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이 낮을수록 담배를 더 자주 피운다는 통념이 사실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중간층의 흡연율과 담배 소비량이 최고였다.
민희철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7일부터 이틀간 여수 엠블호텔에서 열리는 한국재정학회 학술대회에 `소득이 담배수요에 미치는 효과의 분석` 논문을 제출했다. 한국조세연구원의 재정패널조사 원자료를 활용해 소득과 담배수요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논문이다.
민 교수는 소득분위를 10단위로 나누고, 소득그룹별 흡연자의 비중, 소득그룹별 흡연자들의 평균 담배 구매량, 소득그룹별 평균 담배 구매량을 계산했다. 그 결과 흡연자 비중이 소득 하위 1분위부터 4분위까지 소득에 비례하다가 그 이후엔 완만하게 감소했다. 고소득층인 9~10분위에 와서는 흡연자 비중이 급락했다.
소득이 낮을수록 흡연율이 높아 건강 위험이 크다는 주장은 이번 결과와 달랐다. 흡연자들의 구매량은 9,10분위를 제외하고는 소득에 비례해 완만하게 증가했다. 흡연자, 비(非)흡연자를 모두 포함한 소득그룹별 평균 구매량은 흡연자 비중과 마찬가지로 뒤집어 놓은 `U`자 형태다.
소득 수준과 비교한 담배 구매량은 저소득층이 높았다. 소득 1만원당 담배 구매량(갑)을 구해보니 소득 하위 10%인 1분위만 2갑에 육박했고 나머지는 1갑 미만이었다. 소득이 높을수록 구매량은 감소했다.
이는 담배세 부담이 대체로 역진적임을 시사한다고 민 교수는 설명했다. 담배 수요의 소득탄력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0과 다르지 않아 담배수요가 소득에 상당히 비탄력적이었다.
민희철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7일부터 이틀간 여수 엠블호텔에서 열리는 한국재정학회 학술대회에 `소득이 담배수요에 미치는 효과의 분석` 논문을 제출했다. 한국조세연구원의 재정패널조사 원자료를 활용해 소득과 담배수요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논문이다.
민 교수는 소득분위를 10단위로 나누고, 소득그룹별 흡연자의 비중, 소득그룹별 흡연자들의 평균 담배 구매량, 소득그룹별 평균 담배 구매량을 계산했다. 그 결과 흡연자 비중이 소득 하위 1분위부터 4분위까지 소득에 비례하다가 그 이후엔 완만하게 감소했다. 고소득층인 9~10분위에 와서는 흡연자 비중이 급락했다.
소득이 낮을수록 흡연율이 높아 건강 위험이 크다는 주장은 이번 결과와 달랐다. 흡연자들의 구매량은 9,10분위를 제외하고는 소득에 비례해 완만하게 증가했다. 흡연자, 비(非)흡연자를 모두 포함한 소득그룹별 평균 구매량은 흡연자 비중과 마찬가지로 뒤집어 놓은 `U`자 형태다.
소득 수준과 비교한 담배 구매량은 저소득층이 높았다. 소득 1만원당 담배 구매량(갑)을 구해보니 소득 하위 10%인 1분위만 2갑에 육박했고 나머지는 1갑 미만이었다. 소득이 높을수록 구매량은 감소했다.
이는 담배세 부담이 대체로 역진적임을 시사한다고 민 교수는 설명했다. 담배 수요의 소득탄력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0과 다르지 않아 담배수요가 소득에 상당히 비탄력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