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5월 라면 물가상승률 13.1%…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고 2023-06-05 06:01:01
3.9 │ 4.6 │ 17.1 │ 22.0 │ 19.6 │ ├─────────────────┼───┼───┼───┼───┼───┤ │ 초콜릿 │ 8.9 │ 7.9 │ 19.0 │ 18.6 │ 18.8 │ ├─────────────────┼───┼───┼───┼───┼───┤ │혼합조미료│ 17.7 │ 13.0 │ 13.3 │ 14.9 │...
'인플레 주범' 석유류 18% 뚝…체감물가, 20개월 만에 최저 2023-06-02 16:18:49
전보다 3.9% 오르며 지난해 7월(3.9%) 후 처음으로 3%대에 진입했다.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 상승률도 4월 4.6%에서 지난달 4.3%로 둔화했다. 서비스 물가 상승세도 한풀 꺾였다. 특히 높은 인건비가 반영되던 외식 물가는 4월 7.6%에서 지난달 6.9%로 내렸다. 다만 다른 품목에 비해 상승률이 여전히 높은 탓에 전체...
[표] 거래소 기관 순매수도 상위종목(2일) 2023-06-02 15:45:17
│LG이노텍│70.9│2.3 │엔씨소프트│33.9 │1.1 │ ├────┼──────┼─────┼─────┼─────┼─────┤ │포스코퓨│70.1│1.9 │기아 │33.0 │3.9 │ │처엠││ │ │ │ │ ├────┼──────┼─────┼─────┼─────┼─────┤ │현대로...
5월 물가상승률 3.3%로 둔화…전기·가스는 두달째 20%대(종합2보) 2023-06-02 10:31:34
5월 3.9%로 0.1%포인트 하락했다. ◇ 당분간 둔화 흐름…이후론 불확실 당분간 물가 상승률은 더 둔화할 것으로 보이나 이후로는 일정 부분 불확실성이 있다. 통계청 김보경 심의관은 "그간 근원물가가 많이 하락하지는 않는 모습을 보였지만 5월에는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가 소폭이나마 둔화하는 모습을 보였다"며...
한은 "물가상승률, 올해 중반 2%대 가능성…연말께 3% 내외 전망" 2023-06-02 10:20:22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1년 전보다 3.9% 상승했다. 지난달(4.0%)에 비하면 소폭 낮아지긴 했지만 여전히 더딘 둔화 흐름을 보이고 있다. 이에 대해 김 부총재보는 "개인 서비스물가 오름세가 둔화했지만 상품가격이 섬유제품을 중심으로 오름 폭이 확대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앞으로 소비자물가...
5월 물가 '19개월만에 최저'지만..."공공요금·외식비는 무섭게 올랐다" 2023-06-02 10:19:49
및 에너지 제외 지수의 상승률은 4월 4.0%에서 5월 3.9%로 0.1%포인트 하락했다. 김보경 심의관은 "지난해 높은 물가에 따른 기저효과로 상승률이 둔화될 것"이라며 "국제유가, 환율, 국제 원자재 가격 흐름에 따라 상방요인이 있을 수도 있지만 특이요인이 없으면 당분간 물가는 안정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은 "물가 상승률, 뚜렷한 둔화 흐름 후 다시 높아질 것" 2023-06-02 09:23:23
전년 동월 대비 3.3% 올랐지만 근원물가는 3.9% 상승했다. 김 부총재보는 근원물가 상승률의 더딘 둔화 이유에 대해 "개인 서비스 물가 오름세가 둔화했지만 상품가격이 섬유제품을 중심으로 오름폭이 확대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김 부총재보는 "앞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중반까지 뚜렷한 둔화 흐름이 이어지...
1분기 GDP 0.3% 성장…내수 없었으면 '마이너스' 2023-06-02 08:54:25
최종소비지출 증가율(1.5%)보다 높았기 때문이다. 아울러 이날 발표된 '2022년 국민계정(잠정치)'에 따르면, 지난해 실질 GDP는 2.6% 성장했다. 명목 GDP(2162조원)도 3.9% 늘었고, 1인당 국민총소득(GNI)는 3만2886달러(한화 4249만원)로 집계됐다. 종전까지 4.1%로 발표됐던 2021년 실질 GDP 성장률은 4.3%로...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3.3%…19개월만에 최저치(종합) 2023-06-02 08:41:06
지수의 상승률은 4월 4.0%에서 5월 3.9%로 0.1%포인트 하락했다. 김보경 심의관은 "그간 근원물가가 많이 하락하지는 않는 모습을 보였지만 5월에는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가 소폭이나마 둔화하는 모습을 보였다"며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도 많이 하락했다"고 분석했다. jun@yna.co.kr 부동산시장 '데드 캣...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 3.3%…19개월 만에 최저 상승 2023-06-02 08:25:14
지난달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3.9% 오르며 3개월 연속 이어진 4% 상승폭이 완화됐다. 지난달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는 1년 전 보다 4.3% 올랐다. 전달 보다 0.3%포인트 하락했다. 2분기 전기·가스 요금 인상으로 인해 전기·가스·수도 요금은 전년 동월 대비 23.2% 뛰어올랐다. 지난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