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 졸업 늦춰준다...'가업상속' 파격지원이 관건

정부가 중견기업이 되더라도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유예 기간을 5년으로 늘려주기로 했습니다. '기업 밸류업' 지원의 일환으로 코스피와 코스닥에 상장된 중소기업의 경우 2년을 추가해 최대 7년간 기존 혜택이 이어집니다. 중소기업이 성장을 기피하는 이른바 '피터팬 증후군'을 없애 성장 사다리를 놓겠다는 건데, 실효성을 담보하기 위해선 가업 상속 문턱을 파격적으로 낮출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전민정 기자입니다. 중소기업에서 중견기업으로, 다시 대기업으로 성장하는 ‘기업 스케일업’은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고 경제규모를 키우는 ‘핵심 동력‘으로 꼽힙니다. 하지만 감세 혜택은 사라지고 규제만 늘어나는 탓에 중소기업에서 중견기업으로 진입하는 기업 수는 최근 5년간 4분의 1 수준으로 '뚝' 떨어졌습니다. 각종 지원이 줄어들 것을 우려해 성장을 꺼리는 이른바 ‘피터팬 증후군’이 만연해 있는 겁니다. 이에 정부는 중소기업 '졸업' 후에도 중소기업 때 받던 세제 지원 혜택을 최대 7년까지 누릴 수 있도록 하고, 중견기업 초기 3년까지는 높은 연구개발(R&D)·투자세액공제율을 적용해 비용 부담도 덜어주기로 했습니다. [최상목 /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 중소기업 기준을 넘어가도 기존 세제 혜택을 그대로 받을 수 있는 ‘졸업 유예기간’을 3년에서 5년으로 연장하되, 상장 중소기업은 밸류업 지원을 위해 7년까지 추가 연장하겠습니다.] 하지만 세제지원 못지 않게 강소기업이 중견기업으로 성장하는 데 걸림돌이 되는 건 '가업승계' 규제. 중소기업 창업주가 고령화되면서 상속세 등의 문제로 일부에선 2세 승계를 포기하고 아예 문을 닫을 생각까지 하는 것이 현실입니다. 상속세 재원 마련 부담에 신사업 진출이나 기업가치 제고에도 소극적일 수 밖에 없습니다. 결국 상속세 최고세율 인하, 가업상속공제 확대 등 가업상속 문턱을 낮출 수 있는 좀 더 파격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업계는 입을 모읍니다. [박양균 / 한국중견기업연합회 정책본부장 : 오너체제에서는 고위험·고수익 투자가 가능한데요. 그런 장점을 더욱 살릴 수 있도록 상속세율을 OECD 평균 수준(15%)으로 대폭 낮추고 공격적인 R&D에 나설 수 있는 여건도 조성해야 합니다.] 다만, 정부는 투자를 늘린 중소기업에 대해선 연 매출 등 가업상속공제제도 적용 기준을 완화해주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한국경제TV 전민정입니다.

자세히 보기

다주택자 세부담도 완화...징벌적 세제 대대적으로 손본다

징벌적 과세 지적을 받고 있는 종합부동산세를 손질하기 위한 정부의 대응이 빨라지고 있습니다. 정부와 여당은 종합부동산세 폐지가 궁극적인 목표지만, 여소야대 국면을 감안해 다주택자의 중과세율부터 낮추는 단계적 개편 작업부터 시작하겠다는 입장입니다. 한창율 기자입니다. 정부가 징벌적 과세 체계인 다주택자 중과세율 폐지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21대 국회에서 2주택자에 대한 중과세율만 폐지가 됐는데, 이번에 이를 3주택자 이상 다주택자에게도 적용하겠다는 계획입니다. 현재 3주택자부터는 최고 5.0%인 중과세율이 적용되는데, 최대 2.7%까지만 부과할 수 있는 일반세율을 적용받게 할 방침입니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최근 간담회에서 "종부세 부담을 완화한다는 게 윤석열 정부의 정책방향과 부합하는 것은 맞다"라며 개편의 당위성을 설명하기도 했습니다. 다만 정부는 일각에서 주장하고 있는 종합부동산세 폐지론까지는 신중한 모습입니다. 종합부동산세가 폐지될 경우 '똘똘한 한 채'로 불리는 고가 아파트로의 쏠림 현상이 심화돼 부동산 양극화가 더 커지고, 줄어드는 세금으로 인한 재정 상태도 감안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종부세 개편과 함께 다주택자 양도소득세·취득세 중과를 대폭 완화하는 방안도 추진되고 있습니다. 현행 소득세법은 주택 보유 기간이 2년 이내거나 다주택자가 보유한 부동산을 양도할 때 기본세율에 20~30%포인트를 추가로 부과하고 있는데, 추가 세율 폐지를 검토 중입니다. 21대 국회에서 폐기된 다주택자 세 부담을 22대 국회에서 재추진하겠다는 생각입니다. [홍기용 인천대 경영학과 교수(前 한국세무학회장): 재산 보유에 대해서 과세를 무리하게 하게 되면 결국은 재산권에 여러 가지 제한을 두게 되고 또한 다주택 같은 경우에는 임대차 시장 등 다각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면에서 보면 지금은 당장은 폐지를 하지 않더라도 완화를 하고....] 정부는 이번 종합부동산세 개편과 다주택자의 세금 부담 완화가 부동산시장의 경착륙을 막고, 주택 거래가 정상화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한국경제TV 한창율입니다. 영상편집: 이가인 CG: 신현호

자세히 보기

강남도 강북도 분양가 쇼크…'평당 1억원' 시대

아파트 재건축에 들어가는 공사비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분양가 쇼크로 번지고 있습니다. 강남은 물론 강북의 주요 지역에서도 '평당 분양가 1억원' 시대가 열렸습니다. 성낙윤 기자입니다. 재건축을 앞둔 서울 서초구의 신반포22차 아파트입니다. 최근 조합과 시공사는 3.3㎡당 공사비를 1,300만원으로 올리는 데 합의했습니다. 7년 전에 책정한 560만원 대비 두 배 이상 늘어난 건데, 역대 정비사업 중 최고가입니다. "리모델링 사업도 상황은 마찬가지입니다. 강남구 청담건영아파트는 최근 평당 공사비 1,137만원을 확정했습니다." 당초 687만원 대비 200% 가까이 증가한 금액으로, 리모델링 기준 역대 최고액입니다. 리모델링 아파트인데도 일반 분양 가격이 평당 1억원에 달하는 겁니다. [인근 공인중개사: 신축으로 바뀌니까 그런 시점에서 신축 값하고 구축 값하고는 차이가 많이 나잖아요. 프리미엄이 많이 붙는 거죠.] 강북에서도 랜드마크로 뽑히는 단지는 상황이 비슷합니다. 지난 2월 평당 1억1,500만원에 분양한 '포제스 한강'의 국민평형(84㎡)은 1순위로 청약을 마쳤습니다. [송승현 / 도시와경제 대표: 지금 강남권도 7~8천만원의 분양가가 형성되는 곳들이 계속 나오고 있잖아요. (1:56~2:02)인건비 등 개발 과정에서 금액이 늘어나게 된다고 하면, 이런 속도로 나간다고 하면 '분양가 1억 시대'가 열릴 수밖에 없다고 봐야죠.] 문제는 이런 현상이 대다수 수요자들에겐 먼 나라 얘기라는 점입니다. 신축 아파트 가격이 평범한 서민은 접근조차 어려운 수준으로 치솟았기 때문입니다. [윤지해 /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 직장과의 출퇴근 거리, 교육 등이랑 연계가 돼 있으니까 쉽게 포기가 안 되잖아요? 근데 금액적인 부분이 워낙 높아지니까…] "공사비 급등 여파에 분양가까지 덩달아 높아지면서, '내 집 마련'을 꿈꾸는 실수요자들의 고심은 깊어지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성낙윤입니다." 영상취재 이성근 김성오, 영상편집 권슬기, CG 김민송

자세히 보기
한국경제TV 채널을 구독하고
다채로운 소식을 받아보세요.
구독 좋아요!

TV광고 이미지

주식은 와우넷

베스트 수익률

송관종대표

HLB

송관종대표
106.74 %
  • 매도일시2024-03-29
  • 매도가105,890
송관종대표

알테오젠

송관종대표
99.55 %
  • 매도일시2024-03-29
  • 매도가197,998
강준혁대표

자람테크놀로지

강준혁대표
82.98 %
  • 매도일시2024-04-08
  • 매도가66,775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