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PF 후폭풍…산업현장서 사라지는 '경제허리'

수출이 살아나면서 고용시장에도 훈풍이 불고 있다지만, 40대에겐 예외인 듯 싶습니다. 40대 고용보험 가입자 수가 또 줄며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하고 있는 건데요 특히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기 등의 여파로 40대가 많이 종사하는 건설업 경기 부진이 이어지며 한국 경제의 '허리'가 무너지고 있는 모습입니다. 전민정 기자입니다. 우리 경제를 떠받치는 허리 격인 '40대 고용'이 흔들리고 있습니다. 40대 고용보험 가입자 수는 지난달까지 7개월째 내리막길을 걷고 있는데, 감소폭은 통계 작성 이후 최대 기록을 계속 갈아치우는 중입니다. 40대 고용이 위축된 건 인구 감소 영향이 컸다는 것이 정부의 설명. 하지만 자세히 뜯어보면 얘기는 달라집니다. 올해 들어 40대 인구가 줄어드는 폭은 매달 14만명대로 비슷했지만, 고용보험 가입자 감소폭은 5배 이상 확대됐습니다. 40대 일자리 비중이 높은 제조업과 건설업·부동산 경기 부진의 직격탄을 맞은 겁니다. 실제 5월 건설업 고용보험 가입자 수 감소폭은 '사상 최대'였고, 제조업 역시 외국인을 제외한 내국인 가입자는 8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갔습니다. [천경기 / 고용노동부 미래고용분석과장 : 40대가 차지하는 비중을 보면 다른 업종에 비해서 제조와 건설에서 감소폭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 맞고요.40대에서 감소하는 건설, 도·소매, 제조업 등은 사실 주력산업에 가까운 부분들이고….] 특히 건설 경기 침체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하반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구조조정까지 본격화되면 고용 불안은 더 커질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 [박철한 /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 : 올 상반기까지는 마감공사가 좀 있었는데 그것들이 다 끝나면서 고용하는 숫자가 줄고 있는 것으로 보여지고요. 추세적으로 건축 공사 위축으로 내년 상반기까지는 (고용이) 줄지 않을까….] 건설업은 고용시장에서 10% 가까이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적지 않은데다, 건자재와 폐기물처리 등 관련 분야 고용이나 매출에도 큰 영향을 주는 업종. 지역투자 활성화와 미분양 물량 해소 등 부동산·건설경기 회복을 위한 대책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그나마 되살아난 고용 훈풍의 불씨가 꺼질 수 있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전민정입니다.

자세히 보기

어쩌면 연내 1회 인하 뿐…美 기준금리 관전 포인트는

이번 주 국내외 증시를 움직일 가장 큰 변곡점은 미국 현지 시간 12일에 있을 연방공개시장위원회 FOMC입니다. 앞으로 금리가 어떻게 움직일지를 보여줄 FOMC의 관전포인트, 신인규 기자가 미리 살펴봤습니다. 미국은 1년에 네 차례 경제전망요약을 내놓습니다. 연준 위원들이 각자 금리 예상범위를 점찍어 나타내는 점도표를 비롯해, GDP와 실업률, 인플레이션에 대한 전망이 이때 공개됩니다. 우리 시간으로 13일 새벽에 나올 경제전망요약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지난 3월에 비해 연내 기준금리 인하 횟수가 얼마나 줄어들지입니다. 3월 점도표에서 연준 위원들은 연말 미국의 기준금리 중위값이 연 4.3%까지 떨어질 것으로 봤습니다. FOMC 때마다 0.25%p씩 금리를 내린다면, 올해 세 번 정도는 기준금리를 내려야 할 것이라고 생각했던 겁니다. 시장은 이제 미국의 기준금리가 올해 한 번밖에 내리지 않을 가능성까지도 보고 있습니다. 20만 건이 넘지 않을 것으로 봤던 5월 고용이 27만 건 넘게 증가했고, 미국의 주요 물가 역시 좀처럼 잡히지 않는 미국의 경제 상황 때문입니다. FOMC 회의 기자회견 직전 나올 미국의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역시 예상치가 연준의 목표치보다 높은 전년 대비 3.4% 수준으로 전망됩니다. 한 주 전까지만 해도 올해 첫 금리 인하 시점을 9월로 점쳤던 연방기금금리 시장의 예측 지점은 이제 11월로 후퇴했습니다. 앞서 연내 금리 2회 인하를 예상했다 1회 인하로 전망을 수정한 레피얼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 등의 행보가 이번 점도표에 담길 예정인 가운데, 연준이 바라보고 있는 이상적인 기준금리(중립금리)의 기준선 자체가 높아질 것이라는 목소리 역시 연준 내부에서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같은 상황에서 여전히 연 2회 금리 인하 가능성을 유지하는 월가의 일부 기대심리가 FOMC 이후 어떻게 움직일지가 관건입니다. JP모간의 수석이코노미스트인 마이크 페롤리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경제는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고, 인플레이션은 목표대로 움직이고 있다'는 자신감을 표명할 것'이라며 이번 FOMC가 비둘기파적으로 마무리될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한국경제TV 신인규입니다.

자세히 보기

FOMC 앞두고 출렁...환율 1400원대 재진입 공포

이번주 FOMC 발표를 앞두고 국내 환율 시장이 긴장하는 모습입니다. 오늘 원달러 환율이 장 초반 16원 넘게 급등하며 이달 들어 처음으로 장 초반 1380원대를 재진입했는데, FOMC 회의에서 매파적인 발언이 나올 경우 1400원대 돌파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습니다. 한창율 기자입니다. 지난주 미국의 고용 강세 발표와 이번주 FOMC 회의를 앞두고 환율 시장이 출렁이고 있습니다. 오늘 원 달러 환율은 장 초반에 급등하며 이번달에 처음으로 1380원대를 넘어섰습니다. 연준의 금리 결정에 주요 근거로 작용하는 고용 시장이 호조를 보이면서, 금리 인하시기가 늦춰지는 것 아니냐는 시장의 불안감이 환율에 반영된 것입니다. 이번주 수요일에 미국 FOMC가 열리는 만큼 환율의 변동성은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미 시장에서는 금리 예상범위를 점찍어 나타내는 점도표의 올해 금리인하 예상 횟수를 2회로 기대하고 있는데, 기대가 어긋날 경우 환율 1400원대 재진입도 가능하다고 내다봤습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 점도표라든지 이런 것들이 금리 인하 횟수가 좀 하향 조정된다라고 하면 달러가 추가로 강세로 갈 수 있는 부분이 있는 같습니다. 그렇게 됐을 때는 시장에서 얘기는 1400원대를 다시 터치할 가능성도 있다라고 보고 있습니다] FOMC 결과가 공개되기 직전에 발표되는 미국의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의 발표 역시 환율의 방향성을 흔들고 있습니다. 예상치가 연준의 목표치보다 높은 전년 대비 3.4% 수준으로 전망되면서 금리 인하 명분을 희석시키고 있습니다. [민지희 미래에셋증권 연구원: 일단은 주거비가 아직도 좀 경직적인 흐름이 나오고 있고, 일부 특정한 어떤 서비스 물가의 급등이 아직 좀 유지가 되고 있어 가지고 (근원) CPI가 0.3% MOM 정도 나올 것으로 예상이 되고 있는 건데...] 시장에서도 이번주 주요 지표들의 방향성에 대한 확신을 갖지 못하면서 환율의 변동폭을 상당히 넓게 잡아둔 상태입니다. 두달전 중동 지역의 긴장감 고조와 예상을 빗나간 미국의 경제지표에 장중 1400원대를 돌파한 원달러 환율 공포가 이번주 내내 시장 분위기를 주도할 전망입니다. 한국경제TV 한창율입니다. 영상취재: 김성오 영상편집: 김민영 CG: 홍기리

자세히 보기
한국경제TV 채널을 구독하고
다채로운 소식을 받아보세요.
구독 좋아요!

TV광고 이미지

주식은 와우넷

베스트 수익률

송관종대표

HLB

송관종대표
106.74 %
  • 매도일시2024-03-29
  • 매도가105,890
송관종대표

알테오젠

송관종대표
99.55 %
  • 매도일시2024-03-29
  • 매도가197,998
강준혁대표

자람테크놀로지

강준혁대표
82.98 %
  • 매도일시2024-04-08
  • 매도가66,775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