려달라" - 해외 부동산 투자자 "무슨 소리?" …민원 발생 급증 - 안이한 대응, 만기 도래하면서 손실 규모 더욱 커져 - 각종 펀드 손실을 보상해 주는 정책당국도 문제 지금까지 한국경제신문사의 한상춘 논설위원이었습니다

자세히 보기
한국경제TV 채널을 구독하고
다채로운 소식을 받아보세요.
구독 좋아요!

TV광고 이미지

베스트 수익률

송관종대표

HLB

송관종대표
106.74 %
  • 매도일시2024-03-29
  • 매도가105,890
송관종대표

알테오젠

송관종대표
99.55 %
  • 매도일시2024-03-29
  • 매도가197,998
강준혁대표

자람테크놀로지

강준혁대표
82.98 %
  • 매도일시2024-04-08
  • 매도가66,775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