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유한양행 레이저티닙, 글로벌 블록버스터 기대…목표가↑” 2021-01-20 08:33:28
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EGFR) 'T790M' 돌연변이 양성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비소세포폐암 치료제다. 지난 18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렉라자정에 대해 3상 수행 조건부 승인을 받았다. 키움증권에 따르면 렉라자정과 같은 기전의 약물인 타그리소는 지난해 국내 매출 약 1000억원과 글로벌 매출 47억 달러(약 ...
사람마다 다른 항암 면역력? 열쇠는 T세포가 갖고 있다 2021-01-19 17:07:29
유형이, 암 종양에 존재하는 돌연변이 항원과 어느 정도 일치하느냐에 모든 게 달려 있었다. 이 연구를 수행한 콜로라도대 의대의 왕징훙(Jing Hong Wang) 면역학 부교수 연구팀은 최근 학술지 '암 면역치료 저널'(Journal for ImmunoTherapy of Cancer)에 관련 논문을 발표했다. 19일 미국 과학진흥협회(AAAS)...
유한양행 폐암치료제, 31번째 국산신약 됐다 2021-01-18 17:20:52
중 30~40%는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EGFR)인 T790M에 돌연변이가 생긴다. 현재 이런 환자에게는 1~2세대 표적치료제를 투약하지만 절반 이상은 곧 약에 내성이 생겨 상태가 악화한다. 렉라자는 이런 환자들을 위한 3세대 표적치료제다. 1, 2세대 EGFR 표적치료제에 내성이 생긴 T790M 돌연변이 환자 등에게 사용할 수 있...
유한양행 폐암신약 '레이저티닙' 허가…3년만에 국산신약 31호(종합) 2021-01-18 14:15:28
EGFR T790M 돌연변이 양성인 비소세포폐암 환자에게 적합한 치료 옵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유한양행은 2018년 11월 얀센에 렉라자를 기술수출한 뒤 병용 임상 3상 등으로 공동개발 중이다. 당시 총계약 규모는 1조4천억원이었다. 글로벌 의약품 시장조사기관인 '글로벌데이터'는 렉라자가 단독 또는...
식약처, 유한양행 비소세포폐암치료제 허가…31번째 국산신약 2021-01-18 13:07:05
등이 포함된 중앙약사심의위원회에서 렉라자정의 허가 완결성과 제도 부합성에 대한 자문을 거쳐 최종 허가했다. 렉라자정 임상 논문의 제1저자인 안명주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는 "이번 허가가 EGFR T790M 돌연변이 양성인 비소세포폐암 환자에게 적합한 치료 옵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key@yna.co.kr...
유한양행 `렉라자` 31호 국산 신약으로 허가 2021-01-18 12:04:15
유한양행의 렉라자는 이러한 T790M 돌연변이 내성에 강한 3세대 표적치료제로, 특히 뇌혈관장벽(BBB)을 통과할 수 있어 뇌전이가 발생한 폐암환자에게도 우수한 효능 및 뛰어난 내약성을 보였다. 이번 허가로 1, 2세대 EGFR 표적 치료제에 내성이 생긴 T790M 돌연변이 양성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환자...
유한양행, 레이저티닙 폐암신약으로 국내 허가 2021-01-18 11:49:58
혁신신약인 렉라자는 T790M 돌연변이 내성에 강한 3세대 표적치료제이다. 혈뇌장벽(BBB)을 통과할 수 있어 뇌전이가 발생한 폐암 환자에게도 우수한 효능 및 내약성을 보였다는 설명이다. 렉라자는 1,2세대 EGFR 표적 치료제에 내성이 생긴 T790M 돌연변이 양성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에게 사용할 수...
美 증시, 바이든 경기 부양책 주시 [글로벌 이슈] 2021-01-15 08:01:41
없는 3개의 다른 유전자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다만 아직까지 변이 바이러스가 더 치명적이거나 백신 효과를 떨어뜨린다는 근거는 없다고 전했습니다. 한편 이전에 코로나19에 걸렸던 사람들은 감염된 적이 없는 사람들에 비해 재감염될 위험이 83% 낮았고, 면역 효과는 최소 5개월 이상 지속된다는...
[책마을] 극한까지 진화한 생물들…그들에게서 희망을 보다 2021-01-14 17:46:14
만한 돌연변이 세포를 자살하도록 유도하는 암 억제 유전자가 있기 때문이다. 강털소나무의 수령은 4000~5000년이다. 노화 속도가 가늠하기 어려울 정도로 느리기 때문이다. 《굉장한 것들의 세계》는 과학 전문 저널리스트인 매슈 D 러플랜트가 가장 큰 생물, 가장 오래 사는 생물, 가장 시끄러운 생물, 가장 똑똑한 생물...
이번엔 美서 새 변이 2종 발견…"코로나, 영원히 사라지지 않을 것" 2021-01-14 17:43:56
바이러스와 똑같은 유전자 돌연변이를 포함하고 있지만 미국에 이미 존재하던 바이러스 종에서 일어난 것 같다고 설명했다. 다른 변이 1종은 오하이오주 콜럼버스에서 최근 3주 사이에 광범위하게 퍼진 것으로 나타났다. WSJ에 따르면 이 콜럼버스 변이는 기존 코로나19 바이러스에서 동시에 발견된 적이 없는 3개의 다른...