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판 구원투수' 자처한 최연소 암호화폐 갑부, 빗썸 인수 추진

입력 2022-07-24 15:57   수정 2022-07-24 16:19


글로벌 암호화폐거래소 FTX가 국내 2위 거래소 빗썸 인수를 추진하고 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FTX는 미국의 30세 암호화폐 억만장자 샘 뱅크먼프리드가 창업한 세계 10위권 거래소다.

지난 22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FTX가 빗썸을 인수하기 위해 지난 몇 달간 협상을 벌여왔다고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FTX와 FTX의 미국 자회사인 FTX US가 (빗썸을 비롯한 암호화폐기업 인수를 목적으로) 최근 신규 자본 조달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FTX와 빗썸은 모두 사실 확인을 거부했다.
"뱅크먼프리드, 코인 기업 '저가매수' 중"
FTX의 창업자 샘 뱅크먼프리드는 최근 암호화폐 업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인물이다. 그는 암호화폐 업계 유력 트레이딩·투자 회사인 알라메다리서치의 창업자이기도 하다. 포브스 집계에 따르면 그의 순자산은 210억달러(26조3310억원)로 전 세계 72위다. 암호화폐 업계 최고 부자였던 바이낸스 창업자 자오창펑(174억달러)을 누르고 최연소 갑부로 올라섰다.

뱅크먼프리드는 루나·테라USD 대폭락과 쓰리애로우캐피털(3AC)·보이저디지털·셀시우스네트워크 등 암호화폐 ‘큰손’ 업체들의 잇단 파산으로 유동성 위기에 빠진 시장에 구제 금융을 지원하고 지분을 사들이며 업계 장악력을 높여가고 있다. FTX는 지난달 캐나다 암호화폐거래소 비트보를 인수한 데 이어 이달 초엔 미국의 대형 암호화폐 대출업체 블록파이를 2억4000만달러의 가격 상한 내에서 인수할 수 있는 권한을 확보했다.

23일(현지시간)에는 파산 절차에 들어간 보이저디지털 이용자들이 보이저에 묶여있는 자산을 출금할 수 있도록 FTX에 계좌를 터주는 방안을 제안하기도 했다. 뱅크먼프리드는 앞서 알라메다를 통해 이 회사에 2억달러 규모 달러/USDC와 비트코인 15000개를 대출해줬다. 블룸버그는 "뱅크먼프리드는 암호화폐 시장 붕괴를 '저가 매수 기회'로 활용하고 있다"고 했다.


뱅크먼프리드가 빗썸 인수를 검토하는 것도 FTX의 글로벌 영향력을 넓히려는 노력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한국은 암호화폐 시장이 활성화되어 있는데다 국내 대형 거래소들은 엄격한 규제를 준수하고 있어 시장이 쪼그라든 틈을 타 사업을 확장하려는 FTX 입장에선 좋은 인수 대상일 것”이라고 했다.
"통제 강한 한국 정부, 허가 안할것"
다만 실제 인수까지는 장애물이 산적해 있다. 한 관계자는 “매각가를 두고 양측의 이견이 큰 것으로 안다”고 했다. 과거 수차례 빗썸 매각의 발목을 잡아온 복잡한 지배구조 문제와 순환출자 고리도 여전하다.

무엇보다 정부가 제동을 걸 가능성이 크다는 게 업계 전반의 관측이다. FTX는 대표적 조세회피처인 바하마에 본사를 두고 있는데다 해외 거래소가 빗썸을 인수할 경우 정부의 외화 관리에도 구멍이 날 수밖에 없다. 주기영 크립토퀀트 대표는 트위터를 통해 “한국 정부는 자본을 강력하게 통제하고 있으며 (FTX가 빗썸을 인수할 경우) 암호화폐를 통한 외국 자본 유입이 가능해져 통제권을 상실할 수 있다”며 인수가 불발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빈난새 기자 binthere@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