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박셀바이오, 써모피셔사이언티픽코리아 콘퍼런스 기조강연 2020-12-10 08:59:22
연구·처방 종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자리매김할 방침이다. 박셀바이오의 선천면역세포 중 하나인 NK세포를 이용한 'Vax-NK' 기술은 재발로 인해 기존 치료제가 듣지 않는 진행성 간암을 대상으로 임상 2a상을 진행 중이다. 항원제시세포인 수지상세포를 이용한 'Vax-DC'는 다발골수종을 적응증으로...
“유틸렉스, 내년도 다수의 연구개발 모멘텀에 주목” 2020-12-10 08:16:12
‘MVR CAR-T’(급성골수성백혈병), ‘GPC3 CAR-T’(간암) 등이 있다. 나관준 연구원은 “유틸렉스는 내년에 다수의 연구개발 모멘텀이 존재한다”며 “2017년 중국 화해제약에 기술이전한 EU101는 지난 9월 중국 임상 1상을 승인받아 내년 초 중국에서 첫 환자 투여를 시작하고, 연내 미국 1상도 신청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서 '28년 전 병원서 뒤바뀐 아기' 1억여원 배상판결 2020-12-08 12:17:03
"간암은 개인차나 생활환경 등 여러 요인과 관련있는 만큼 병원은 간암에 따른 야오씨의 합리적 손실액 중 60%에 대한 배상 책임을 져야 한다"고 봤다. 이번 판결을 두고 중국 온라인상에서는 배상액이 너무 적다는 지적이 나왔다고 관영매체 글로벌타임스는 전했다. 웨이보(중국판 트위터)에서는 "병원 측이 최소한 야오...
에이치엘비, 리보세라닙 글로벌 권리 최종 인수완료 2020-12-07 15:21:28
간암 2차 치료제로도 시판허가 직전에 있다. 또한 비소세포폐암, 난소암, 유방암 등에 대해서도 병용으로 임상3상을 승인받는 등 적응증을 빠르게 확장하고 있어 향후 에이치엘비의 로열티 수익은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에이치엘비는 현재 말기 위암을 대상으로 미국 FDA에 리보세라닙의 판매허가신청(NDA)을 준비하고...
에이치엘비, 리보세라닙 글로벌 권리 인수 완료 2020-12-07 13:50:21
시판됐다. 작년에만 약 3500억원의 매출을 냈다. 간암 2차 치료제로의 허가도 기다리고 있다. 또 비소세포폐암 난소암 유방암 등에 대해 병용 임상 3상을 승인받았다. 에이치엘비는 현재 말기 위암을 대상으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리보세라닙의 판매허가신청(NDA)을 준비하고 있다. 선양낭성암, 간암 1차, 위암 2차,...
단국대, 창업 전진기지로 '우뚝'…판교밸리서 벤처와 경쟁 2020-12-06 18:03:04
리보핵산(RNA) 치환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한 진행성 간암(HCC) 타깃 치료물질(파이프라인 RZ-001) 연구에 한창이었다. 이 회사 대표는 이성욱 단국대 생명융합학과 교수(사진)다. 그는 지난 20년간 단국대에서 연구해온 성과를 기반으로 2017년 알지노믹스를 설립했다. 이 교수는 “간암에 이어 유전성 망막질환 대상으...
동국생명과학, 아이엠지티와 간암 색전술 치료제 관련 업무협약 2020-12-04 12:40:05
효능을 높이기 위해, 아이엠지티의 간암 색전술 치료용 나노입자와 병행 사용해 시장을 개척한다는 계획이다. 아이엠지티의 간암 색전술 치료용 나노입자 기술은 항암제가 미세 종양혈관에 깊숙이 침투하지 못하고 조기에 전신으로 유출되는 기존 치료방법의 부작용과 약물 전달 시간 등을 개선한 치료 방법이다. 정기호...
동국생명과학, 아이엠지티와 간암 색전술 치료제 관련 업무협약 2020-12-04 10:59:46
경동맥 화학색전술(TACE) 치료를 받는데, 간암 색전술 치료용 나노입자 기술을 활용하면 항암제를 미세 종양혈관으로 깊이 침투시킬 수 있고 약물 전달시간도 30분 이내로 줄일 수 있다"며 "이번 협약을 통해 간암 색전술 치료용 나노 기술이 많은 의료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되기를 바란다"고 했다. 동국생명과학은 2017년...
레고켐바이오, 항암신약 美픽시스에 기술이전 2020-12-02 17:37:58
픽시스온콜로지는 LCB67을 소세포폐암, 간암 등 고형암 치료제로 개발할 계획이다. 이번 계약으로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는 올해 네 건의 기술이전을 했다. 2015년 포순제약과 기술이전 계약을 한 이후 ADC 기술로 6건, 항생제와 항응혈제 등을 포함한 파이프라인으로 9건의 기술수출을 이뤄냈다. 9건의 전체 계약 규모는...
[속보] 레고켐바이오, 美기업에 3,255억 규모 항암제 기술이전 2020-12-02 15:30:35
수익을 항체 파트너인 와이바이오로직스에 사전합의된 비율로 배분한다. LCB67은 레고켐바이오의 차세대 ADC 플랫폼 기술에 2016년 와이바이오로직스에서 도입한 DLK-1 항체를 결합한 항암신약후보물질이다. DLK-1은 소세포폐암, 간암 등 고형암을 대상으로 하는 신규 종양 표적이다. 픽시스는 LCB67을 진행성 고형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