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효종의 북벌론, 현실성 있었나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재발견] 2021-01-17 08:28:05
북벌론으로 강해진 조선군의 화포 등 무기 수준을 시험하고, 전투력을 소진할 목적으로 조창 사용에 능숙한 병사들의 파견을 요청했다. 이렇게 해서 조선과 러시아 사이에 충돌이 발생했다. 조총군 100명과 초관(哨官) 50여 명은 두만강을 넘어 1651년 1월에 모란강(牧丹江) 상류의 발해 상경성인 영고탑(영안현)에 도착해...
임진왜란서 교훈 못 얻은 조선…정묘·병자호란으로 신음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재발견] 2020-12-27 08:00:08
올렸다. 위협을 감지했던 명나라는 파병된 조선군을 일부(강홍립 장군의 군대) 포함한 20만명의 병력으로 후금을 공격했다. 하지만 명나라의 3분의 1 정도 병력을 가진 누르하치는 기마병을 활용해 사르후(薩爾滸) 전투 등에서 대승을 거두었다. 이어 요동을 장악하면서 동서남북으로 팽창을 추진했다. 이러한 국제질서의...
서경종 HS애드 디렉터 "이날치 광고로 5억뷰…'조선 펑크'의 힘이죠" 2020-12-07 17:38:57
빨간 정장에 조선군 모자와 갓을 쓴 춤꾼들이 대한문을 누빈다. 부산 광안리에서는 검은 정장에 물안경과 수영모를 쓰고 해변을 뛰어다닌다. 판소리 ‘수궁가’에 베이스와 드럼이 받쳐주는 독특한 노래가 장단을 맞춘다. 지난 7월과 10월 공개된 한국관광공사의 광고 캠페인 ‘필 더 리듬 오브 코리아(Feel the Rhythm of...
'국제대전' 임진왜란, 승자는 누구인가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재발견] 2020-11-15 08:00:08
입었다. 농토의 3분의 1이 유실됐고 조선군 7만명과 백성 15만명이 죽었다. 5만명 넘게 포로로 끌려간 이들은 동남아시아, 인도, 유럽까지 헐값에 노예로 팔렸다. 파괴된 숱한 백성들의 삶, 중상을 입은 민족의 역사를 고려하면 국가의 존재 이유를 묻게 만든 패전이다. 임진왜란의 결과로 본 조선의 패배 임진왜란이 왜...
대마도정벌 불구 임진왜란 벌어진 이유는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재발견] 2020-10-18 08:00:02
속에 숨어서 조선군의 동향을 관찰하고 있었다. 조선군은 북섬과 남섬이 만나는 잘록한 지점인 선월(船越·배를 육지 위로 끌어서 반대편 바다로 넘기는 지점)에 목책을 설치했다. 해당 지점은 1904년 러일 전쟁을 벌일 당시 일본이 운하를 뚫어, 두 섬으로 만들면서 만관교를 세운 곳이다. 조선군은 전열을 정비하고 중간 ...
광안리 해변서 정장에 수영모 쓰고 춤바람…"이게 K-리듬이다" 2020-09-09 11:06:29
‘군무’를 춘다. 서울 편에서는 빨간 정장에 조선군 모자와 대감 갓을 쓴 모델들이 청와대 앞과 자하문 터널을 누빈다. 부산 편에서는 물안경과 수영모에 검은 정장을 차려 입은 모델들이 광안리 해변과 감천 문화마을을 거닌다. LG그룹 계열의 광고대행사 HS애드가 제작한 이 광고는 유튜브에서 대박을 쳤다. 서울, 부산,...
[르포] 미리 가본 용산공원…116년만에 담장 허문 미군 장교 숙소 2020-07-21 16:30:01
조선군사령부 일대 전경(1948년 9월)이라는 제목의 사진 속 건물은 해방 이후 미군이 7사단 사령부로 사용한 건물로, 용산기지 역사를 웅변한다. 서울 한복판에 있는 사통팔달의 용산기지가 일본군과 미군의 주둔지로 차례로 활용된 역사를 고스란히 담은 건물인 셈이다. 이 사진에는 '한국 근현대사의 무수한 이야기를...
'선녀들' 김호중, 꿀잼력 더한 역사 과몰입 '동학농민군 빙의' 2020-06-01 09:28:00
신식 무기로 무장한 연합군(일본군+조선군)의 혈전 ‘우금지 전투’가 벌어졌다. 불리할 수 밖에 없는 전투 환경에서 동학농민군은 몰살을 당했고, 이후 일본군에게 체포돼 처형을 당하고 시신조차 찾지 못한 전봉준의 최후는 모두의 가슴을 아프게 했다. 동학 탐사를 마무리 지으며, 설민석은 “저는 동학이 실패라고...
‘선을 넘는 녀석들’ 김호중, 꿀잼력 더한 역사 과몰입 ‘동학농민군 빙의’ 2020-06-01 08:32:38
농민군과 신식 무기로 무장한 연합군(일본군+조선군)의 혈전 ‘우금지 전투’가 벌어졌다. 불리할 수 밖에 없는 전투 환경에서 동학농민군은 몰살을 당했고, 이후 일본군에게 체포돼 처형을 당하고 시신조차 찾지 못한 전봉준의 최후는 모두의 가슴을 아프게 했다. 동학 탐사를 마무리 지으며, 설민석은 “저는 동학이...
[생글기자 코너] 코로나 사태의 근원은 마음속의 방심 2020-04-27 09:00:38
이 전투는 사르후 전투, 여기에 참전한 조선군의 사령관은 강홍립이었다. 30년도 되지 않아 명나라는 청나라에 무너졌다. 사르후 전투 패배 이후로도 한 여러 오판들의 결과였다. 또 다른 일은 약 800년 전이다. 칭기즈칸이 몽골을 통일하고 여러 나라와 국교를 맺고 있을 때 중동 호라즘 왕국의 성주가 몽골의 사신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