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단독] 올해 노사정 신년인사회 안한다…37년만에 처음 2021-01-18 10:12:38
국제노동기구(ILO) 핵심협약 비준을 위한 노동관계법 개정을 밀여붙였다. 경영계는 과도한 친노조 입법이라고 반발했고, 노동계는 '노동개악'이라며 역시 정부를 비판했다. 이어 신년 벽두에는 산업현장의 반발에도 근로자 사망 사고 시 사업주 처벌을 대폭 강화하는 내용의 중대재해기업처벌법도 통과시켰다. 이...
'내로남불' 일본…주권면제 제외 법 만들고도 위안부판결 비난 2021-01-18 06:01:01
주권 면제가 제약된다는 취지의 조약을 비준한 것이다. 일본은 사망이나 상해 등 인적 피해를 동반하는 상황 등에 대해서 주권 면제가 적용되지 않는다고 적극적으로 제도를 구축해 온 셈이다. 이런 가운데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자국에 불리한 판결이 내려지자 주권 면제 원칙을 무시한 판결이며 국제법 위반이라며...
[시론] 외교가 필요한 이란의 韓선박 나포 2021-01-12 17:37:34
비준을 하지 않아 당사국이 아니다. 1993년 이란 해양구역법은 영해, 배타적경제수역, 대륙붕 등을 포괄적으로 규정하면서도 통과통항은 도입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란이 협약서명 시 해석적 선언으로 통과통항은 협약당사국에만 적용된다는 의사를 표명했고, 통과통항 제도가 영해 폭을 확대하는 조건으로 창설된 제도라는...
정부, CPTPP 참여 적극 검토…가입대비 제도개선안 상반기 마련 2021-01-11 10:30:00
비준 동의 절차 등을 준비하기로 했다. 미국 신정부 출범에 맞춰 한미 전략적 경제 협력도 강화한다. 기후변화 대응, 보건·방역, 디지털·그린 뉴딜, 첨단기술, 다자주의 등 5대 분야에 중점을 두고 협력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기후변화와 관련해서는 미국의 '탄소중립 계획'과 한국의 '2050 탄소중립...
美 홍콩 민주인사 체포에 제재 검토…中 "대가 치를 것"(종합) 2021-01-07 17:52:22
규탄…"유럽의회서 EU-중국 투자협정 비준 악영향 거론" (홍콩·베이징=연합뉴스) 윤고은 김윤구 특파원 = 홍콩 범민주진영 인사 수십명이 무더기로 체포되자 서방 주요국이 강하게 규탄하고 나섰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7일(현지시간) 성명에서 미국이 홍콩 인사들 체포에 관련된 개인과 기관에 대한 제재를...
홍콩 범민주인사 무더기 체포에 서방국들 강력 규탄(종합) 2021-01-07 14:16:15
홍콩매체 "유럽의회서 EU-중국 투자협정 비준 악영향 거론" (홍콩·서울=연합뉴스) 윤고은 특파원 최윤정 기자 = 홍콩 범민주진영 인사 수십명이 무더기로 체포되자 서방 주요국이 강하게 규탄하고 나섰다. 도미닉 라브 영국 외무장관은 6일(현지시간) "홍콩의 권리와 자유에 심각한 공격"이라고 비판했다고 AFP통신이...
"올해 한국과 FTA 발효국간 무역 비중 77% 넘을 듯" 2021-01-04 11:00:06
중 3개국 이상이 비준 절차를 마치면 발효된다는 조건을 고려할 때 하반기 중 발효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렇게 되면 우리나라의 FTA 발효국과 무역 비중은 77.1%까지 확대된다. 무역협회 최용민 통상지원센터장은 "RCEP이 발효되면 양자 FTA, 여러 국가 간 FTA, 메가 FTA가 중첩된다"면서 "우리 기업들은 시기별로 가장...
아프리카 FTA 오늘 공식 출범…"13억 인구 시장" 2021-01-01 23:11:32
34개국이 비준했다. 41개국이 관세 감축 일정을 제시한 상태다. 실버 오자콜 AfCFTA 사무국장은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각국이 무역 충격을 받으면서 아프리카 대륙 내 통합 필요성이 더욱 커졌다"며 "경제 통합은 단번에 일어나는 일이 아니라 과정을 거쳐야 하는 만큼 이번 출범이 시작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선한결...
'세계 최대' 아프리카 자유무역지대 개시…과제 여전 2021-01-01 19:32:20
서명했고 34개국이 비준했다. 54개 자유무역지대 회원국 가운데 41개국이 관세 감축 일정을 제시한 상태다. AfCFTA는 대부분의 상품에 대해 국경 간 관세를 제거하거나 낮추고 자본과 인력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며 투자를 늘려 대륙 단위의 관세 동맹으로 가자는 목표를 갖고 있다. 다만 전문가들은 유럽연합(EU)의 경우를...
中, EU와 7년 만에 손잡았다 2020-12-31 16:21:20
중국 책임론’ 등 중국에 대한 반감이 적지 않은 데다 중국과 EU의 깊은 유대가 아니라 이해관계를 따져 협정에 합의했다는 점에서 실제 실행이 쉽지 않을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양측 간 투자협정은 EU 27개 회원국과 EU 의회의 비준을 받아야 한다. 이 때문에 실제 협정이 체결되고 시행되기까지는 수개월 이상 걸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