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인도 농민시위 두달째 장기화…'농업개혁법 보류' 정부안 거부 2021-01-22 13:34:10
국가가 관리하던 농산물 유통과 가격 책정을 시장에 대부분 개방하는 내용을 담았다. 이에 따라 농민들은 국가 도매시장 대신 민간 유통 업체 등과 직거래할 수 있게 됐다. 나렌드라 모디 정부는 이 법이 규제 완화를 통한 유통 시장 현대화 조치라며 농업 생산성 증대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한다. 하지만 농민들은 시장...
생산자물가 상승률, 39개월래 최고…'밥상물가' 급등 영향 2021-01-21 10:03:13
생산자물가는 생산자가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도매물가로 통상 한 달의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반영된다. 생산자물가는 지난해 10월(-0.4%) 5개월 만에 떨어졌다가 지난해 11월 0.1%로 반등했고 지난달 상승폭이 더 커졌다. 치솟은 농산물 가격이 생산자물가를 밀어올렸다. 딸기는 지난달 한달 동안에만 116...
해수부, 참조기·오징어 등 수산물 1만879t 시장에 푼다 2021-01-20 17:46:43
방출량은 명태 8천701t, 오징어 696t, 참조기 622t, 갈치 484t, 고등어 297t, 마른멸치 79t이다. 해수부는 전통시장과 대형유통업체, 홈쇼핑에 우선 공급하고 남는 물량은 도매시장이나 전자입찰(B2B)로 배정할 계획이다. 정부비축 수산물은 시중 가격보다 약 10∼30% 정도 싸 소비자들이 저렴한 가격에 수산물을 구매할...
올해 농업생산액·농가소득 소폭 오를 듯…증가폭은 둔화 2021-01-20 11:42:54
쌀 가격은 점차 안정세로 전환하겠다"고 내다봤다. 한우는 지난해 말 기준 도축이 가능한 암소는 149만 마리로 전년 대비 4.8%, 수소는 55만마리로 6.0% 많다. 이에 도매가격은 지난해보다 7.9% 하락한 ㎏당 1만8천원 내외가 될 것으로 추산된다. 돼지는 오는 5월까지 출하 가능한 자돈·육성돈·비육돈 사육 마릿수가...
30% 뛴 채소값, 마트선 15%로 막은 비결은 2021-01-19 17:18:14
가격을 5000원대에서 6000원대로 올렸다. 대형마트는 마진을 포기했다. 도매 가격 상승분을 내부적으로 감당하기로 했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올 들어 신선식품 품질을 강화하는 ‘최상의 맛’ 캠페인을 내걸고 전사적으로 식품에 집중하고 있는데, 계란 도매가가 치솟았다고 가격을 따라 올릴 수는 없다”며 “계란은...
한국남부발전, 경영환경 극복 위한 재무구조 혁신 2021-01-18 17:15:28
도매 가격 하락 등 외부 환경 대응한 15대 과제 추진 부산 문현금융단지에 있는 한국남부발전 본사의 온실가스 배출권 전략상황실. 남부발전 제공. 한국남부발전(사장, 신정식)이 전력수요 감소, 전력도매가격(SMP) 하락, 코로나19 장기화 등 악화된 경영환경 극복을 위한 재무구조 혁신에 박차를 가한다. 남부발전은 최근...
고삐 풀린 식탁물가…코로나19로 '집밥' 늘었는데 어쩌나 2021-01-18 07:33:59
기준 소매가격은 6만465원이다. 지난해 같은 달 5만2350원보다 15.5% 급등했다. 쌀 소매가격은 지난해 10월 5만6314원, 11월 5만8906원 등 지속 상승해 12월에는 6만원선도 넘어섰다. 지난해 긴 장마와 태풍으로 작황이 부진해 생산량이 줄어서다. 채소 가격도 오름세다. 지난해 6∼12월 깐마늘 상품 kg당 평균 도매가격은...
코로나19로 집밥 많이 먹는데 식탁물가는 '고공행진' 2021-01-18 05:55:00
지난해 같은 달 5만2천350원보다 15.5% 상승했다. 쌀 소매가격은 지난해 10월 5만6천314원, 11월 5만8천906원 등 꾸준히 올라 12월 6만원 선을 돌파했다. 지난해 긴 장마와 잇따른 태풍으로 작황이 부진하면서 생산량이 줄어든 것이 영향을 미쳤다. 요리에 자주 쓰이는 채소 가격도 대체로 강세다. 지난해 6∼12월 깐마늘...
사과 50% 뛰고, 계란 한판 6천원…주부들 "한숨밖에 안 나와" 2021-01-17 17:21:26
가격까지 들썩이고 있어 밥상 물가뿐 아니라 설 차례상 비용까지 걱정되는 상황이다. 정부가 유통업계와 공동으로 할인 행사에 나서며 소매가격 상승을 간신히 틀어막고 있지만 당분간 물가 상승 압력이 계속될 것이란 전망이다. 고삐 풀린 밥상 물가국내 농산물 도매가격 동향을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팜에어·한경...
금계란·금사과…손 떨리는 밥상물가 2021-01-17 17:07:14
약 10%에 달하는 수치다. 농산물 가격도 한파로 큰 타격을 입고 있다. 국내 거래액 기준 상위 22개 농산물의 도매거래 가격을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팜에어·한경 한국농산물가격지수(KAPI: Korea Agricultural product Price Index)’는 지난 3개월 새 최고인 182를 기록했다. 1년 전(152)과 비교해 16%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