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전영범의 별 헤는 밤] 은하수 먼저 보기 2021-02-24 17:40:01
연출한다. 단지 보현산천문대에서는 동쪽과 이어진 남쪽 하늘이 도시 불빛 때문에 밝아서 은하수가 수평선과 지평선에 닿은 환상적인 모습을 보기가 어렵다. 그래서 은하수를 보려면 시간이 조금 더 흘러서 고도가 높아져야 하는데 그러면 해가 뜨는 시간과 가까워져서 하늘이 밝아져 버린다. 따라서 보현산천문대에서는...
"6천600만년 전 공룡 대멸종 충돌체는 장주기 혜성 파편" 2021-02-15 19:00:00
것이라면서, 내년부터 가동될 '베라 C. 루빈 천문대'의 망원경을 통해서도 장주기 혜성의 조석 파괴 현상을 관측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로브 교수는 "오르트 구름에서 온 장주기 혜성의 파편들이 지구로 더 자주 오는 것을 보게될 것"이라면서 "장주기 혜성에 관한 더 많은 자료와 통계를 확보하고 더 많...
군포시, '알래스카 오로라 관측여행기' 강좌 2021-02-15 16:01:38
천문대는 알래스카 오로라 관측여행기에 이어, 몽골 별자리, 일본 금환일식, 미국 서부 천문대 등 천제관측 여행이야기를 계속 이어갈 예정이다. 이번 여행기를 기획하고 직접 강의를 맡게 된 강봉석 주무관은 “코로나19로 인한 집콕 생활의 답답한 마음을 조금이나마 풀어드리고 해외 유명 천체관측의 대리 경험 기회를...
태양~지구 132배 밖 '파파아웃' 태양계 가장 먼 천체 '등극' 2021-02-15 10:14:01
참여한 연구팀은 하와이 마우나케아의 제미니 북반구 천문대 망원경(8.1m)과 칠레 라스 캄파나스 천문대의 마젤란 망원경(6.5m)을 이용한 추가 관측을 통해 파파아웃의 궤도와 크기 등을 확인했다. 셰퍼드 박사는 3년여 전 스바루 망원경(8.2m)으로 파파아웃을 처음 찾아내기는 했으나 "당시에는 아주 멀리 있는 천체"...
지구 최근접 항성계서 외계행성 '후보' 직접 관측으로 찾아내 2021-02-10 19:00:00
, 미국 애리조나대학 스튜어드천문대의 케빈 와그너 연구원이 기술적 한계를 뛰어넘어 지구에서 가까운 별의 행성을 직접 관측한 연구 결과를 내놓아 주목받고 있다. 애리조나대학에 따르면 미국항공우주국(NASA) 허블 펠로십 프로그램의 세이건 펠로인 와그너 연구원이 이끄는 국제연구팀은 칠레 아타카마 사막에 있는...
[전영범의 별 헤는 밤] 한겨울 밤하늘의 '붉은 장미' 2021-01-27 17:55:50
고지의 천문대에선 코로나19 문제가 아니어도 고립된 생활을 한다. 외롭기는 하지만 여러 가지 생각할 시간이 많고, 외부 간섭이 줄어들어 별 보기도 더 좋다. 한 천문 강연 후 질문받는 시간에 초등학생으로 보이는 아이가 “천문학을 하면 뭐가 안 좋아요?”라고 했다. 참 자유로운 발상이었다. ‘뭐가 좋으냐’는 질문은...
"행성들의 군무"…다섯 개 행성 박자 맞춰 도는 TOI-178 행성계 2021-01-26 16:28:17
파라날천문대에 설치된 구경 8m 초거대망원경(VLT)의 첨단 고선명 분광기인 '에스프레소'(ESPRESSO)를 이용해 행성의 중력으로 미세하게 흔들리는 별빛을 포착하는 시선속도법으로 행성을 관측했다. 이와함께 파라날천문대에서 진행되는 '차세대 트랜짓 탐사'(NGTS)와 '초저온 항성을 가리는 생명체...
쌍성계 3개 묶여 서로 별빛 가리는 '희귀' 6중성계 관측 2021-01-25 16:23:23
헝가리 버여(Baja) 천문대 천문학자 타마스 보르코비츠 박사는 뉴욕타임스와의 회견에서 TIC 168789840 내에 행성이 있어 누군가 하늘을 본다면 네 개의 별이 아주 밝게 떠 있는 가운데 "(영화 스타워스에 나오는) 타투인 행성의 루크 스카이워커처럼 두 개의 태양을 볼 것"이라고 했다. 연구팀은 방대한 가스구름에서 우선...
고려시대 우리나라에서도 종종 볼 수 있었던 황홀한 오로라…지구 대기를 교란시켜 통신과 GPS에 영향 주기도 2021-01-25 09:00:22
한국천문연구원 보현산 천문대에서 붉은색 오로라를 관측해 화제가 되었다. 극지방에서 보이는 오로라와 달리 중위도에서는 초록색 오로라 대신 수백㎞ 상공에서 발생하는 붉은색 오로라만 볼 수 있다. 왜? 지구는 둥글기 때문에 우리 위치에서는 아래쪽에 나타나는 초록색 오로라는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우리 선조들은...
목성 크기지만 질량은 10분의 1 '솜사탕 행성' 고체 핵도 작아 2021-01-19 14:02:54
천문대의 고해상도에셀분광기(HIRES)를 이용해 약 4년간 시선속도 방법으로 행성의 중력에 따른 별빛의 흔들림을 측정해 WASP-107 b의 질량이 목성의 10분의 1, 지구 질량의 약 30배에 이르는 것을 재확인했다. 연구팀은 이를 토대로 초저밀도 행성을 형성할 수 있는 행성 내부 구조를 검토한 끝에 WASP-107 b의 고체 핵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