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주택자 세부담도 완화...징벌적 세제 대대적으로 손본다

징벌적 과세 지적을 받고 있는 종합부동산세를 손질하기 위한 정부의 대응이 빨라지고 있습니다. 정부와 여당은 종합부동산세 폐지가 궁극적인 목표지만, 여소야대 국면을 감안해 다주택자의 중과세율부터 낮추는 단계적 개편 작업부터 시작하겠다는 입장입니다. 한창율 기자입니다. 정부가 징벌적 과세 체계인 다주택자 중과세율 폐지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21대 국회에서 2주택자에 대한 중과세율만 폐지가 됐는데, 이번에 이를 3주택자 이상 다주택자에게도 적용하겠다는 계획입니다. 현재 3주택자부터는 최고 5.0%인 중과세율이 적용되는데, 최대 2.7%까지만 부과할 수 있는 일반세율을 적용받게 할 방침입니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최근 간담회에서 "종부세 부담을 완화한다는 게 윤석열 정부의 정책방향과 부합하는 것은 맞다"라며 개편의 당위성을 설명하기도 했습니다. 다만 정부는 일각에서 주장하고 있는 종합부동산세 폐지론까지는 신중한 모습입니다. 종합부동산세가 폐지될 경우 '똘똘한 한 채'로 불리는 고가 아파트로의 쏠림 현상이 심화돼 부동산 양극화가 더 커지고, 줄어드는 세금으로 인한 재정 상태도 감안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종부세 개편과 함께 다주택자 양도소득세·취득세 중과를 대폭 완화하는 방안도 추진되고 있습니다. 현행 소득세법은 주택 보유 기간이 2년 이내거나 다주택자가 보유한 부동산을 양도할 때 기본세율에 20~30%포인트를 추가로 부과하고 있는데, 추가 세율 폐지를 검토 중입니다. 21대 국회에서 폐기된 다주택자 세 부담을 22대 국회에서 재추진하겠다는 생각입니다. [홍기용 인천대 경영학과 교수(前 한국세무학회장): 재산 보유에 대해서 과세를 무리하게 하게 되면 결국은 재산권에 여러 가지 제한을 두게 되고 또한 다주택 같은 경우에는 임대차 시장 등 다각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면에서 보면 지금은 당장은 폐지를 하지 않더라도 완화를 하고....] 정부는 이번 종합부동산세 개편과 다주택자의 세금 부담 완화가 부동산시장의 경착륙을 막고, 주택 거래가 정상화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한국경제TV 한창율입니다. 영상편집: 이가인 CG: 신현호

자세히 보기

석유가스株 뿜뿜…"단기 테마로만 접근"

앞서 보신 것처럼 정부가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 막대한 양의 석유와 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을 거론하자 석유가스와 강관 관련주들이 일제히 급등했습니다. 증권가에서는 가스가 있을 만한 지형적 구조를 확인한 수준이라며 투자에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 신재근 기자입니다. 포항 앞바다에 우리나라 국민이 최대 29년간 사용할 수 있는 규모의 천연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정부 발표에 주식시장도 발 빠르게 반응했습니다. 석유가스 관련주들이 일제히 급등세를 보였는데요. 한국석유와 흥구석유, 한국가스공사, 대성에너지 등이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원유와 천연가스 같은 자원을 추출·운송할 때 꼭 필요한 것이 있죠. 바로 강관인데요. 이 때문에 동양철관, 화성밸브 등 강관제조 관련 종목들도 가격제한폭까지 올랐습니다. 삼성전자 시가총액의 5배에 달하는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 발표에 주식시장이 환호했지만, 전문가들은 투자에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합니다. 시추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변수가 아직도 너무 많이 남아 있다는 이유 때문입니다. 일단 시추 작업 자체가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한국석유공사는 2021년 동해 가스전 주변 해역에 가스가 묻혀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시추에 나섰지만, 해저에서 내부 압력이 과도하게 높은 지층인 이상 고압대가 발견되면서 시추가 중단됐습니다. 정부는 이번 가스전 시추 성공률을 20%로 보고 있습니다. 에너지 분야에 저명한 관계자는 "지금 단계는 가스가 있을 만한 지형적 구조를 확인한 수준"이라며 "리스크가 매우 높은 사업"이라고 평가했습니다. 가스가 매장돼 있더라도 상업화에 이르기까지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리는 점도 변수로 꼽힙니다. 앞서 언급된 기업들의 실적에 반영되기까지 불확실성이 매우 높다는 뜻입니다. 상상인증권은 석유가스 관련주 급등에 대해 "장기적으로 긍정적이지만, 단기 테마 성격으로 봐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지금까지 브리핑 전해드렸습니다.

자세히 보기

강남도 강북도 분양가 쇼크…'평당 1억원' 시대

아파트 재건축에 들어가는 공사비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분양가 쇼크로 번지고 있습니다. 강남은 물론 강북의 주요 지역에서도 '평당 분양가 1억원' 시대가 열렸습니다. 성낙윤 기자입니다. 재건축을 앞둔 서울 서초구의 신반포22차 아파트입니다. 최근 조합과 시공사는 3.3㎡당 공사비를 1,300만원으로 올리는 데 합의했습니다. 7년 전에 책정한 560만원 대비 두 배 이상 늘어난 건데, 역대 정비사업 중 최고가입니다. "리모델링 사업도 상황은 마찬가지입니다. 강남구 청담건영아파트는 최근 평당 공사비 1,137만원을 확정했습니다." 당초 687만원 대비 200% 가까이 증가한 금액으로, 리모델링 기준 역대 최고액입니다. 리모델링 아파트인데도 일반 분양 가격이 평당 1억원에 달하는 겁니다. [인근 공인중개사: 신축으로 바뀌니까 그런 시점에서 신축 값하고 구축 값하고는 차이가 많이 나잖아요. 프리미엄이 많이 붙는 거죠.] 강북에서도 랜드마크로 뽑히는 단지는 상황이 비슷합니다. 지난 2월 평당 1억1,500만원에 분양한 '포제스 한강'의 국민평형(84㎡)은 1순위로 청약을 마쳤습니다. [송승현 / 도시와경제 대표: 지금 강남권도 7~8천만원의 분양가가 형성되는 곳들이 계속 나오고 있잖아요. (1:56~2:02)인건비 등 개발 과정에서 금액이 늘어나게 된다고 하면, 이런 속도로 나간다고 하면 '분양가 1억 시대'가 열릴 수밖에 없다고 봐야죠.] 문제는 이런 현상이 대다수 수요자들에겐 먼 나라 얘기라는 점입니다. 신축 아파트 가격이 평범한 서민은 접근조차 어려운 수준으로 치솟았기 때문입니다. [윤지해 /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 직장과의 출퇴근 거리, 교육 등이랑 연계가 돼 있으니까 쉽게 포기가 안 되잖아요? 근데 금액적인 부분이 워낙 높아지니까…] "공사비 급등 여파에 분양가까지 덩달아 높아지면서, '내 집 마련'을 꿈꾸는 실수요자들의 고심은 깊어지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성낙윤입니다." 영상취재 이성근 김성오, 영상편집 권슬기, CG 김민송

자세히 보기
한국경제TV 채널을 구독하고
다채로운 소식을 받아보세요.
구독 좋아요!

TV광고 이미지

주식은 와우넷

베스트 수익률

송관종대표

HLB

송관종대표
106.74 %
  • 매도일시2024-03-29
  • 매도가105,890
송관종대표

알테오젠

송관종대표
99.55 %
  • 매도일시2024-03-29
  • 매도가197,998
강준혁대표

자람테크놀로지

강준혁대표
82.98 %
  • 매도일시2024-04-08
  • 매도가66,775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