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행성들의 군무"…다섯 개 행성 박자 맞춰 도는 TOI-178 행성계 2021-01-26 16:28:17
우주의 다양한 망원경을 활용해 TOI-178 행성계와 행성들의 궤도 공명(resonance)을 관측한 결과를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Astronomy & Astrophysics)에 발표했다. 태양계 안에서는 목성의 위성(달) 이오와 유로파, 가니메데가 4:2:1의 공명을 이루고 있다. 연구팀은 TOI-178 행성들이 정연한 공명을 유지하는...
목성 크기지만 질량은 10분의 1 '솜사탕 행성' 고체 핵도 작아 2021-01-19 14:02:54
박사과정 대학원생 카롤린 퓰레는 "WASP-107 c는 이 행성계에서 과거에 벌어진 일에 대한 기억을 간직하고 있다"면서 "이 행성의 높은 이심률(0.28·타원형 궤도)은 WASP-107 b와 같은 행성의 이동을 초래할 수 있는 행성 간 상호작용의 상당히 혼란스러운 과거를 시사하고 있다"고 했다. 연구팀은 지난 2018년 허블...
지구서 가장 가까운 4.2광년 밖 행성계서 외계인 신호? 2020-12-21 13:40:26
행성계서 외계인 신호? 프록시마 켄타우리서 전파 포착…외계문명 흔적 가능성 낮아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태양계에서 가장 가까운 별인 약 4.2광년 밖의 '프록시마 켄타우리'에서 외계인 신호일수도 있는 전파가 포착돼 관련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 신호가 태양계 바로 옆 또 다른 외계 기술문명의...
별서 1천억㎞ 이상 떨어진 외계행성 궤도 "제9행성 존재 증거" 2020-12-11 14:04:31
휘도는 쌍성의 중력 효과로 행성계 거의 끝까지 밀려났다는 것이 유력한 가설이다. 행성계 밖으로 완전히 벗어나지 않은 것은 지나가던 별이 궤도 안정화 역할을 한 덕분인데, 우리 은하의 3차원(3D) 지도를 만드는 가이아 위성의 자료를 통해 이런 작용을 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후보 별도 이미 밝혀진 상태다. 연구팀은 HD...
우리 은하 항성 약 18억개 정보 담은 카탈로그 공개(종합) 2020-12-03 23:16:09
궤도를 가진 행성계에서 예상되던 것으로, 연간 초속 7㎜씩 은하 중심을 향해 가속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태양계가 초속 230㎞로 은하 중심을 도는 것과 비교할 때 미미한 것이다. 이와함께 은하의 중심과 정반대 방향에 있는 외곽의 항성 움직임을 통해 100억년 전 고대 은하 원반의 유물을 관측하고, 약 3억~9억년...
우리 은하 항성 약 20억개 정보 담은 카탈로그 공개 2020-12-03 20:01:00
원 궤도를 가진 행성계에서 예상되던 것으로, 연간 초속 7㎜씩 은하 중심을 향해 가속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태양계가 초속 230㎞로 은하 궤도를 도는 것과 비교할 때 미미한 것이다. 가이아 위성이 수집한 자료를 분석해온 가이아 '데이터 처리·분석 컨소시엄'(DPAC) 프로젝트 책임자인 케임브리지대학...
"태양계 인간으로 치면 40주 임신 아닌 12시간만에 탄생" 2020-11-14 11:31:11
측정했다. 그 결과, CAI의 독특한 몰리브덴 동위원소 구성이 원시행성계 원반에서 형성된 물질을 거의 모두 커버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으며 이를 토대로 태양이 원시별에서 수소 융합이 시작되는 전(前) 주계열 단계(pre-main sequence phase)로 전환하며 태양계를 만들 때 CAI가 형성된 것으로 분석했다. 연구팀은 태양...
[사이테크 플러스] 폴란드·한국 연구팀 "지구보다 작은 떠돌이 외계행성 발견" 2020-10-30 09:31:12
발견하기 어렵다. 행성의 형성 이론에 따르면 행성계에서 튕겨 나온 떠돌이 행성은 질량이 지구의 0.3~1.0배 정도에 불과하다. 중력 마이크로렌즈 현상을 일으킬 수는 있지만, 별이나 블랙홀보다는 질량이 매우 작아 빛이 휘거나 변하는 정도가 작고 지속시간도 짧아 관측이 어렵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바르샤바대학이...
'창백한 푸른점' 지구 외계 지적생명체에 이미 발견된 건 아닐까 2020-10-22 16:04:16
행성계 1천여곳 제시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보이저1호가 30년 전 61억㎞ 떨어진 곳에서 찍어 전송한 지구의 모습은 '창백한 푸른 점'(pale blue dot)에 불과했다. 이후 관측 기술이 발전하면서 엄청나게 더 먼 거리에 있는 다른 별의 행성을 4천여개나 찾아내고 일부는 대기까지 분석할 수 있게 됐다....
공전주기 3.14일 행성 'π지구' 발견…생명체 서식 기대 못 해 2020-09-22 15:44:09
자료에서 315번째로 찾아낸 행성계라는 의미를 담고있다. 연구팀은 이 행성계가 314번째로 발견되지 못한 점에 아쉬움을 나타내기도 했다. π 지구는 분석 결과, 지구 지름의 0.95배로 태양의 5분의 1밖에 안 되는 M형 별을 초속 81㎞로 돌고있다. 행성의 질량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지구와 같은 암석형 행성이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