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윤명철 동국대 명예교수 "유라시아 대륙·해양 전체가 한민족 활약무대였다" 2021-01-19 17:14:02
연해주, 중앙아시아 일대를 현장조사하며 한민족 뿌리찾기에 매진해왔다. 우즈베키스탄 국립사마르칸트대 교수로도 재직 중이다. 윤 교수는 최근 출간한 《유라시아 총서 시리즈》(전6권·수동예림)에서 한민족의 역사와 문화, 생물학적 정체성의 근원을 찾기 위해 유라시아 지역의 역사와 주요 도시들을 소개했다. 1~2권은...
홍콩매체 "독일 집권 기민당 새 대표 선출, 中에 긍정 신호" 2021-01-18 12:08:05
일대일로(一帶一路:중국-중앙아시아-유럽을 연결하는 육상·해상 실크로드)의 핵심기지로 평가받고 있다. 딩 소장은 "라셰트는 메르켈처럼 매우 실용적이며, 그가 차기 독일 총리가 된다면 독일 외교의 큰 변화는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조 바이든 차기 미 대통령 당선인이 오는 20일 취임하면서 미국이 중국...
'중국 주도' AIIB 창립 5년만에 개도국 영향력 커졌다 2021-01-18 09:49:18
구상인 일대일로(一帶一路:중국-중앙아시아-유럽을 연결하는 육상·해상 실크로드)와 맞물리면서 중국의 동남아와 아프리카 등 개도국에 대한 영향력을 높이는 무대가 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신화망은 "개도국이 주도한 AIIB는 국제적인 수준에 부합되기 어렵고 부패가 심할 것이라는 의심을 받았다"면서 "하지만...
면은 어떻게 세계의 식단으로 자리잡았을까 2021-01-18 09:00:41
중앙아시아를 거쳐 BC 5000년께 중국으로 전래됐다. 황하유역은 기후가 서늘하고 건조해 밀 재배에 적합했다. 국수도 밀과 함께 중앙아시아를 거쳐 중국에서 번성했다. 거꾸로 중국의 국수 문화가 중동과 유럽에 전파됐다는 주장도 있다. 황하 상류의 라지아 지방에서 BC 2000년께로 추정되는 가장 오래된 국수의 흔적이...
중기부, 몽골과 중소기업·스타트업 분야 협력 2021-01-15 14:30:00
정보를 공유할 계획이다. 또 몽골의 중소기업·스타트업 발전을 위한 협력사업을 진행한다. 중기부는 "몽골 기업은 한국 중소기업과의 기술협력으로 부족한 생산기술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한국 기업들에는 몽골을 기반으로 중앙아시아, 러시아까지 진출하는 기회가 확대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kaka@yna.co.kr...
한·몽골, 中企 기술교류·스타트업 생태계 조성 손잡는다 2021-01-15 14:30:00
기반으로 나아가 중앙아시아나 러시아까지 진출하는 기회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박영선 중기부 장관은 “풍부한 원자재를 보유한 몽골과 제조 기술과 해외시장 개척 경험이 풍부한 한국이 협력하면 상호 시너지가 가능하다”라며, “이번 협약으로 몽골과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 탄소중립, 그리고 공정경제...
미중 갈등 속 중국 '백신 외교' 앞세워 개도국 영향력 확대 2021-01-15 10:17:28
기간 왕이 부장은 일대일로(一帶一路:중국~중앙아시아~유럽을 연결하는 육상·해상 실크로드) 협력 강화를 위한 경제 지원과 더불어 히든카드로 제시한 게 중국산 코로나19 백신 지원이다. 이는 미국과 영국 등이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은 선진국들이 입도선매하면서 개도국의 경우 연초 백신 확보가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이...
키르기스 조기 대선 압도적 승리한 좌파로프 "러시아는 형제국" 2021-01-14 10:54:29
중앙아시아 국가인 키르기스스탄의 조기 대선에서 압도적인 승리를 거둔 사디르 좌파로프(52) 당선인이 러시아와의 전략적 관계를 한층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좌파로프 당선인은 13일(현지시간) 방송된 러시아의 뉴스 전문 채널 '로시야 24'와의 인터뷰에서 옛 소련이 붕괴한 이후 러시아와 키르기스스탄은...
중국 왕이, 아프리카 이어 동남아행…아웅산 수치와 회담(종합) 2021-01-12 16:31:58
중국 주도의 일대일로(一帶一路:중국-중앙아시아-유럽을 연결하는 육상·해상 실크로드) 협력 확대를 공고히 한 바 있다. 왕이 부장의 이번 순방이 주목받는 이유는 아프리카와 동남아 지역이 중국에는 미국을 상대로 파고들 수 있는 틈새시장이며 특히 동남아는 남중국해 문제 등 전략적 가치가 작지 않기 때문이다. 왕이...
중국 외교장관 아프리카 이어 동남아행 '우군 확보전' 2021-01-12 11:14:13
주도의 일대일로(一帶一路:중국-중앙아시아-유럽을 연결하는 육상·해상 실크로드) 협력 확대를 공고히 한 바 있다. 왕이 부장의 이번 순방이 주목받는 이유는 아프리카와 동남아 지역이 중국에게는 미국을 상대로 파고들 수 있는 틈새시장이며 특히 동남아는 남중국해 문제 등 전략적 가치가 작지 않기 때문이다. 왕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