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뉴스의 맥] 유통판 바꾼 쿠팡發 '1030 전쟁'…"10년내 3곳만 생존" 2021-04-13 17:52:58
해석이다. 쿠팡과 이마트의 이 같은 공세에 마켓컬리도 맞불을 놓고 나섰다. 마켓컬리는 지난 12일부터 신선식품과 쌀, 김, 라면 등 인기 제품 60여 개를 온라인몰 최저가격으로 판다. 네이버는 가격 대신 ‘빠른 정산’을 내세우고 있다. 네이버는 스마트스토어 판매자를 대상으로 배송완료 다음날 대금을 지급하는 ‘빠른...
베일 벗은 GS 마켓포…"쇼핑에 세탁·집수리까지" 2021-04-13 17:37:44
시범 운영에 들어갔다. 현재 구글 플레이 앱스토어에서 마켓포 베타 버전 앱을 시험하고 있다. 정식 출시는 GS리테일과 GS홈쇼핑이 합병하는 7월이다. 마켓포 앱에는 GS리테일의 온라인몰 ‘GS프레시몰’과 밀키트 브랜드 ‘심플리쿡’, 유기농 전문 온라인몰 ‘달리살다’, 헬스앤드뷰티(H&B) 스토어 ‘랄라블라’ 등이...
"인앱 결제 강요 방지법, 美와 통상마찰 우려" 2021-04-13 17:25:43
구글, 애플과 같은 앱마켓 사업자가 자사의 결제 시스템 사용을 강요하면 안 된다는 내용의 국내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인앱 결제법)에 대해 미국 정부가 공개적으로 불만을 제기했다. 13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에 따르면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지난달 말 자국 의회에 제출한 무역장벽 보고서를 통해 한국의 인앱...
[단독] GS 통합 온라인몰 '마켓포' 공개…"식품·생활 밀착형" 2021-04-13 17:20:01
유통업계에 따르면 GS리테일은 지난달 30일 마켓포 브랜드를 출범하고 시범 운영에 들어갔다. 현재 구글 플레이 앱스토어 등에서 ‘마켓포' 베타 버전 앱을 운영하고 있다. 정식 출시는 GS리테일과 GS홈쇼핑이 합병하는 7월이다. 마켓포 앱에는 GS리테일의 온라인몰 ‘GS프레시몰’과 밀키트 브랜드 ‘심플리쿡’,...
모바일 NFT 마켓플레이스, `RPM. Market` 서비스 본격화 예정 2021-04-13 16:37:58
1세대 NFT 마켓플레이스의 경우 웹사이트 서핑 시 파밍 위협에도 쉽게 노출 될 수 있는 등 보안에 취약한 부분들이 있었다. 모바일 NFT 마켓플레이스에서는 모바일앱에서 직접 결제함으로써 개인키 이동이 없어 분실 위험이 적으며, 저장공간과 디바이스 자체 기능 접근 권한이 각각 분리되어 관리가 되어 파밍 위협이 타...
"미국, 한국 인앱 결제법에 우려…통상마찰 가능성" 2021-04-13 11:43:41
앱 결제법에 우려…통상마찰 가능성" KIEP 보고서 (세종=연합뉴스) 곽민서 기자 = 구글 등 앱 마켓 사업자의 인앱결제(IAP·In-App Payment) 강제 정책을 방지하는 내용의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인앱 결제법)에 대해 미국이 불만을 표시하고 나섰다. 13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이 발간한 '디지털 무역장벽에 관한...
[현장이슈] 마켓컬리·오늘의집·번개장터, 줄줄이 개발자 늘린다… 연봉은 얼마? 2021-04-12 17:40:10
본격적으로 개발자를 대규모 채용해 사업 확장에 나선다. 마켓컬리를 운영하는 컬리는 올해 개발자 100명을 새로 채용한다. 2018년 18명이었던 컬리의 개발자는 2021년 90명으로 늘었다. 컬리는 이들 개발자를 2024년까지 1000명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임상석 컬리 개발총괄은 “컬리의 사업을 지속 확대하고...
"카카오엔터, 내년 뉴욕증시 상장 고려…20조원 평가 기대" 2021-04-12 15:53:15
증시 상장 이후 마켓컬리와 토스 등 국내 대표적 스타트업 업체가 현재 뉴욕 상장을 추진중이다. 이 대표는 또 내년 상장에 앞서 올해만 국내외를 아울러 1조원(8억8천900만달러) 규모의 투자를 계획중이라고 공개했다. 이 가운데는 미국의 웹툰 플랫폼인 타파스 미디어와 온라인 소설 앱인 래디쉬 등의 인수가 포함됐다....
IT 기업 격전지로 떠오른 '하이퍼로컬' 서비스…네이버·롯데도 가세 2021-04-12 14:56:47
절반인 1500만 명에 달한다. 스페인 쇼핑 앱 가운데 이용자가 네 번째로 많다. 당근마켓처럼 참여자 간 생활용품 거래가 활발하다. 동남아시아 지역에서는 캐러셀이 비슷한 서비스다. 캐러셀도 지역 중심으로 이용자들의 중고 거래를 돕는다. 동남아 지역에서 가장 큰 중고 거래 플랫폼이다. 네이버는 최근 왈라팝과 캐러셀...
SKT, '디지털 페이커' 글로벌 공개…'점프AR' 북미 진출 2021-04-12 11:09:21
아울러 SK텔레콤은 '점프 버추얼 밋업' 앱을 추가 출시하고 타 글로벌 앱마켓에도 점프 서비스 출시를 확대하는 등 글로벌 진출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전진수 SKT MR서비스CO(컴퍼니)장은 "디지털 휴먼은 앞으로 다양한 산업의 핵심 미래 먹거리로 자리매김하게 될 것"이라며 "'디지털 페이커'를 시작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